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교육] (education)

마르크스주의적 교육 개념의 요소는 1840년대 부터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여러 저서들에서 나타난다.(예를 들면 《자본론》, 제Ⅰ권, 제 13장; 《독일 이데올로기》, 제Ⅰ권;《고타강령 비판》, 제4장;《공산주의원칙》). 교육에 관한 좀 더 일관성 있는 이론은 점차적으로 이러한 기초 위에서 형성되어 왔다. 10월 혁명과 마르크스주의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필요에 의해서 교육이론의 추진력이 주어졌다(레닌, 크루프스카야, 블론스키, 마카렌코). 사실 마르크스주의적 교육 이론은 본질적으로 실천의 이론이다. 교육이론에 공헌한 주요 인물 몇 명을 열거하면 베벨(Bebel), 조레스(Jaurés), 제트킨(Zetkin), 랑게빈(Langevin), 왈룬(Wallon), 세브(Séve) 등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현재 이론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ⅰ)문화 또는 지식의 독점과 특권화 된 학교교육 형태의 폐지를 실현하는 방향에서, 모든 어린이에게 의무적이고 동등한 무료 공교육이다. 처음의 계통적 조직화에서 공교육은 제도교육이어야만 한다. 그 이유는 노동자계급의 열악한 생활조건으로 때문에 어린이의 전인적 발전이 저해되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이면의 또 다른 목적은 명백히 사회적 재생산에서 가족의 역할을 약화시키고 보다 평등한 조건에서 어린이를 양육시키며, 어린이를 사회화시키는데 공동체의 힘을 활용할 필요성에 있다. 사실 마카렌코에서 쿠바의 학교에 이르기까지 가장 성공적 혁명적 교육의 시도는 제도적 환경에서 일어나고 있다.
(ⅱ)물질생산과 교육의 조화(또는 마르크스의 공식 가운데 하나에서 교육, 즉 지적 훈련과 생산적 작업의 조화)이다. 여기에 함축된 목적은 더 좋은 직업훈련이나 직업윤리의 교육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생산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게 함으로써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즉 개념과 실천 간의 역사적 차이를 없애는 데 있다. 이 원칙의 이론적 타당성이 널리 인정되는 반면, 그것의 현실적 적용(매우 짧거나 부분적으로 성공한 경험에서 보여지는)은, 특히 급속한 과학적-기술적 변화의 조건에서는 문제를 드러낸다.
(ⅲ)교육은 인격의 전인적 발전을 보장해야만 한다. 과학과 생산이 재결합됨에 따라 인간은 완전한 의미에서 생산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토대에서 인간의 모든 잠재력이 펼쳐질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필요의 세계가 등장하여 개인들을 소비, 오락, 문화의 창조와 향유, 사회생활에의 참여, 타인과의 교제, 자기 성취(자기 창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사회 생활의 영역에서 활동하게 한다. 이 목적의 실현은 무엇보다도 그 초기 단계에서만 어려운 과제라고 할 노동의 사회적 분업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ⅳ) 공동체는 교육과정에서 새롭고 커다란 역할을 맡고 있다. 이것은 학교 안의 집단 관계를 변화시키고(경쟁에서 협동과 협력으로 전환), 학교와 사회 간의 더욱 개방된 관계를 내포하며, 선생과 제자 상호간에 풍부하고 적극적인 이중적 관계를 전제로 한다.
위에서 묘사한 이론은 완결되지 않았다. 위의 원칙에 대한 해석 또는 그것에 일치하는 실천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역시 여러 논쟁들이 진행되고 있는 데 (마르크스주의자들 내부에서와 마르크스주의자와 비마르크스주의자 사이에), 그것은 인격 이론, ‘천성-교육’논쟁, 사회적 재생산에서 학교와 교육의 역할과 보편적-사회적 결정론 안의 혁신적 잠재성,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는 데교육의 내용과 방법, 구조의 상대적 중요성 등에 관한 것이다.


[관련자료]
Appel, M. W. 1979: Ideology and Curriculum.
Bebel, August 1879(1886): Women and Socialism.
Bourdieu, P. and Passeron, J. C. 1977: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Bowles, S. and Gintis, H. 1976: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Ferge, Zsuzsa 1979: A Society in the Making, ch. 4.
Freire, Paolo 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Gramci, Antonio 1973: L'alternativa pedagogica.
Jaurés, Jean 1899: Le socialisme et l'enseignement.
Langevin, Paul 1950: La pensee et l'action.
Lenin, V. I. 1913(1963): 'The Ques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Policy'.
-1920(1966): 'On Polytechnical Education.
Notes on Theses by Nadezhda Konstantinova'.
Lindenberg, D 1972: "L'Internationale communiste et l'école de classe.
Manacorda, M. A. 1966: Marx e la pedagogia moderna.
■ 인접어

관리통화제도(管理通貨制度)
광동코뮌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
괴팅겐 사건
교원노조운동(敎員勞組運動)
교육
교육(敎育)
교육敎育
교육법(敎育法)
교육원조(敎育援助)
교육정책(敎育政策)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