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문학 ] (literature)

맑스와 엥겔스의 미학적 관점은 문학(드라마를 포함한)에 대한 그들의 생각에 의해서 형성되고 지배되어졌으며, 다른 예술분야들은 미학적 관점에서 거의 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여러 가지 생각과 견해, 그리고 즉흥적 주석들이 그러한 조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들을 제공하였고, 몇몇의 신랄하고 명료하며 독창적인 논문들이 모여 문학이론(그러므로 평론)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맑스주의적 주제들은 포괄적인 문학적 이론체계를 구성하거나 자기 충족적인 것은 아니며, 본질적으로 문학의 '형식' 보다는 '내용' 에 의거하는 전통에서 출발하고 있다. 더욱이 추종자들은, 비록 문학비평에서 자주 '전통'을 고무시키지만, 또한 부실한 의미도 제공하고 있다. 그것은 그들의 해석이 동시대의 이데올로기적 흐름에 의해서, 또한 맑스와 엥겔스에 의해서 준비된 문학연구의 실질적 기초를 자주 무시함으로써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제에 대해서 산재해 있는 저서들 가운데 최초의 간단한 작품집조차도 1933년에 리프쉬츠(M. Lifshitz)와 쉴러 (F. P. Schiller)에 의해서 편집되기 전까지는 아무 것도 출판되지 않았으며, 1945년까지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비록 메링(1893)과 플레하노프(1912)의 맑스주의적 문학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두 개의 주목할 만한 초기 시도가 있었다 하더라도, 엥겔스가 죽은 지 거의 반세기가 경과해서야 비로소 다양한 주제들의 유형화 작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문학에 대한 맑스주의적 틀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이 분야에서 후기 맑스주의자들의 논저를 적절히 지탱해 주는 가치는 실체의 표현이라는 말로 간단히 정의될 수 있다. 분석의 기초는 변증법적이고 유물론적인 연구 방법을 포함한 맑스의 역사이론이다. 따라서 맑스주의 문학이론과 비평은 단순히 도덕적 판단으로 환원될 수는 없으며, 오직 정치적 찬사나 탄압에 의해서 강제될 뿐이다. 이러한 측면으로부터 문학연구는 윤리적이고 행동적 재평가와 결정의 결과에 근거하고 있지만, 그것은 이해와 분석의 목적을 위한 (문학적) 실재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맑스주의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중요한 주제들은 계급적 등가물과 사실주의적 기록의 방법과 수용, 그리고 문학적 경험에서 소외의 탈소외 등이다.

계급적 등가물 Class Equivalents
사회적 계급의 관점으로 본다면, 문학에서 실체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구분하는 것은 맑스 이전에 이미 메 데 슈테엘(Mme de Stael)에 의해서 소개되었다. 산업자본주의의 성장과 사회 구성원의 중요한 대중으로서 농민이 도시 노동자로 전환한 것으로 인해서 문학 창작자들이나 비평가들은 한결같이 미래 사회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사회구성의 상호 연관적 불안정성과 '계급적' 윤리와 정치의 역할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맑스는 사회생활과 그것의 문학적 표현에서 나타나는 사건들을 역사적이고 가변적인 것으로 이해하던 당시 독일의 청년 헤겔파 세대의 한사람이었다. 그의 처음 소망은 호프만(E. T. A. Hoffman)이나 하이네, 그리고 프라일 리그라츠(F.Freiligrath)등의 동료들처럼 찬란한 환상의 시인이 되는 것이었고, 사회비평에 대해서는 별로 흥미를 느끼지 못했지만 철학적이고 사회적 사고와 정치적 저널리즘, 그리고 팽창하는 국제 노동자계급 운동의 지도적 위치에서 정치적 행동에 더욱 몰두하게 되면서 결국 이러한 목표를 포기하였다.
계급은, '이념 그 자체' 로서의 프롤레타리아트를 발견하고서부터(1840년대 초부터) 맑스 사유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으며, 맑스주의의 문학적 사유는 필연적으로 사회계급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문학적 생산과 수용에 대한 가치집단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주제는 특정한 문학작품에 대해서 무수히 많은 비평가들이 저지른 오류들은 물론, 그들의 통찰력으로부터 점증적으로 출현하는 듯이 보였다. 사실 문학을 계급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계급적 등가물의 분석처럼―핵심적 개념은 맑스나 엥겔스에 의해서 제공된 것이 아니라, 최초의 맑스주의 문학이론가 가운데 한사람이었던 메링과 플레하노프에 의해서 제공된 것이다.
계급적 등가물의 개념은 (다소 계급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정치적 견해의 명료한 진술들로부터 문학작품에서 일련의 상호연관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청년 헤겔파가 경향적 작가들이라고 불리었던 것이나 맑스가 1860년 2월 29일에 프라일리그라츠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 개념을 '위대한 역사적 의식에 있어서의 당', 즉 인간성을 위한 진보적 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라고 논증적으로 묘사한 것 등에서 더욱 자주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맑스는 대부분의 작가들이 자기이해(계급적 이해)로부터 진정한 보편적인 문학적 정서로 비약할 수 있는가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발자크의 소설들(저자가 '군주의 길' 의 헌정사에서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에서 이러한 비약이 일어났을 때 맑스는 그의 작품을 칭찬하였다. 반면에 그는 심지어 사회주의적이거나 급진적인 작가들조차 평등과 우애의 기치를 높이 들지만 자신들의 계급적 출신성분과 지위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고 비웃었는데, 유지 슈에(Eugene Sue)는 그가 비웃는 사람 가운데 한사람이었다(《신성가족》(5장이나, Prawer, S. S. 1976 4장 ;'Karl Marx and World literatuere'를 참조).
문학에서 계급적 상호관계에 대한 후기 맑스주의의 분석은 계급투쟁을 강조하는 박틴(Bakhtin)의 급진적 휴머니즘으로부터 문학을 문학 속에 표현된 계급의 '세계관'의 관점으로부터 검토하려는 골드만(L. Goldman)의 '발생론적 구조주의' 로 까지 폭넓게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 분석에 근거하고 있는 레닌의 단 몇 편의 문학에 대한 저술들은, 1930년대 볼셰비키 문학비평에 있어서 작가의 출신성분이 그의 총체적이고 지속적 관심과 태도를 결정한다는, '속류적' 분석이 크게 극복된 작품들에 의해서 완전히 대체되었다. 단순히 분류하는 과정으로 '계급적 등가물' 의 개념을 파괴하는 이러한 종류의 분석은 소련의 비평가 프리케(V. Friche)에 의해서 예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싸르트르는 플로베르(Flaubert)의 계급적 교육에 대한 가치 있는 연구에서 이와는 전혀 다른 사유의 맥락에서 '계급적 등가물' 의 개념을 부각시키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문학적 성과가 뛰어난 작품들만이 감수성이 예민한 비평가들에게 '내용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할 것이다.

사실주의적 방법 Realist Method
맑스와 엥겔스에 의해 실현된 매우 실제적인 이론적 정립은 작품의 설화적 가능성에 대한 사회계급의 연관성을 묘사하기 위한 확고한 근거를 제공한다. 여기서는 '전형성' 에 대한 신헤겔주의적 개념이 중심을 이룬다. 맑스와 엥겔스는 라살레(Lassalle)의 사극 《Franz von Sickingen》에서 구성되어 있는 그의 문학적 방법에 대해서 장황하게 언급하고 있는데 (1859년 4월 19일, 마르크스가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 1859년 5월 18일, 엥겔스가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 나중에 다시 보낸 엥겔스의 편지와 함께 이 글들은 소설에서 역사적 현상에 대한 표현과 관계되는 그들의 입장에 대해서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엥겔스는 마가렛트 하르크네스(Margaret Harkness)에게 보낸 그녀의 소설《도시소녀》에 관한 편지(1888년 4월 초순)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만약 내가 당신의 소설에 어떤 비평을 한다면, 그 내용은 당신의 소설이 충분히 사실적이지 않다는 것에 관한 지적이 될 것입니다. 사실주의란, 내 생각으로는, 구체적 진실 이외에도 전형적 상황에서 전형적 성격들을 진실 되게 창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학에 있어서 사실주의에 관한 루카치의 연구는, 좁은 의미에서, 이와 같은 견해에 대한 원칙적 해석이라 하겠다.
문학적 사실주의에 관한 맑스주의적 개념을 탐구하는 것은 오직 소설이 역사책처럼 진실을 담고 있다는 가정을 세움으로써만 시작될 수 있다. 맑스는 호프만이나 발자크의 환상으로 가득 찬 이야기들을 칭찬해왔는데, 설화적 묘사의 매끄러운 '반영' 이론을 추종하는 맑스주의자들의 작품을 읽을 때면 이러한 방식에 어떠한 껄끄러움도 발견할 수가 없다. 미국인 프레이나(무용과 미래파에 관한) 등과 같은 초기 맑스주의 작가들은 브레히트(Brecht)와 다른 사람들이 1930년대와 그 이후까지 논쟁을 통해 새롭게 정리한 사실주의와 모더니즘에 관한 주장들을 칭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카프카의 작품들은 결정적으로 이러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 매우 자유롭던 전기 스탈린 시대의 정통 맑스주의 문학비평가들은 피셔(Fisher), 가로디(Garaudy), 그리고 푸엔테스(Fuentes) 등과 같은 '변절자' 들의 카프카 숭배와 맞섰다. 많은 맑스주의자나 맑스주의 예술가들은 소련에서 정통 시대와 소련 집권당에 의해 지배되는 지적 그룹들을 통해서 상징주의, 환상, 초현실주의, 알레고리(allegory), 그리고 주관주의 등을 자유롭게 경험하여 왔는데, 그러한 주제들이 취했던 방식은 공산주의 편집자들과 작가들에 의해 매우 잘못된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사실주의에 관한 맑스주의 이론의 올바른 역사는 영화제작자, 시인, 소설가, 화가, 산업디자이너 등과 그 외의 모든 창조적 기고가들의 업적과 주장들이 적절히 평가되어질 때 비로소 쓰여질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지속적이고 다시 발현되어져야 할 과제일 것이다.

소외와 탈소외 Alienation and Disalienation
맑스의 소외 개념은 그의 역사이론의 계급 투쟁적 주제라는 차원에서 강조되는 것이며 문학이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소설에서 계급적 등가물(다른 중요한 요소들 중에서도)을 지각하게 되는 것은 사회생활에서 종족적 잠재력의 상실과 혼란, 갈등의 결과를 표현하는 것이며, 문학작품 속에 있는 신화적이고 일상생활에 기초한 형식적인 등가물에 대해 비평가와 이론가를 지각시키고 훈련시켜 주는 것이다. 따라서 맑스는 슈(Sue)의 소설《파리의 비밀》에 나오는 여주인공의 인간성 일반에 관해 평하면서, 그 여주인공이 사실은 저자의 정신과 경험의 부족함을 무심코 드러내주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그는 산업화의 시대가 창조적 상상력의 빈곤을 유발시키고 있으며―더 이상 신화나 고대 그리스 시대의 미적 조화를 찾을 수 없으며―자본주의의 지배적인 사회계급의 특성들은 정욕에 의해 추진되며, 르네상스시대의 주도 그룹들에 의해서 존중되어온 모습은 모두 상실되고 말았다고 주장하였다(《요강》서문).
개별적 문학작품에 맑스와 엥겔스가 붙여 놓았던 주석들을 이러한 철학적 차원에서 정리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며, 그 결과는 맑스주의 추종자들 가운데 일부에 의한 세부적 문학적 해명들을 많은 부분에서 위축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생활의 질의 박탈에 대한 분노감과 인간의 자기인식에서의 왜곡에 대한 분노감은 맑스의 작품이 탁월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경제학 및 철학 수고》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그것은 고무적이고 권위 있는 요소이며 도덕적 가능성과 실천적인 지침으로서의 그의 탈소외에 대한 깨달음은 분노에 대한 조화와 상황을 올바르게 한정짓는 데 공헌하였고, 이것이 우리 시대의 다른 철학적이거나 역사적인 이론들과 맑스주의를 구분 짓게 하고 있다.
반유토피아적인 요소로 생각되는 것을 비판적 분석의 경험적 사례에 적용하는 데에는 위험이 뒤따른다. 상실, 축소, 무지, 혼란, 부재에 대한 자각은 존재에 대한 상세한 열거를 압도할 것이다. 그러나 방법론적으로는 소외되는 것의 개념이나 공간 속에 존재한다고 선언하지 않고, 존재하는 것은―의지를 필요로 하기 전까지―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유용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는 식의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예술과 문학은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상적 영역이다. 최근의 비판적 맑스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바로(Bahro, 1978)는‘모든 예술이 가지고 있는 해방시키는 힘과 인간화시키는 힘’을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예술가와 작가는 소외와 탈소외의 문제에 대한 상호 탐험가들이며 미적인(문학적인) 가치는 대중적 영역에 부여되어 있는 탈소외의 가치 집단들 중에서 가장 실체적인 것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Baxandall, Lee 1968: Marxism and Aesthetics: A Selective Anotated Bibliography.
Bisztray, George 1978: Marxist Models of Literary Realism.
Bullock, Chris ans Peck, David 1980: Guide to Marxist Literary Criticism.
Demetz, Peter 1967: Marx, Engels and the Poets: Origins of Marxist Literary Criticism.
Eagleton, Terry 1976: Criticism and Ideology: A Study in Marxist Literary Theory.
Goldman, Lucien 1964(1975): Towards a Sociology of the Novel.
Jameson, Frederic 1971; Marxism and Form: Twentieth Century Dialectical Theories of Literature.
Lukács, Georg 1964: Realism In Our Time: Literature and the Class Struggle.
Morawski, Stefan 1974: Inquires Into the Fundamentals of Aesthetics.
Prawer, S. S. 976: Karl Marx and World Literature.
Weinmann, Robert 1976: Structure and Society in Literary History.
Williams, Raymond 1977: Marxism and Literature.
■ 인접어

모택동
모험주의
무신론
무장봉기・군사문제
무정부주의
문학
문학
문화
물신숭배
물질
물질物質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