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판매중인 도서 ( 988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맑스주의 역사 강의
한형식 지음
출판사 - 그린비
초판일 - 2010-07-20
ISBN - 9788976823502
조회수 : 426

● 목 차

들어가면서 = 9
이 강의의 목표 = 9
혼란스러운 개념들 정리 = 11
①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 12
② 맑스주의 = 18
③ 용어상의 혼란 = 20

1강 자본주의의 발전과 맑스 이전의 사회주의 = 25
자본주의의 발전과 사회주의의 등장 = 26
정치적 노선의 사회주의: 바뵈프와 블랑키 = 29
① 가난한 자들의 봉기 = 29
② '프롤레타리아트 독재'에 관한 오해 = 32
경제적 노선의 사회주의: 생시몽, 푸리에, 프루동, 바쿠닌 = 36
① 생산력발전에 대한 낙관과 비관 = 36
② 정치적 행동과 직접행동 = 44

2강 맑스ㆍ엥겔스의 초기 사상 = 51
자유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 53
자본주의와 소외:『1844년의 경제학-철학 초고』 = 56
① 이 텍스트가 지니는 의미 = 56
② 사적 소유와 상품생산의 철학적 해석 = 58
③ 변증법: 혁명적 변화의 철학적 원리 = 61
④ 인간의 유적 본질과 소외의 극복 = 63
유물론적 역사이해:「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들」,『독일 이데올로기』 = 65
맑스주의의 기초 확립:『공산당 선언』 = 70
①『공산당 선언』의 역사적 의미 = 70
② 유물론적인 자본주의 분석 = 74
③ 자본주의의 붕괴와 사회주의로의 이행 = 76
④ 공산주의에 대한 전망 = 79

3강 맑스ㆍ엥겔스의 후기 사상 = 85
착취의 과학적 해명: 잉여가치론 = 85
제1인터내셔널: 국가주의ㆍ아나키즘과의 대결 = 89
① 제1인터내셔널의 결성 = 89
② 아나키즘과의 대립 = 92
③ 국가주의의 대두 = 95
파리코뮨과 새로운 국가론:『프랑스 내전』 = 97
라살레파와의 대결:『고타강령 초안 비판』 = 104
① 독일 노동운동의 통합과「고타강령」 = 104
② 노동전수익권 비판 = 107
③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 = 109
④ '철의 임금법칙' 비판 = 112
맑스 사상의 체계화:『반뒤링』,『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 115
① 최초의 맑스주의 교과서 = 116
② 엥겔스의 해석 문제 = 118

4강 제2인터내셔널의 논쟁들(1) - 수정주의 논쟁과 총파업 논쟁 = 127
분열의 시작 = 131
수정주의 논쟁 = 133
① 수정주의와 개량주의 = 133
② 수정주의의 등장 = 134
③ 정통파의 입장: 붕괴론 = 135
④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 = 137
⑤ 사회개량이냐 혁명이냐: 베른슈타인과 룩셈부르크의 논쟁 = 141
총파업 논쟁 = 150
① 총파업이란 무엇인가 = 150
② 아나코-생디칼리즘과 총파업 = 153
③ 맑스주의와 총파업 = 155
④ 맑스주의의 총파업 수용: 1905년 혁명과『대중파업』 = 160

5강 제2인터내셔널의 논쟁들(2) - 반전 논쟁과 식민지 논쟁 = 171
반전 논쟁 = 171
① 반전 논쟁의 역사적 배경 = 171
② 방어 전쟁의 논리 = 175
③ "전쟁에는 전쟁으로":「슈투트가르트 결의안」 = 179
식민지 논쟁 = 184
① 자본주의의 발전과 식민지 점령 = 184
② 수정주의자들의 식민지관 = 187
③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의 수정주의 식민지관 비판 = 197

6강 러시아혁명과 레닌(1) - 1917년 이전의 러시아와 레닌 = 201
러시아혁명의 배경 = 201
① 러시아혁명의 전사(前史) = 202
② 인민주의자들의 등장 = 203
③ 초기의 러시아 맑스주의: 2단계 혁명론 = 206
러시아혁명의 새로운 흐름 = 210
①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창립 = 210
② 레닌의 전위당 이론:『무엇을 할 것인가?』 = 214
③ 1905년 혁명과 소비에트 = 219
④ 1905년 혁명에 대한 맑스주의자들의 평가 = 225

7강 러시아혁명과 레닌(2) - 1917년 혁명과 소련의 성립 = 229
2월 혁명에서 10월 혁명으로: 사회주의혁명으로의 발전 = 229
맑스주의 국가론을 다시 생각하다:『국가와 혁명』 = 239
10월 혁명의 과제들 = 246
① 혁명이 직면한 문제들 = 247
② 서유럽 혁명의 불발 = 249
③ 전시공산주의 = 253
새로운 시대의 맑스주의:『제국주의』 = 256
신경제정책(NEP): 이보전진을 위한 일보후퇴 = 264

8강 코민테른과 스탈린 체제 = 273
코민테른의 성립 = 273
스탈린과 소련의 발전방향을 둘러싼 논쟁들 = 279
① 스탈린의 부상 = 279
② 스탈린의 권력장악 = 285
③ 정치투쟁 과정에서의 논쟁들 = 287
스탈린 시기의 소련과 스탈린주의 = 291
① 일국사회주의론 = 291
② 스탈린 테러 = 297
③ 스탈린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 301

9강 중국혁명과 마오주의 = 309
중국 공산당의 형성: 신해혁명에서 대장정까지 = 309
옌안 시대 = 320
① 대중 노선의 본격화와『옌안문예강화』 = 321
② 추상적 교리에서 구체적 정세로:『실천론』과『모순론』의 변증법 재해석 = 325
공산주의 중국의 성립과 새로운 사회를 위한 시도들 = 333
① 제1차 5개년 계획 = 333
② 의도와 결과의 괴리: 대약진운동 = 337
혁명은 계속된다: 문화대혁명 = 345
① 문화대혁명의 발발 = 345
② 문화대혁명의 문제의식:「문혁 16조」 = 349
③ 홍위병운동의 확산과 문혁의 성격 전화 = 353
④ 문화대혁명의 의의 = 358

10강 맑스주의의 새로운 흐름들 = 363
웨스턴 맑시즘 = 364
① 웨스턴 맑시즘의 등장과 전개 = 364
② 그람시의 맑스주의 = 373
③ 프랑크푸르트 학파 = 377
④ 68혁명 이후의 맑스주의들 = 381
아시아 공산주의 = 393
① 아시아 공산주의의 과제와 특징 = 393
② 동아시아 공산주의의 전개과정 = 400
③ 그 외 지역의 공산주의 = 411

나가면서 = 417
더 읽을 책들 = 422
찾아보기 = 431

맨위로맨위로

책 소개

국내 저자가 쓴 새로운 ‘맑스주의 역사’ 입문서이다. 맑스 이전의 유토피아 사회주의부터 중국 혁명을 비롯한 아시아 공산주의 운동까지 소개하는 책이다. 맑스주의 사상의 역사뿐 아니라 운동의 역사도 함께 다루고 있으며, 일반 대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객관적이고 친절하게 서술하고 있다.
맑스주의의 역사는 고정불변의 역사가 아니라 사회변혁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극복해 나간 역사이다. 그리고 이 책은 각 시대의 맑스주의자들이 자신이 직면한 조건들 속에서 새로운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설명한다.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과 그린비가 함께 출간하는 <새움 총서>의 첫 번째 책이다. 새움은 자본, 국가, 미디어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맑스주의를 비롯한 진보적 지식을 연구하는 공간으로, 앞으로 ‘맑스주의 공황론’, ‘한국경제 문제’, ‘현대 정치철학’ 등 다양한 주제의 책들을 출간할 예정이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국내 저자의 맑스주의 역사 입문서
운동과 사상의 흐름으로 맑스주의 역사 읽기

맑스라는 이름을 입에 담는 것만으로도, 그 이름이 적힌 책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신변의 위협을 느껴야 했던 시대가 지나간 지도 한참이 되었다. 냉전 종식과 민주화 이후 한층 자유로워진 사회 분위기 속에서, 맑스의 저작들은 해금(解禁)을 넘어 하나의 고전이 되었고, 최근에는 필독교양서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있기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신자유주의가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전 세계적으로 대중의 저항이 거세지면서 자본주의의 강력한 비판자로서 맑스의 사상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우리의 오늘은 맑스주의를 편견 없이 공부할 수 있게 된 시기이자, 신자유주의의 가혹한 통치로 인해 맑스주의를 다시 읽을 것을 요청받고 있는 시기이지만, 그럼에도 맑스주의 사상의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게 해주는 우리 시대의 맑스주의 역사서는 여전히 찾아보기 힘들다. 기껏해야 외국의 책을 번역한 20~30년 전의 책들만을 구해 볼 수 있는 것이 오늘의 상황이다.
한형식의 『맑스주의 역사 강의: 유토피아 사회주의에서 아시아 공산주의까지』는 새로운 맑스주의의 역사 입문서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저술된 책이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운동법칙을 밝혀냈고, 그것의 비인간성을 폭로했으며, 새로운 사회의 전망을 제시했던 맑스·엥겔스의 사상과 그 이후 맑스주의의 역사를 서술한다. 지금까지 국내에 ‘맑스주의의 역사’를 서술한 몇 권의 책이 소개되었지만, 대부분 외국 학자의 작업을 번역한 것이었고, 특정한 정치적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경우가 많았다. 이와 달리 『맑스주의 역사 강의: 유토피아 사회주의에 아시아 공산주의까지』(이하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국내 저자의 집필서로,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맑스주의의 역사에 접근하고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맑스주의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혀 없는 일반인과 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접할 수 있던 책들이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설명 없이 이론 위주로 서술되어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힘들었던 반면, 이 책은 ‘맑스주의’가 대중과 결부되어 있는 사상임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배경과 이론의 형성과정을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운동과 사상의 종합으로서의 맑스주의의 역사를 개관한다. 맑스주의 사상은 세상을 바꾸려 한 운동 속에서 형성되었고 또 계속해서 자신을 극복하며 발전했기 때문에, 운동과 역사를 통해 살펴봐야 맑스주의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은 맑스주의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그 역사가 지닌 의의와 한계를 알지 못했던 이들에게는 좋은 입문서가, 맑스주의에 대해 막연한 통념을 갖고 있던 이들에게는 그간의 오해를 불식시켜 줄 책이 될 것이다.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과 그린비가 펴내는 <새움 총서>의 첫번째 책이다. ‘세미나 네트워크 새움’(http://club.cyworld.com/seumnet)은 자본, 국가, 미디어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을 벌여 나가는 연구자들이 모인 공간이다. 맑스주의를 중심으로 진보적 지식을 공부하고 또 세미나와 강의를 통해 대중과 나누고 있다. 『맑스주의 역사 강의』도 저자가 지난 4년간 ‘새움’에서 진행해 온 ‘맑스주의의 역사’ 강의를 책으로 펴낸 것이다. 현재 ‘새움’은 ‘맑스주의’, ‘생태 문제’, ‘유럽중심주의’, ‘현대 정치철학’ 등 다양한 주제들을 특정한 정치적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연구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과정에서 얻은 성과물들을 책으로 출간해 대중과 접촉할 계획을 갖고 있다.
........

맑스주의의 역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역사적 맥락 속에서 맑스주의를 이해하려는 시도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맑스주의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지만, 사실들만을 나열하는 역사책은 아니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맑스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과 논쟁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맑스주의는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사상이며, 맑스주의의 이론들과 논쟁들 역시 구체적 현실을 지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역사와 분리해 이론을 설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으며, 특히 현실의 사회적·정치적 배경과 깊은 연관을 맺으면서 형성된 맑스주의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따라서 당시의 정세를 알지 못한 채 그 이론들과 논쟁들을 보게 되면 어떤 의도에서 그런 이야기들이 나왔는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9강에서는 마오쩌둥의 대표적인 저작인 『실천론』과 『모순론』을 설명한다. 이 두 책은 그 자체로는 이론과 실천의 관계, 모순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논의하는 책이다. 마오는 『실천론』에서 인식은 실천에 근거하는 것이고 진리의 기준은 실천에 달려 있다고 이야기하며, 『모순론』에서는 모순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지만, 그 구체적 양상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논의를 펼친다. 저자는 역사적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이 텍스트들만을 읽는다면 마오쩌둥이 1937년에 왜 이런 이야기를 했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고 말한다. 마오가 『실천론』을 저술한 것은 당시 중국 공산당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던 소련 출신 지도자들이 소련의 이론적 틀을 중국 현실에 그대로 끼워 맞추려 한 태도를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모순론』을 통해서는 공산당 내에는 모순이 없다는 소련의 입장을 비판하고, 사회주의 혁명이 성공한 사회에도 ‘모순’이 존재하므로 ‘끊임없는 혁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맑스주의는 사회정치적 현실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사상이 아니기 때문에,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며,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사상이 등장한 현실적 배경을 설명하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역사적 배경이 중요한 또 하나의 이유는 냉전 시대에 유포된 악선전들이 맑스주의에 대한 심각한 오해를 초래했고, 특히 한국처럼 냉전의 영향을 깊이 받은 지역에서는 오해가 한층 더 심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저자는 1강에서 악명 높은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개념에 대한 오해를 지적한다. 주지하다시피 맑스·엥겔스는 프롤레타리아트가 정치권력을 장악한 뒤에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독재’(dictatorship)라는 표현이 후대에 와서 “맑스주의는 민주주의를 부정한다”는 통념을 낳았다. 하지만 저자에 따르면 맑스의 시대에 dictatorship은 오늘날과 달리 ‘독재’가 아니라 ‘통치 일반’을 가리키는 단어였다. 따라서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는 단순히 ‘프롤레타리아트의 통치’를 의미하는 표현이었다. 하지만 역사의 변천 속에서 dictatorship은 ‘강압적 전제정치’를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고,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도 반민주적 통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이는 냉전 시기 현실 사회주의 진영을 ‘전체주의’로 규정하는 데 악용되기도 했다.

▶ 사상의 역사가 아닌 ‘운동과 사상’의 역사로서의 맑스주의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맑스주의 ‘사상’의 역사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운동’의 역사까지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다. 맑스주의의 사상들은 언제나 운동과의 연관 속에서 성립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저자는 현실의 운동보다 추상적 이론에 집중하는 ‘서구 맑스주의’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저자는 이런 이론주의적 경향의 강세가 냉전 시기 서구의 장기호황에 힘입고 있음을 지적한다), 또 별다른 실천적 의미가 없는 서구 이론을 수입하는 데만 몰두하는 한국 진보진영에 일침을 가하기도 한다.
..............

보다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시각으로 맑스주의를 읽는다!

그동안 맑스주의는 사회변혁의 유효한 무기로 인정받지 못했다. 역사적으로는 냉전, 신자유주의,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에 직면해, 이론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등의 ‘근대성 비판’에 직면해 더 이상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저자는 맑스주의를 포기해선 안 된다고 주장한다. 맑스주의는 여전히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의 유력한 자원”(418쪽)이며, 또한 “근대성과 반근대성의 변증법적 통일”(388쪽)이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맑스주의 역사 강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함을 띠고 있는 맑스주의를 보다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줌은 물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극복하는 데도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 출판사 서평중에서 =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