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중산계급 ] (middle class)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중산층’이라는 개념을 일관된 의미로서가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엥겔스는 《노동계급의 상황》의 한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영어의 중산계급에 프랑스어 단어는 부르조아지이다. 이 개념들은 귀족계급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소유계급을 의미한다.’ 그는 봉건체제에서의 부르조아의 발전을 기술하는 데 이 개념을 사용하였다.(《공상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 그러나 마르크스는 엥겔스와는 달리 ‘쁘띠-부르조아’라는 의미로 중산계급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쁘띠-부르조아’는 부르조아지와 노동계급 사이의 계급을 의미한다.(《잉여가치론》에서) 그는 중산계급의 확대를 자본주의 발전의 중요한 특징으로 두 번에 걸쳐 지적하고 있다.(→계급) 그러나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 누구도 중산계급을 체계적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특히 소기업가, 예술가, 교수, 자영농들과 같은 ‘기존의 중산계급’과 성직자, 전문 경영인, 기능공, 선생, 정부관료 등과 같은 ‘신진 중산계급’ 간의 구분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후기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중산계급이 갖고 있는 중요한 두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로 그들은 다른 맥락에서 중산계급이 갖고 있는 정치적 특성을 분석했는데, 특히 그것은 파시즘과 관련된 것이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쁘띠-부르조아를 사회에서의 보수적 요인, 즉 노동귀족으로서 노동 운동의 수정주의자라고 보았다.(《신 라인 신문》 1850) 1920년대, 1930년대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쁘띠-부르조아를 파시즘 운동의 사회적 근거로 보았지만, 그러나 기이하게도 선진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중산층의 과격주의’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중산계급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을 구별하지 않고서 중산계급의 정치성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점원, 소기업가, 고임금의 교수, (부르조아로 흡수될) 경영인, 기술자, 지배인, 성직자 등등 여러 그룹으로 나눈다고 할지라도 만족스런 분류-예를 들어서 ‘상류 중산계급’과 ‘하류 중산계급’으로-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다른 정치적 동맹을 설명하기 위한 계급분류가 불가능하다. 정치적 동맹은 문화적 요인의 다양성과 특수한 정치적 조건들에 의해서 알게 모르게 강한 영향을 받는다.
더욱 큰 관심을 끈 중산계급의 두 번째 특징은 중산층의 수적 성장이다. 베른슈타인(1899)은 ‘중산계급은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사실을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대한 수정의 근거로서 제시했다.(계급의 양극화에 대한 정통파의 관점은 중산계급의 소멸을 가정하고 있다.) 렌너(1953)는 ‘서비스 계급’의 실제적 성장이 근본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구조를 변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중산계급을 정의하려는, 그리고 최근에 중산계급과 노동계급의 한계를 규정하려는 시도를 한 사람은 플란차스(1975)이다. 그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두 개의 기준을 사용했다.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의 구분(그는 생산 노동자들을 잉여가치를 창출하고 직접적으로 물질적 생산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라고 정의했다.),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구분이 그것이다. 라이트가 주장했던 것처럼(1978) 이러한 기준을 사용한 결과,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계급을 더욱 축소시키고 중산계급을 더욱 확대시켰다. 이것은 노동계급 운동의 미래에 관하여 문제를 유발시켰으나 플란차스는 이 문제를 생각하지 못했다.
다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반대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했다. 그들은 사무지 노동의 구조화이 결과 중산계급이 프롤레타리아화 된다고 주장했다.(Braverman 1974) 또한 그들은 기술자, 기능인, 전문직 노동자가 특히 1960년대 후반기 프랑스에서의 잠재적 과격성을 과시했던 ‘새로운 노동계급’을 이루었다고 주장했다.(Mallet 1975) 프롤레타리아화 이론은 반마르크스주의적 사회학자들이나 몇몇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저서에서 다른 형식으로 발견되었던 노동계급의 부르조아지화 이론과는 반대된다.(Marcuse 1964) 반대되는 두 이론 중에서 어떤 이론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궁극적으로 정치적 태도나 정치적 조직화의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노동계급의 정당이 프롤레타리아화된 중산계급의 지지를 얻는가, 못 얻는가 하는 것도, 그리고 당의 중심이 가장 많은 중산계급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게 되는가, 그렇지 못한가 하는 것도 모두 정치적 태도의 문제이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분석은 한편으로는 동질성의 결핍과 중산계급을 특징짓는 가장 두드러진 역사적 동요에 관심을 기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르크스의 계급 이론과 반대되는 막스 베버에 의해 강조된 중산계급의 사회적 지위의 특징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의 이러한 두 경향을 다루고 있다.

■ 인접어

주식회사
중간(도)주의
중국혁명론 - 마르크스・엥겔스
중국혁명의 길
중국혁명의 특성
중산계급
중산계급
중앙집권화와 지방분권화
지대
지리학
지방주의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