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미적 직관 ] (英 Aesthetic intuition)


(獨 Ästhetische Anschauung(Intuition), 英 Aesthetic intuition,
佛 Intuition esthétique )

일반적으로 직관(혹은 직각)은 대상의 직접적인 (개념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 관찰이나 인식의 작용을 의미하며, 따라서 본래 직접 체험인 미의식에서는 그 중요한 본질적 계기를 이루는 것이다. 몇몇 이론은 미적 직관을 미의식의 지적ㆍ객관적 측면에서 직접적 작용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미적 감정에 대립시키기도 한다.〔이러한 의미에서의 직관에 대해서는 이란 말도 쓰이고 schauen 이란 말도 쓰이고 있다.〕
그러나 미적 직관은 직관 일반의 구별에 따라 여러 가지 단계 또는 형식으로 나눈다. 이것을 크게 나누면 (1)감각적 직관과 (2)지적 직관이 있고 (1)은 또한 (a)지각에 의해 직접적으로 외적 대상에 관계하는 경우〔지각직관]과, (b)상상에 의해 대상의 내적 감각상(像)을 드러내는 경우〔상상직관]로 나눈다. 이에 비해 (2)는 일종의 직접적 인식을 통해 대상의 본질을 체관하여 이념적 내용을 파악하는 경우[본질 직관]이다. (1)의 (a)가 일반적으로 미적 향수(관조)의 기본적 구성요소인 것에 비해 (b)는 예술창작의 주요 성분이지만, 문예에서의 향수에서도 특별한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시어의 직관성’이 문제로 대두된다.[문예항 참조] 미적 직관은 특히 전자는 정관성을 특징으로 하고, 후자는 창조성을 나타내지만, 대체로 이 두 측면의 성격의 종합통일을 본령으로 한다. 또한 그것은 감성적 직관으로서 감각적 구상성을 가짐과 동시에 지적 직관으로서 관조의 깊이를 지니며, 이 점에서 예술을 철학에 접근시킨다. 그러나 이들 직관의 계기들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데 섞여서 하나의 전체로서 존재하며, 또 이것이 미적 감정과 불가분의 관계로 융합한다.
단, 미의식에서 직관의 의의와 위치에 관해서는 이론에 따라 차이가 있다. (1)심리주의 입장에서 지베크(hermman Siebeck,1842~1920)는 미적 직관을 단순한 감각․ 지각이 포착할 수 없는 대상의 미적 전체관계, 즉 형식을 파악하는 정신적 활동이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쉬미트 코바르치크(Walther Schmied-Kowarzik)도 직관은 대상의 통일적 형태를 직접 인식할 수 있는 심적 능력이라고 한다. (2)피들러는 예술적 직관은 실재감성적 인식이며 필연적으로 고유한 표현을 향해 발전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 크로체는 예술을 상상에 의한 직관적 인식활동으로 파악하는 동시에, 이러한 직관을 필연적으로 표현 속에서 자기를 객관화하는 정신적 창조로 보고 그 창조성을 중시한다. (3) 형이상학적 미학은 셸링이 미적 직관을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의 통일로 파악하고 여기에서 인식의 최고 형식을 인식하고, 쇼펜하우어도 미적 직관에 의한 플라톤적 이데아의 순수인식을 이야기하지만, 더 새로운 것은 베르그송의 직관개념의 맥을 이어받아 현상학 처지에선 멕카우어가 미적 직감을 대상의 본질적 핵심에 대한 다수의 미적 이념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으로 보아 이것을 Noeama(의식대상의 측면)와 Noesis(의식작용의 측면)의 관계에서 파악하고 있다. 더욱 최근에는 신토마스주의 마리탱이 주관과 객관의 정신적 통일을 직접적으로 인식하여 작품에 필연적 실현의 길을 찾아가는 직관 작용을 예술의 근본계기로서 강조한다.
■ 인접어

립스
모방
문명사회에서의 기술과 예술

미의식
미적 직관
미적 감정
미적 관조
미적 대상
미적 범주
미적 이념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