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노동자귀족] (labour aristocracy)

"노동자귀족"이란 용어는 홉스봄(1964)이 지적했던 것처럼 "최소한 19세기 중엽부터 노동자계급의 대표적 상류층을 나타내는 말로서 사용되어 왔다"(p, 272).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신 라인 신문》(Neue Reinische Zeitung)에 실은 한 정치평론에서 이 개념을 사용했다. 《정치경제학 평론》(1850년 10월)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지적했다. 인민헌장 운동은 두 부류로 나뉘어지는 데, 한 부류는 '실질적으로 노동자계급적 조건에서 살아가는 노동자대중들이 속한'혁명적 부류이며, 또 한 부류는 '준시민계급들과 노동자귀족들을 포함하는'개량주의자들이다. 그 뒤 레닌은 노동운동에서 개량주의와 노동자귀족들을 관련지어 생각했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 쓴 저서에서 그는 '어떤 노동자계층은(노동운동의 관료들과 노동자귀족들은…) 그들의 동반자인 준시민계급과 함께…기회주의자와 개량주의로의 경향으로 나가는 데 주요한 사회적 주춧돌로 작용하고 있다'(《전집》, 제21권, p.161)라고 했다. 막스 아들러는 노동자계급과 파시즘의 관계에 대한 논문에서 (1933), 보수적 이데올로기의 만연에 대한 책임을 '자신들을 그들 이외의 노동자계급과 엄밀하게 구분하는' '수적으로 증가된 특권층으로서'노동자귀족에게 돌렸다. 그의 분석은 궁극적으로 노동자귀족의 개념과 시민계급화의 개념(엥겔스가 이미 1880년과 1890년 편지에서 사용했던)을 결합시켜 최근까지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홉스봄(1964)은 19세기 말 영국의 노동자귀족이 노동자계급의 15퍼센트를 점하고 있었으며, 20세기에도 지속적으로 변화되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특히 사무직-기술직 노동자라는 '새로운 노동자귀족'을 지적하였다. 또 이 논문은 오늘날 자본주의사회에서 노동자귀족은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며, 보다 중요한 것은 노동자계급의 위치에서 전반적 변화와 새로운 중산계층의 성장임을 지적하고 있다.

[관련자료]
Adler, Max 1933 (1978): 'Metamorphosis of the Working Class'. In Bottomore and Goode eds. Austro-Marxism.
Hobsbawm, Eric 1964: 'The Labour Aristocracy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In Labouring Men.
Moorhouse, H. F. 1978:'The Marxist Theory of the Labour Aristocracy'. Social History, vol. 3(1)


■ 인접어

노동자 아소시아시옹
노동자계급
노동자계급(勞動者階級)
노동자계급 운동
노동자교육협회
노동자귀족
노동자문학 勞動者文學
노동자복지 勞動者福祉
노동자우애회
노동쟁의(勞動爭議)
노동정책(勞動政策)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