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전체주의 ] (totalitarianism)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1920년대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을 묘사하기 위해 정치학자들이 처음으로 도입하여 후에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소련(특히 스탈린 시대의 소련→스탈린주의)을 포함시키는 데까지 확대 적용되었다. 그것은 1950년대의 냉전 기간에 서구 정치학과 저널리즘에 의해 하나의 용어로서 확고하게 정립되었다. 전체주의의 가장 잘 알려진 정의 중의 하나에서는 (Friedrich 1969) 전체주의 정권을 다른 독재정권이나 민주정권과 구별하는 6가지 특징을 열거하고 있다. 즉 전체주의 이데올로기, 이 이데올로기를 떠맡는 유일 정당, 고도로 발달된 비밀 경찰, 그리고 세 종류의 독점적 통제 -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통제, 정비된 무기의 통제, 그리고 경제조직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통제이다.
그러나 다음의 두 마르크스주의자는 전체주의의 개념을 엄격하게 사용했다. 노이만(1942)은 독일 국가사회주의 정권을 ‘전체주의 독점적 경제’로 묘사하였으며(→파시즘), 그리고 ‘전체주의 국가’의 교의를 ‘공공생활의 모든 영역’의 것으로 자세히 분석하였다. 힐퍼딩은 그의 두 권의 마지막 저서에서(1940, 1941) 노이만과 같은 심각한 경제분석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 개념인 ‘국가 자본주의’라 소련을 특징지우거나, ‘관료주의 통치 체계’(트로츠키)로 특징짓기를 거부하면서 소련을 ‘전체주의 국가 경제’라고 주장하였다. 즉 볼세비키는 전체주의란 말이 생겨나기도 전에 최초의 전체주의 국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 후 계속해서 그는 마르크스의 국가 이론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수정을 제안했다. 그는 독립적인 현대 국가는 자신의 목적에 여러 사회집단을 종속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즉 “모든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최선”을 의미하는 역사는 엥겔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사물에 대한 관리”로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결국은 국가 권력을 쥔 자들에 의해 경제 정복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가르쳐왔다. 마지막으로 힐퍼딩은 ‘국가 권력의 발전은 현대 경제의 발전을 동반한다.’고 주장하며,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회 제 과정을 국가 의지에 종속시키는 범위로까지 전체주의 국가를 규정하였다. 노이만과 힐퍼딩의 분석은 모든 현대 사회에서 내정간섭 국가의 성장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자의 논쟁과 관련하여 계속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 인접어

저널리즘
전독일노동자협회
전시 공산주의
전쟁
전체적 인간
전체주의
전체주의
정당政黨
정신분석
정체政體
정치경제학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