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이동휘(李東輝, 1873~1935) (兒名)李獨立 (號)誠齋] ()

(新民會 평의원) 함남 단천 출신으로, 단천 군청의 통인(通引)으로 일하다가 1891년 군수의 탐학에 분개하여 불화로를 뒤집어씌우고 도망했다. 1896년 서울에 신설된 한성무관학교에 입학했다. 1899년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한성근위대와 궁성수비대에서 근무했다. 1901년 삼남 검사관으로서 지방관료의 부정부패를 다스렸다. 1902년 육군참령(參領)으로서 강화진위대장이 되었다. 이 무렵 기독교에 입교하여 미국선교사 벙커(Bunker)와 함께 합일학교(合一學校)를 세웠다. 1904년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했다. 1905년 강화진위대장 겸 보창학교장, 대한자강회(大韓自彈會) 강화지부장, 감리교회 권사로 활동했다. 을사조약 직후 ‘읍혈상언(泣血上言)’을 왕에게 올렸다. 1906년 신채호(申宋浩)가 주재한 『가정잡지(家庭雜誌)』 발행에 참여했으며,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 부회장, 서북학회(西北學會) 임시의장, 비밀결사 신민회의평의원 및 함경도 총감이 되었다. 1907년 군대해산령 이후 전등사에서 강화진위대를 중심으로 의병봉기를 밀의했으나, 체포되어 인천 앞바다 대무의도(大舞衣島)에 유배되었다가 벙커 등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1908년 이또오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암살을 기도한 혐의로 구금되었다. 이후 전도사가 되어 캐나다 선교사 그리어선(Robert Grierson)과 함께 원산, 성진, 강원도 각지에서 포교활동을 했다. 1910년 성진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었으나 곧 석방되었다.
(임정 국무총리, 고려공산당 대표) 1911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대무의도에 유배되었다가 탈출하여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 명동촌(明東村)으로 망명했다. 그곳에 광성학교(光成學校), 배영학교(培英學校)를 설립했다. 1913년 항일무장투쟁을 실천하기 위해 나자구무관학교(羅子溝武官學校), 밀산무관학교(密山武官學校)를 설립하여 운영했다. 그 시기 권업회(觀業會)에 가입하여 『권업신문』을 간행했다. 무관학교가 재정난에 빠지자 1914년 연해주로 갔다. 1915년 왕청현(任淸縣) 합마당(哈蟆塘)으로 이주하여 뇌자구(磊子溝)에 무관학교를 세웠다. 러시아 2월 혁명이 성공한 후 러시아 영내에서의 반일운동을 재개하기 위해 블라지보스또끄로 잠입했다가 1917년 4월 독일과의 전쟁을 계속 추진중이던 러시아 임시정부 경찰에 의해 ‘독일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었다. 약 7개월간의 수감기간중 볼셰비끼와 접촉하며 『공산당선언』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등을 읽었다. 11월 러시아 10월혁명파의 도움으로 알렉세예프스끄감옥에서 석방되었다. 1918년 하바로프스끄에서 개최된 한인혁명가회의에 참가하여 김알렉산드라와 함께 볼셰비끼를 지지했다. 그해 4월 한인사회당 결성대회에 참가해 위원장이 되었다. 3 ․ 1운동 후 성립된 한성정부의 국무총리로 지명되었다. 10월 상해(上海)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확대 개편되었을 때 국무총리로 취임했다. 그후 상해에서 한인공산당 결성에 참여했다. 1921년 모스끄바 자금의 사용을 둘러싸고 물의가 일어나자 임정 국무총리직을 사임했다. 5월 고려공산당(이르꾸쯔끄파)이 창당되자, 그에 대항하여 국내 사회혁명당과 제휴하여 고려공산당(상해파)을 조직했다. 그해 박진순(朴鎭淳), 홍도(洪濤)와 더불어 고려공산당(상해파)의 코민테른 파견 대표자로 선임되어 모스끄바로 갔다. 11월 레닌과 접견했다. 1922년 10월 고려공산당의 통일을 위해 소집된 베르흐네우진스끄 연합대회에 참가했다.
(꼬르뷰로 위원, 혁명자후원회 간부) 1923년 블라지보스또끄의 코민테른 산하 꼬르뷰로(조선공산당 중앙총국) 위원이 되었다. 이 무렵 적기단(赤旗團)을 조직하고 최고위원이 되었다. 12월 꼬르뷰로 위원인 이성(李成), 정재달(鄭在達)과 함께 꼬르뷰로를 해체하고 당 건립의 기초를 국내에 둘 것을 주장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1925년 창립된 조선공산당에 참가하지 못하고 블라지보스또끄 신한촌(新韓村)의 도서관장으로 일했다. 1927년 이후 국제혁명자후원회(모쁠) 조선지부에 참여하여, 탄압받는 공산주의자를 돕기 위해 노력했다. 1928년 코민테른 조선문제위원회에 서울상해파의 대표로서 ML파의 한빈(韓斌), 화요파의 김단야(金丹冶)와 함께 참여했다. 1930년부터 국제 모쁠 연해주 간부로서 수감자를 원조하고, 망명을 주선하여 숙소와 학교 입학 등의 편의를 제공했다. 1932년 러시아 극동모쁠 열성자대회에서 표창을 받았다. 1935년 1월 블라지보스또끄 신한촌에서 사망했다.
■ 인접어

이동우(李東旴, 생몰년 미상)
이동우(李東雨, 1913~?)
이동학(1914~38)
이동호(李東浩, 1917~?)
이동화(李東和, 생몰년 미상)
이동휘(李東輝, 1873~1935) (兒名)李獨立 (號)誠齋
이동휘(李東輝, 1873~1935) (兒名)李獨立 (號)誠齋
이두문(李斗文, ?~1935)
이두산(李斗山, 1885~?) 李賢壽
이두익(李斗益, 1919~?)
이두춘(李斗春, 1908~?)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