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소득혁명론] (Theory of Revolution in Incomes)

1950년대에 광범하게 선전된 대중자본주의론(「대중자본주의론」참조)의 구성부분인 부르조아경제학이론. 이 이론의 기본적인 전제에 따르면, 경제발전이 이루어져서 1인당 소득의 증대가 보장되면 국민소득은 좀더 고르게 분배된다고 한다. 즉 부유층의 몫은 감소하나 빈곤층의 몫은 그에 따라 증가한다. 이 개념은 노동자, 피고용자, 농부 그리고 소기업의 소유주를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인 ‘중간계급’이란 신화를 선전하기 위해 이용된다. 착취자와 피착취자가 공통의 목표와 이해를 가진다는 환상은 이러한 방식으로 창출된다. 부르조아 경제학자들은 누진세제 때문에 소득이 평준화된다고 주장한다. 사실 자본주의국들의 법규로 인하여 자본가들은 그들 이윤의 다량을 숨길 수 있다(예를 들어 장부조작, 누진과세액을 줄이기 위해 소득을 분할할 가능성 등). 미국에서는 국채와 시채(市債)에 지불되는 이자, 배당금에서 나온 일부 소득, 자선단체와 선거운동에 대한 기부금, 사채에 지불되는 이자 등이 과세대상이 아니거나 과세대상소득으로부터 공제될 수 있다. 공식통계에서도 선진자본주의국들의 소득분배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다는 주장의 허구성이 드러난다. 사회적으로 매우 현저하게 대비가 되는 미국을 보면, 1972년에 가장 부유한 5%의 사람들이 국민 총소득의 약 16%를 받았지만 같은 시기에 2,500만명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였고, 1,200만명은 바로 빈곤선 수준에서 생활했다. 1970년대 중반의 세계경제공황으로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극도로 심화된 계급모순이 표출되었으며, 노동대중의 소득과 생활수준의 극적인 하락이 나타났다. 항상적 대량실업, 인플레이션의 진행, 실질임금의 하락과 노동강도의 증대는 막대한 수의 노동대중이 고난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표시이다. 이 이론의 파산은 부르조아 학자들 스스로도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영국의 부르조아 경제학자인 조안 로빈슨(Joan Robinson)은 상대적 빈곤이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제성장은 더욱 커다란 절대적 빈곤을 가져온다고 했다. 소득혁명론은 자본주의하에서 분배의 적대적 본성을 은폐하고 있으므로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로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본성을 밝히지 못한다. 반면에 그것은 빈곤과 사회적 불평등이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틀내에서도 제거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냈다.
■ 인접어

세계시장世界市場
세계의 경제적 분할
세계의 영토분할
세계자본주의 경제체제
세계적 분업
소득혁명론
소련공산당의 경제전략
소련공산당의 경제정책
소련공산당의 농업정책
소련의 과학기술발전연합기금
소련의 과학기술진보를 위한 포괄적 계획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