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추(醜)] ((獨 Das Häßlicke,, 英 Ugliness, 佛 Laideur))

추는 미의 대립개념으로서 일반적으로 미적 규범에 위배되고 미적 관조를 방해하는 것, 반미적(反美的, widerásthetisch)인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현실의 자연 현상 및 정신생활 내에서 어느 정도 발견되며, 예술품에서도 가끔 섞여 있다. 그러나 대체로 고전적 예술은 추와는 무관하거나 또는 소원한 ‘미의 예술’이다. 따라서 고전적 미학은 추를 미의 부정태로밖에 취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헤겔과 피셔의 미학에서 추는 악(惡) 또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을 현상으로 가져오므로 이념의 순수한 현현을 해치는 것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그러나 근대에서는 바로크나 사실주의 또는 자연주의 문예ㆍ예술에서 보이듯이 추가 점점 예술 세계를 잠입하게 되자 미학에서도 추의 미적 의의를 인정하려는 이론이 나타났다. 헤겔학파의 관념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사슬러는 소재(素材)의 추는 미가 그것을 통하여 자기를 의식하고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기라고 하며, ‘추의 미학’을 설명했던 로젠크란쯔는 예술이 이념의 표상을 그 총체성에서 표현하기 위해서는 현상계에서 긍정적인 것과 뒤얽혀있는 부정적인 것, 즉 추도 빼 놓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립스의 미학에서도 추는 ‘소극적인 감정이입’의 대상이라 하더라도 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미를 한층 더 인상 깊고 눈에 띄게 하는 배경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미에서는 직접 그 실현을 위한 조건이 되며, 또한 미가 그것에 대항하고 자기를 주장함으로써 그 힘을 나타나게 한다는 점에서 추의 적극적 의의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추는 미적 대상의 형식ㆍ내용 및 이 양자의 관계인 표현 중 어느 것에 존재하는가에 따라 구별된다. 로젠크란쯔는 이를 구별하여 (1)무형태ㆍ불균제ㆍ부조화와 같은 ‘몰형식성’(Formlosigkeit), (2) 표현의 ‘부적확성’(Inkorrektheit), (3) 정신적 자유의 부정에서 기인한 ‘기형’(Defiguration oder Verbildung)이라 하고, 또한 (3)을 (a)비속한 것(das Geme ine) (b)혐오할 만한 것(das Widrige), (c)희화(Karikatur)로 나누고 있다. 이 구별에서 보면 어떠한 종류의 숭고는 그 몰형식성에서 추의 요인을 포함하고, 비장은 가끔 나쁜 것과 사악한 것을 함께 표현한다는 점에서, 또한 골계는 비굴약소한 것의 희화(戱畵)에서 존재하는 점에서 추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특성미도 어떤 종류의 감각적 또는 정신적 특성을 일면적으로 고조시킬 때는 추로 빠지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미적 유형은 많든 적든 간에 추를 그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는데, 그 경우 추는 미적 인상을 활기 있게 하고 전체의 생동감을 높이는 자극제로서 힘을 갖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욱이 어떤 예술 경향에서는 뚜렷하게 추의 모양을 드러내면서 전체적으로 일종의 미적 매혹을 갖고 우리를 감동시키는 작품이 발견된다. 특히 현대 실전주의 문예와 이 같은 경향의 예술에서는 말하자면 ‘추한 미’를 나타내 보이고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사례에서 볼 때 추는 그것 자신이 미적 범주의 하나로 간주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의미로서의 추는 미적 범주의 체계에서는 최대한으로 불쾌ㆍ불협화의 요소를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미, 즉 순수미의 정반대 위치에 놓인다. 본래 추를 다루는 방식은 입장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서로 다르지만 미적 범주론에서 이 문제가 갖는 의의는 특히 오늘날 예술 상황에서 보아 가볍게 보기 어렵다.

■ 인접어

중세의 미학사상
짐머만
짐멜
천재
최근의 예술사회학적 연구
추(醜)
취미
특성미
폴켈트
표출
표현학으로서의 미학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