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국제주의] (internationalism)

이것은 프랑스 혁명을 통하여 주장된 인간애의 이념에 계급적 근거(노동자계급적 국제주의)를 부여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과 활동의 중심 개념이다. 엥겔스는 ‘최상의 노동자계급당에 의해서 어느 곳에서나 실행되고 있는 것처럼 같은 국가 사이의 친목’을 ‘기존의 본능적 민족적 이기주의와 자유무역을 주장하는 개인적이며 이기적 위선적 세계주의’에 대응시켰다. 각국의 시민계급이 자신들의 특수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모든 국가의 노동자계급은 하나의 동일한 이해관계, 하나의 동일한 적, 그리고 하나의 동일한 투쟁을 가지고 있다‘(’런던에서의 국가들의 축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러한 공통의 이해관계는 직접적 계급이익을 방어하기 위한 국경을 초월한 단결뿐만 아니라 ’부르주아 시대의 결과들, 즉 세계 시장과 현대적 생산력을 숙달하고, 그러한 것들을 가장 선진적 인민의 공동 통제 아래 놓이게 할 위대한 사회 혁명‘의 수행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마르크스, ’인도에서 영국 지배의 미래의 결과들‘).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1947년에 공산주의자 동맹에 가입하였을 때, ‘모든 인간은 형제다’라는 낡은 표어가 ‘만국의 노동자계급이여, 단결하라!’로 바뀌었다. 그들은 공산주의자를 특징짓는 데 무엇보다도 ‘여러 나라 노동자계급의 전국적 투쟁에서 노동자계급은 국적과 관계없이 전체 노동자계급의 공통된 이익을 지적하고 전면에 내세운다’는 사실을 중요하게 보았다(《공산당 선언》, 제2절). 이와 함께 그들은 ‘실제로는 아니지만 형식상으로는 시민계급에 대한 노동자계급의 투쟁이고, 처음에는 전국적 투쟁이며 각국의 노동자계급은 물론 무엇보다도 자국의 시민계급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앞의 책, 제1절)는 것을 인정하였다. 마르크스는 ‘국제 노동당이 폴란드의 독립을 위해서 투쟁하는 것에는 절대적으로 아무런 모순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폴란드를 위해서’). 마르크스는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영국의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촉진제가 된다고 보았다(마이어와 포크트에게 보낸 편지, 1870년 4월 9일).
만일 제1인터내셔날이 모든 국가에 존재하는 노동자협회의 통신과 협력의 중심적 매체를 제공하기 위해서 성립된 것이었다 하더라도(마르크스에 의해서 초안된 IWMA의 일반규칙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그러한 조직을 국제주의에 항상 본질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엥겔스는 1885년에 ‘제1인터내셔날은 계급적 지위의 동일성에 대한 이해의 근거한 단순한 연대감을 창출하고 단결시킬 수 있는’ 국제적 운동에 ‘족쇄’가 되었다고 썼다(‘공산주의자 연맹의 역사에 관하여’(결론)). 엥겔스의 기대는 너무나 낙관적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제 2인터내셔날의 성립에 의해서 해결되지 않았다. 제 2인터내셔날은 1914년 전쟁의 발발과 함께 민족주의의 높은 파도에 휩쓸려 붕괴되었다.
레닌은 1914년부터 국제주의는 ‘현재의 제국주의 전쟁을 내전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전쟁과 러시아 사회민주주의’ 전집, 21권 p. 34)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짜르 러시아 치하의 (또는 다른 곳의) 피억압 민족의 자결을 주장했다. 레닌이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것은 ‘우리들이 국가를 경제적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작은 국가라는 이상에 사로잡혀서가 아니라 그와 반대로 탈퇴할 자유가 없이는 생각해볼 수 도 없는, 진실로 민주적이고 진실로 국제적 토대 위에서만 거대한 국가와 민족들의 보다 긴밀한 유대와 융합을 원하기 때문이다’(‘혁명적 노동자계급과 민족 자결권’ 앞의 책, pp. 413-4). 레닌은 전쟁 중이나 전쟁 뒤에도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혁명적 노동자계급과 노동자계급이 완전히 없거나 거의 없는 국가들의 혁명적 대중, 즉 제국주의와 싸우는 동양의 식민지 제국의 피억압 대중들과의 연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제 2 코민테른에서, 국제공산주의자들의 기본 과제와 국제 정세에 관한 보고, 앞의 책, 31권 p. 232). 그는 ‘노동자계급 국제주의는 첫째, 모든 개별 국가들에서 노동자계급 투쟁의 이해는 세계적 규모의 노동자계급 투쟁의 이익에 종속되어야 하며, 둘째, 시민계급에 대항해서 승리를 거둔 국가는 국제 자본을 타도하기 위해서 가장 큰 민족적 희생이라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하며, 기꺼이 감수할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하였다 (제 2 코민테른 회의에서 민족과 식민지 문제에 대한 테제 초고, 앞의 책, p. 148).
레닌과 볼세비키는 1917년 10월의 러시아 혁명이 국제 사회주의운동의 전조가 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스탈린 통치 아래서 혁명의 고립으로 인하여 레닌 시대의 다분히 국제주의적 요소는 민족적 이기주의로 대치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혁명의 고립이 종결되었던 2차 세계대전 뒤에도 사라지지 않았으며, 소비에트 정부가 1956년 10월 30일에 인정한 바와 같이 ‘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의 동등한 권리의 원칙을 무시한 위법과 실수’가 발생하였다(소비에트 뉴스, 1956년 10월 31일). 그 뒤 ‘세계 공산주의 체제’를 통합하기 위한 상호 협조(쿠바, 베트남, 앙고라 등과 같은 나라에서 특히 중요한)와 노력에는 민족주의의 부활과 이러한 국가들 간의 갈등(극단적인 경우에 있어서는 반혁명에 대항하는 국제주의적 원조로서 표현되는 전쟁이나 군사적 개입)이 수반되었다. 오늘날 이러한 전개과정은 ‘국가 안에서 계급 사이의 반목이 사라짐에 따라 한 국가의 다른 국가에 대한 적대감도 사라질 것’(《공산당 선언》, 제2절)을 전통적으로 상정하고 있었던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는 가장 심각한 도전인 것이다. 그것은 또한 1930년대와 같이 아직도 ‘소련에 대한 태도를 국제주의의 시금석’으로 간주하는 그러한 공산당과, 소련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어느 것과도 특별하거나 특권화 된 관계를 맺지 않은 …새로운 국제주의‘(PCI 지도력의 해결, 1981년 12월 29일, E. Berlinguer, 1982, p. 28)를 주장하는 이탈리아 공산당[PCI]과 같은 유로코뮤니즘 정당 사이에 긴장된 관계를 가져오게 하였다. (→민족;민족주의)

[관련자료]
Berlinguer, Enrico 1982: After Poland: Towards a New Internationalism.
Deutscher, Issac 1964(1972): marxism in Our Time.
Dutt, Rajani Palme 1964: The Internationale.
Johnstone, Monty, and others 1979: 'Conflicts between Socialist Countries'
Klugmann, James 1970: 'Lenin's Approach to the Question of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Lenin, V. I. 1970: On the National Question and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Miliband, Ralph 1980: 'Military Intervention and Socialist Internationalism'.
The World Socialist System and Anti-Communism. 1972.
Zagladin, V. V., ed. 1973: The World Communist Movement.


■ 인접어

국제민주여성연맹(國際民主女性聯盟)
국제부흥개발은행(國際復興開發銀行)
국제분업(國際分業)
국제연합(國際聯合)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國際自由勞動組合聯盟)
국제주의
국제통화기금(國際通貨基金)
국제통화제도(전후)[國際通貨制度(戰後)]
군벌주의
군부(軍部)
군비축소(軍備縮小)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