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산업화 ] (industrialization)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서에 '산업화'라는 용어는 없다고 할지라도 이 개념은 분명히 존재한다. 마르크스는 '근대 산업', '공장 체계', '기계 체계'를 자본주의적 생산의 초기형태, 즉 협업과 매뉴팩처로부터 구분하였다. 근대 산업은 기계의 중심적인 역할에 의해서 매뉴팩처와 구분된다. 도구가 인간이 조작하는 것에서 기계장치의 도구로 바뀌자 기계장치의 운동도 인간 능력의 구속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독립적인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 따라서 단일한 기계는 기계류에 의해 생산을 구성하는 단순한 하나의 요소로 흡수된다(《자본론》Ⅰ권 13장 1절). 마르크스는 매뉴팩처와 마찬가지로 기계 체계로의 발전을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째 단계는 단순한 협업의 단계로서, 단일한 동력원을 사용하는 동시에 '작동하는 기계들을 하나의 공장에 모아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두 번째 단계인 '기계의 복합적인 체계'에서는 생산이 상호 연결된 일련의 기계들에 의해서 수행되는, 즉 일련의 접속되는 세부적인 과정들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합적 체계가 노동자들을 단순한 시중꾼으로 만들면서 전체 생산과정을 완성하고 수행할 때, 이러한 복합적인 체계는 '기계류의 자율적인 체계'로 된다(앞의 책, 13장 1절).
손으로 조작하는 도구를 기계로 전환시키는 것은 노동자를 원동력의 '단순한' 자원으로 격하시키는 것이고, 생산의 확대에 따라 인간적 힘의 한계는 불가피하게 인간의 근육을 기계적 동력으로 대치시킨다. 공장체계에서 모든 기계들은 단일한 '동력원'인 증기 엔진에 의해서 가동된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증기 엔진은 근대 산업이 시작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그것은 '어떠한 산업혁명도 일으키지 못했는데 반하여 기계의 발명이 증기 엔진 형태의 혁명을 필연화하였다'(앞의 책, 13장 1절)고 주장한다. 증기 엔진을 발전시킨 중요한 자극은 근대 산업이 요구하는 새로운 통신 및 수송수단이었다. 바다와 강을 왕래하는 증기선, 철도, 기관차와 전신은 모두 그것들을 만드는 데, '거대한 기계들'을 필요로 하였고 증기 해머, 천공기, 선반 기계와 같은 기계들은 완벽한 통제 하에 있는 거대한 동력원을 필요로 하였다. 모드 슬레이의 미끄럼 받침대는 그러한 통제에 필요한 정교한 증기엔진의 제작을 용이하게 했다(앞의 책, 13장 1절). 자동기계 체계를 갖고 있는 공장에서는 노동자들이 기계의 시중꾼으로 격하되고, 매뉴팩처에서 보다 한층 낮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에 '생산의 지적 능력과 육체노동의 분리'가 심화된다(앞의 책, 13장 4절).
'근대 산업'은 농업도 변화시켰다. 공업적으로 생산된 화학제품과 기타 새로운 기술들과 아울러 농업에 기계가 도입되었으며, 자본의 양적 증가는 농업에서 경쟁을 야기시켜 농민들을 토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하고, 새로운 기계는 많은 농업 노동자들을 쫓아내어 많은 사람들을 빈곤하게 만든다. 따라서 인구의 도시 이주가 더욱 가속화되고 도시와 농촌 사이의 분리가 심화된다. 농업의 산업화는 농업노동자들뿐만 아니라 토양도 척박하게 만들었다(앞의 책, 13장 10절). 공업과 농업에 있어서 보다 많은 생산분야에 기계가 도입되고 기계가 지배하게 됨에 따라 살아있는 노동이 기계로 대치되기 때문에(앞의 책, 23장 3절, 엥겔스《공상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3절) '과잉인구'와 '노동예비군'이 창출된다.
비록 자본주의적 생산형태가 산업화 이전에도 존재했다고 해도 '근대산업'은 그러한 생산의 가장 고도의 형태이고, 다른 모든 것을 최종적으로 일소하고 경제에서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정치에서 부르주아지의 지배를 수립하는 형태이다. 근대 산업은 도시와 농촌의 가내공업과 매뉴팩처를 종속시키고 마침내 파괴함으로써, 자신을 위해 국내시장 전체를 획득하여 경제적 지배를 성취한다(《자본론》Ⅰ권 13장 ; Lenin 1899). 동시에 자본가들 사이의 경쟁은 기계와 공장체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확장을 유발하여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킨다. '근대 산업은 어떠한 과정의 현존 형태를 결코 종국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러한 산업의 기술적 근거는 혁명적인 반면에 모든 초기의 생산양식들은 근본적으로 보수적이다'(《자본론》Ⅰ권 13장 9절).
마르크스는 영국에 있어 근대산업의 시초는 176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긴 하지만, 그 발전이 가장 급속하게 이루어진 시기는 1846년에서 1866년에 이르는 시기라고 생각했다(앞의 책, 23장 5절). 그러나 그러한 영향은 영국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근대 산업은 국제적인 통신 및 수송수단을 변혁시킴으로써 값싼 상품에 의해 외국의 수공업을 파괴하고 세계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의 산업의 원료를 공급하는 새로운 국제 분업을 창출한다(앞의 책, 13장 7절).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오로지 자본주의적 산업화만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후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두 사람의 분석을 사회주의 하에서의 산업화 이론과 실제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소련의 '돌격적인' 산업화는 흔히 스탈린을 상기하게 하지만, 프레오브라첸스키는 자본주의적 산업화에 대한 마르크스의 분석을 소련의 상황에 적용하려고 시도한 최초의 마르크스주의자였다. 이러한 적용에서는 축적과 산업적 팽창에 있어서 고정 자본부문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되었다(《자본론》Ⅱ권 21장; 재생산 표식). 스탈린의 지배 하에서는 이러한 강조로 인해 자본재공업(또는 중공업)에 중점이 두어졌고, 이것은 이후 소련과 동유럽의 산업화의 특징을 이룬다.

■ 인접어

사회파시즘
사회학
사회화
산두주의
산디니스타
산업화
산업화
산초 판사
삼민주의
상업자본
상업혁명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