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당파성] ([黨派性, 독 Parteilichkeit, 영미 Partisan])

일반적으로 이론을 계급적 이해의 반영으로 보는 마르크스주의 용어. 마르크스주의는 인간의 이론 활동도 전체로서 사회생활의 한 측면으로 간주함으로써 계급 사회에서는 계급의 이해에 따라서 이론도 제약된다고 본다. 이 제약성은 특히 철학이나 여러 사회과학 분야의 경우에 드러난다. 착취 계급은 그의 이론의 비당파성(공평무사, 불편부당)을 주장하지만, 객관적으로 보면 이 주장은 다만 그 당파성을 은폐하는 것에 불과하다. 마르크스주의는 이 점을 폭로하면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이익에 봉사하는 자기 자신의 이론의 당파성을 인정한다. 이 프롤레타리아적 당파성은 현존하는 사회 모순을 가장 대담하고 또 철저하게 비판할 수 있는 이 혁명 계급의 역사적 사명으로부터 그 이론의 객관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만약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 노동자 계급의 모든 이익을 정확하게 ]표현할 경우에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당파성은 당의 이론으로 대표될 것이다. 단지 당파성과 객관성의 일치 가능성은 끊임없는 '비판과 자기비판'이 없이는 결코 현실화될 수 없는 것이다.

레닌 :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당파성은 동시에 정치적 발전의 조건이기도 하며 지표이기도 하다. 어떤 주민 혹은 어떤 계급이 정치적으로 발전하고 계몽되어 자각이 높으면 높을수록, 통례적으로 그 당파성은 보다 높다. 이 통례는 모든 문명제국의 경험에 의하여 확증되고 있다. 계급투쟁의 견지에서 본다면, 다음과 같이 되는 것도 당연하다. , 무당파성 혹은 당파적 명확성의 부족, 당파적 조직성의 부족은 계급적 부동성을 뜻한다. (이것은 가장 좋은 경우 이다. 최악의 경우, 이 부족은 대중이 정치적 사기꾼에게 속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의회제도의 제 국가에서는 너무나 잘 알려지고 있는 현상이다). (페트로그라드 구()의회선거에서의 제 정당, 1917, 레닌전집 제24, p. 533)

■ 인접어

당의 독재
당의 소부르주아적 영향
당의 임무
당의 조직원칙
당의 통일
당파성
대구폭동(大邱暴動)
대안의 사업체계
대중大衆
대중노선
대중지도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