* 가곡원류 歌曲源流   |
조선말기인 1876년(고종 13) 박효관朴孝寬이 제자 안민영安玟英과 함께 엮은 옛 시가집詩歌集. |
* 가쓰라-태프트 밀약 桂-Taft 密約   |
1905년 10월 러•일전쟁 종전 직후에 일본 총리대신 가쓰라桂太郞와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 특사 태프트 W. H. Taft 육군장관이 한국... |
* 가트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
관세장벽과 수출입제한을 제거하고 국제무역과 물자교류를 중진시키기 위해 1947년 제네바에서 미국을 비롯한 23개국이 조인하... |
* 간도(間島)   |
두만강과 마주한 곳. 북간도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특히 간도 지방의 동부를 일컫는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경지는 적고 ... |
* 간도(間島) 및 만주방면 독립군   |
간도 독립군의 남상은 한일합병을 계기로 하여 급격히 증가한 이주민들과 독립운동가들로 형성되는 바, 그 주류는 합방 직후 ... |
* 간도 5 · 30 사건 間島五三十事件   |
1930년 5월 30일 간도일대에서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이 일으킨 항일 무장봉기. |
* 간도間島(젠다오)   |
동간도·서간도•북간도를 포함한 만주 길림성吉林省의 동·북을 합친 모든 지역을 가리킨다. 간도墾島 또는 간토艮土라고도 하... |
* 간도공산당사건 間島共産黨事件   |
일제가 간도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운동가들을 검거한 사건. 1927년부터 30년까지 모두 3차에 걸쳐 일어났다. 제1차는 27년 10월,... |
* 간도국민회 間島國民會   |
1919년 만주 간도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일명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무장투쟁과 자치운동을 병행했으며, 발족 당시 명칭... |
* 간도문제 間島問題   |
만주 간도지방의 귀속문제를 두고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있었던 분쟁. 간도는 원래 읍루挹婁 • 옥저沃沮의 옛터이며, 고구려와... |
* 간도참변→ 혼춘사건   |
간도참변→ 혼춘사건
|
* 간도협약 間島協約   |
1909년(융희3) 9월 청나라와 일본이 간도의 영유권 등에 관해 맺은 협약. 청나라는 19세기 말엽부터 간도를 자기 영토라고 주장,... |
* 갑신정변(甲申政變)   |
한말 수구파와 개화파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개화파가 수구파를 살해하고 고종을 유폐, 3일천하를 이룩한 사건을 말한다. 고... |
* 갑오개혁(甲午改革)   |
일반적으로 갑오개혁(甲午更張)ᅵ이라 하면 넓은 의미로는 1894년 7월 27일 개혁안의 심의결정을 위한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의 ... |
* 개 항(開港)   |
한국근대사에 있어서 개항은 〈항구를 열어〉 외국과 통상을 한다는 단순한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한국이 서구 열강들... |
* 개화사상(開化思想)   |
개화사상의 형성시기는 일반적으로 1870년대 중엽으로 보는 것이 상례이다. 당시 조선은 서구의 동점에 대해서 부분적이든 단계... |
* 거문도(巨文島) 사건   |
1885년 4월14일 영국은 중국방면 함대사령관 다우엘(Dowell, W.)로 하여금 한국의 남해안에 위치한 거문도를 점령하도록 하였다. 영... |
* 거창(居昌)양민학살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과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양민학살사건으로서 1951년 2월 11일 경남 거창군 신원면(新院面)에서 발생했다. 사건의... |
* 건국동맹(建國同盟)   |
조선건국동맹은 8·15 해방 전에 조선민족해방을 목표로 꾸준히 싸워왔던 지하 혁명단체이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연합군의 승리로... |
*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   |
일명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건준(建準)이라고 약칭한다. 1945년 8월 일본의 패배가 명백해지자 조선에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재한... |
* 경성고무 여공파업   |
1923년 7월 3일 경성 광화문밖에 있는 해동(海東) · 뇌구(瀬口) · 경혜(京鞋) · 동양 네 군데의 고무공장에서 일하던 여직공 일백 ... |
* 경향신문 폐간   |
해방직후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숱하게 많았던 언론탄압 가운데 1959년의 『경향신문』 폐간이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 |
*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
1918년 6월 이동휘는 소·만 국경도시인 하바로브스크에서 박진순·김립 등과 함께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을 조직했는데, 이들은... |
* 공출(供出)   |
정부나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일반국민으로부터 필요한 물자를 강제적으로 거두어들이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41년부터 1... |
* 관동군(關東軍)   |
만주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의 총칭. 만주에 일본군이 주둔하게 된 시초는 러·일전쟁의 결과이다. 일본은 러시아와 강화조약... |
* 광복군(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중경(重慶)에서 창설된 항일군사전투단.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터지자 장개석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김구 ... |
* 광주 항일 학생운동(光州抗日學生運動)   |
광주학생운동은 한국 학생운동 중의 백미이다. 그것은 가장 순수한 학생운동이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요원의 불길처럼 전국적... |
* 광주단지(廣州團地) 사건   |
(1) 1971년 8월 10일에 발생한 이른바 광주대단지 사건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파생된 부작용에 대처하는 정부계획의 졸속을 드러... |
* 교원노조 운동   |
제2공화국 하의 교원노조는 교원들의 사회운동으로서는 한국사회에서 처음으로 결성되어 그 이후 198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 |
* 국가   |
1930년대 이래 서구에서의 국가면모는 정부에 의한 합리적 수요 조절의 가능성과 자유경제 메카니즘의 기치를 내건 케인즈주의... |
* 국대안(國大案)반대투쟁   |
1946년 7월 13일 미군정은 부족한 인적자원의 활용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다는 국대안(國大案, 국립대학개혁안)을 발표하였다... |
* 국민방위군(國民防衛軍) 사건   |
국민방위군사건은 6 · 25전쟁 중 청장년을 국민방위군에 편입시켜 남하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식량을 국민방위군 간부가 부정유... |
* 국민방위군 사건(國民防衛軍 事件)   |
국민방위군 사건은 한국전쟁 중 이승만 정권하의 부패한 군 간부들에 의해 수용소에 모아둔 청년들로 구성된 예비 군인들이 대... |
* 궁삼면사건(宮三面事件)   |
궁삼면 사건은 일제 36년간의 동척(東拓)죄악사의 한 장면이라고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조 말엽의 부패사라고도 할 수 있다. ... |
* 귀속재산(歸屬財産)처분   |
귀속재산이란 일본 제국주의가 패망한 직전까지 조선총독부 및 일본인단체, 일본인이 한국 내에 보유하고 있던 재산으로서, 토... |
* 근우회(槿友會)   |
근우회는 신간회(新幹會)와 더불어 민족유일당의 하나로 조직되었다. 신간회 창립당시 여성대표로 김활란 · 유각경 등이 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