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갑영 (姜甲永,생몰년 미상)   |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 참가자)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1931년 1월 광주에서 사회주의 비밀 결사를 조직하고 책임자가 되었다. ... |
* 강건(姜健,1918~50) 姜信泰   |
(항일연군 敎導旅 제4영장,인민군 총참모장) 경북 상주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1928년 부모를 따라 만주 흑룡강성(黑龍江省) ... |
* 강경팔 (姜京八,1909〜?)   |
(조공 만주총국 당원) 1928년 조선공산당 만주 총국에 입당했고 1930년에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1932년 연길현(延吉縣) 노두구(... |
* 강구우 (姜九禹, 생몰년 미상)   |
(고려공산당 北滿지부장) 3·1운동 당시 대한 국민회 제2중부지방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1922년 고려공산당(상해파)에 입당하여 북... |
* 강귀남 (姜貴南,1911〜?) 姜京子 金福順 (여성)   |
(경성콤그룹 참가자) 함남 홍원 출신으로 1925년 아버지의 결혼 강요에 반발, 가출하여 서울의 여자고학생상조회에 가입했다. 1932... |
* 강규해 (姜奎海, 1901~?)   |
(고려공청 회원) 평남 대동 출신으로, 1927년 8월경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했다. 1928년 6월 ‘조선공산당[春景園黨] 검거사건’으... |
* 강균환 (姜均煥,1900~?)   |
(조공 당원) 서울 출신으로, 1925년 3월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응원회 집행위원이 되었고, 같은 달 서울인쇄직공청년동맹 결성에 ... |
* 강기보 (康起寶, 1906〜?) 姜基寶   |
(고려공청 회원) 평북 출신으로, 1926년 10월 평양 편리화(便利靴)직공조합 발회식에서의 축사내용 때문에 검거되었다. 1927년 평남... |
* 강기적 (康基迪,1901〜?)   |
(조공 당원) 평북 영변 출신으로, 1925년 겨울 평양에서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했고 1926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했다. 1928년 6월 ‘조... |
* 강달모 (姜達模,1909~75)   |
(광주학생운동 참가자) 전남 나주 출신으로, 1929년 6월 전남공립사범학교 3학년 재학중 장재성(張載性)의 지도 아래 광주에서 조... |
* 강달영 (姜達永, 1887〜1942) 黃山 紅爐   |
(조공 책임비서)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어려서 10년간 한학을 수학했고, 진주도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진주·합천에서 3·1운동... |
* 강대창 (姜大昌, 생몰년 미상)   |
(신간회 진주지회 간사) 경남 진주 출신으로, 1923년 3월 진주 금주단연회(禁酒断煙會) 조사원이 되었다. 1924년 10월 사상단체 동우... |
* 강대홍 (姜大洪, 1904〜?)   |
(고려공청 경남도책) 경남 김해 출신으로, 일본 유학중 1923년 9월 칸또오(關東)대지진을 겪은 뒤 귀국했다. 1925년 1월 경남청년연... |
* 강덕선 (姜德善, 1913〜49)   |
(강릉공산청년동맹준비위 책임자)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강익선(姜益善)의 동생이다. 1928년 강릉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강릉공립... |
* 강도구 (姜道求, 1902〜?)   |
(홍원농조 참가자) 함남 홍원 출신으로, 학천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서울 중동학교 재학중 북풍회계 학생운동단체인 서울학생구... |
* 강동범 (姜東範, 1892〜?)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성진 출신으로 1929년 8월 북간도에서 혁명자 구원회 활동에 종사했다. 1930년 조선공산당 만주... |
* 강동주 (姜東柱,1906〜?) 南天祐   |
(고려공청 책임비서) 함북 회령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마친 후 가족과 함께 만주로 이주했다.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릉현(穆陵... |
* 강두석 (姜斗錫,1903〜?)   |
(경남남부적색노조건설위 농민부 책임) 경남 진주 출신으로, 1928년 2월 창립된 진주농민연맹의 쟁의부 위원이 되었다. 7월 진주... |
* 강명수 (姜明秀,1908~?)   |
(중공 老頭溝區委 군사부장) 1927년 7월 연길현(延吉縣) 신흥동(新興洞)에서 결성된 동불청년회(東佛靑年會)의 고문이 되었다. 1932... |
* 강목구 (姜穆求, 1910~35) 알리(а́ли)   |
(고려공청 재건운동 책임자) 함남 홍원의 지주 집안 출신으로, 보성고등보통학교 재학중 동맹휴학을 주도하다가 퇴학당했다. 193... |
* 강문범 (姜文範,1910-50)   |
(광주학생운동 참가자) 제주도 출신으로, 1929 년 7월 전남공립사범학교 2학년 재학중 ‘독서회 중앙부’ 산하 사범학교 독서회에... |
* 강문석 (姜文錫, 1906〜?) 金達三 姜文道 荒井 山下   |
(全協 화학노조 상임위원) 제주도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8년 4월 토오꾜오(東京)로 건너가 조선인 사회주의자들과 ... |
* 강문수 (姜文秀, 1904〜?) 姜武秀 姜武洙 趙基斗 金一松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러시아 니꼴리스끄에서 관립사범학교를 다니다가 중퇴했다. 1921년 ... |
* 강민호 (姜玟鎬,1906~?)   |
(고려공청 회원)경남 진주 출신으로, 1924년 무렵 경남지방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검거되어 1925년 3월 부산지법 진주지청에서 ... |
* 강백규 (姜伯奎, 1878~?)姜栢奎   |
(고려공산당원) 1908년 10월 용정(龍井) 후저동(厚底洞)에서 정동서숙(正東書塾)을 창립했다. 1914년 9월 화룡현(和龍縣) 호천포(湖... |
* 강병도(姜炳度, 1908~?)   |
(조공 당원,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 참가자) 경남 진주 출신으로, 강병창(姜炳昌)의 동생이며 중앙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1928년 ... |
* 강병창 (姜炳昌, 1898~?)姜徹   |
(조공 일본부 검사위원) 경남 진주 출신으로, 강병도(姜炳度)의 형이다. 서울 중동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가서 니혼대학(日本... |
* 강상범(姜相範, 1902~?)   |
(고려공청 만주총국 회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1920년대 후반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화요파)에 가입하여 남태맹(南泰孟)야체... |
* 강상욱(姜尙郁, 1901〜?) 姜柄植 姜學動   |
(조공재건설준비위 회원) 간도에서 태어나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1929년 9월경 귀국하여 1930년 7월경 조선질소비료주... |
* 강상주 (姜尙柱,1894~?)   |
(코민테른 창립대회 조선인 대표) 연해주 블라디보스또끄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광산지대로 이주하여 어... |
* 강상호 (姜尙鎬, 1915〜69)   |
(중공 훈춘縣委 서기) 함북 출신으로 1931년 가을 북간도 해란(海蘭)에서 추수투쟁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었으나 현지 농민들의 투... |
* 강상희 (姜相熙, 생몰년 미상)   |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1921년 3월 조선노동공제회 제2차 정기총회 예비총회에서 정기대회 대표로 선정되었다. 1923년 7월 신사상... |
* 강석봉 (姜錫奉, 1898~1966) (號)野丁   |
(조공 중앙검사위원 후보) 전남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제일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광주공립농업학교를 다니다가 중퇴했다. 광주에... |
* 강석산 (姜石山,1912〜?)   |
(노동당 중앙위원) 함남 갑산 출신으로, 1937년 2월 갑산에서 결성된 한인민족해방동맹에 참여했다. 6월 민족해방동맹 산하단체인... |
* 강석준 (姜錫俊, 1905~?)   |
(조공 東滿道區域局 선전부장)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간도로 이주했다. 용정(龍井) 동흥중학(東興中學)을 졸... |
* 강석현 (姜錫鉉, 1901~?)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30년 2월 연길현(延吉縣) 수신향(守信鄕) 소오도구(小五道溝) 혁명자후원회(모... |
* 강소천 (姜小泉, 생몰년 미상)   |
(조공 일본총국 조직부 책임자) 1927년 초 조선 공산당 일본부 조직부원으로 동부 야체이까에 배속되어 후까가와(深川), 혼죠(本... |
* 강수성 (康守盛, 1905〜?)   |
(고려공청 일본부 간부) 경기도 고양 출신으로, 경성 인쇄직공조합 집행위원을 맡았다. 1925년 12월 부산 인쇄공장 노동자파업을 ... |
* 강승록 (姜承綠, 1909~?)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청진 출신으로, 1930년 6월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가입하여 흥신동(興新洞)지부에 배속되었다. ... |
* 강승률 (姜承律, 1909〜?) 姜樓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청진 출신으로 1929년 7월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에 가입하고, 흥신동(興新洞) 야체이까 책임... |
* 강승벽 (姜承壁, 1904~?)姜世一 金龍範   |
(조공 敦化郡責, 중공 龍井區委 조직부장) 함북 부령 출신으로, 1926년 4월 연길현(延吉縣) 혁명자후원회(모쁠)에 가입했다. 1927년 ... |
* 강영균 (姜英均, 1902~?) 姜永均   |
(조공 당원) 함남 안변 출신으로, 연희전문학교에서 2년간 수학했다. 1925년 12월 신고산청년회 상무집행위원, 1926년 1월 안변청년... |
* 강영석 (姜永錫, 1906〜?)   |
(조공 광주야체이까 책임자) 전남 광주 출신으로, 1925년 이래 광주청년회 위원장, 광주청년연맹 위원장, 전남청년연맹 지방순회... |
* 강영순 (姜錢淳,1902〜?) 姜春淳   |
(조공 일본총국 북부야체이까 책임자) 경남 진주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나, 보통학교 졸업 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일... |
* 강용수 (姜龍壽, 1903~?)   |
(고려공청 회원) 경북 상주 출신으로, 1925년 상주 연봉청년회 결성에 참여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8년 3월 상주청년동맹 외서... |
* 강용진 (姜龍振, 1907〜?) 姜鑛鎭   |
(고려공청 만주총국 平岗郡 간부) 함남 홍원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상의향(尙纖鄕) 세린하(細麟河) 와룡동(... |
* 강위룡 (姜渭龍, 1914〜?)   |
(항일연군 참가자, 인민군 소장) 1933년 2월 화룡현(和龍縣) 문봉촌(文峰村)에서 항일유격대에 입대했다. 1935년 3월 민생단원 혐의... |
* 강유홍 (康有鴻, ?~1932) 강우박   |
(全協 참가자) 평안도 출신으로, 일본에서 노동자생활을 하면서 조선인노동조합에 가입했다. 1929년 이후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 |
* 강윤구 (姜潤求, 1907?)   |
(고려공청 회원) 함남 홍원 출신으로, 1929년 5월 보성전문학교 재학중 고려공산청년회(ML파)에 가입하여 학생야체이까에 소속되... |
* 강일모 (姜一模, 1899〜?)   |
(조공 만주총국 汪淸縣委 간부)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25년경 북간도에서 조선인 소학교 교원으로 일하면서 청년운동에 참가했... |
* 강정희 (姜貞熙, 1905~?) 姜貞姬 아끄니아 (여성)   |
(조공 당원,種友會 중앙집행위원) 러시아 흑룡주 출신으로,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1925년 9월 귀국하여 조선어를 배우면서 경성... |
* 강종득 (姜宗得, 1902~?)   |
(고려공청 담양야체이까 책임자) 전남 담양 출신으로, 니혼대학(日本大學) 법학과 예비과를 중퇴했다. 1927년 담양청년동맹 집행... |
* 강진 (姜進 1905~?) 姜나후렌치 權成萬 金龍七 金와시리 白仁錫 술리모프   |
(조공 당원, 고려공청 중앙위원) 본적은 함북 부령이며, 러시아 연해주 뽀셰뜨에서 태어났다. 1913년 이후 하바로프스끄 고등소학... |
* 강진건 (姜鎭乾, 1885~1962)   |
(함북 농민운동 지도자, 노동당 중앙위원) 함남 출신으로, 1909년 고향에서 협성학교(協成學校) 분교를 설립했다. 1910년 3월 만주... |
* 강창보 (姜昌輔, 1902~45)   |
(제주 공산주의자협의회 책임자) 제주도에서 태어나 소년시절 한학을 수학했고 서울에서 청년학관, 중동학교를 다녔다. 1924년 ... |
* 강태범 (姜泰範,1906〜45)   |
(조공 만주총국 당원, 일본 밀정) 함북 성진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장은평(藏恩坪)으로 ... |
* 강택진 (姜宅鎭, 1892~1926) (號) 何然   |
(노농총 상무집행위원, 고려공산청년동맹 검사부 책임자) 경기도 개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경북 풍기로 이주했고 서당에서 한문... |
* 강표환 (姜杓換, 1899〜?)   |
(서울 인쇄직공 청년동맹 집행위원, 조공 당원) 서울 출신으로, 1920년대 초 농민사(農民社) 인쇄직공으로 근무했다. 이 무렵 인... |
* 강학병 (姜鶴秉, 1897~?) 姜祥龍 松溪   |
(조공 당원)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서 함북 경성에서 성장했다.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3·1운동에 참가해 징역 1년을 선고받... |
* 강학제 (姜學梯, 1907〜30) 姜霜野   |
(‘간도 5·30봉기’ 龍井 폭동지휘부 성원) 함북 경성군 용성면에서 광복단 부단장 강수희(姜受禱)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910년 ... |
* 곽지산 (郭池山, 1904~44)   |
(인민혁명군 제2군 獨立師 제1단 부관)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팔도구(八道溝) 장재촌(長財村) 출신으로, 1931년 3월 농민... |
* 구봉운(具逢雲, 1907〜?) 具鳳雲 具赤 金晶山   |
(중공 延吉縣委 위원) 함북 온성 출신으로, 서울파 공산주의자그룹의 일원으로서 조선공산당에 입당했다. 1927년 온성청년동맹 ... |
* 구성태 (具成泰, 1895~1933) 구보   |
(중공 和龍縣委 서기) 경북 영일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을 다녔으며,1910년부터 구둣방점원으로 일했다. 1916년 일본으로 건너... |
* 구순암 (具順岩, ?~1932)   |
(全協 참가자) 1930년 초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全協]에 가입하여 각지에서 일어난 노동쟁의에 관여했다. 1932년 4월 이와떼현(... |
* 구연흠(具然欽,1883~1937) 滄海 蒼崖 江載厚   |
(조공 중앙검사위원) 경기도 양주에서 철원군수를 지낸 전직 관료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배웠다. 1901년 대한제국 궁내... |
* 구재수 (具在洙, 생몰년 미상) 金剛一 金仁哲   |
(민혁당 중앙위원, 남조선신민당 비서처장) 경남 출신으로, 고향에서 신문지국을 경영하면서 통신원으로 활동했다. 1934년 5월 중... |
* 구창회 (具昌會, 1897~?)   |
(조공 당원) 서울 출신으로, 충북 괴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3 · 1운동 당시 검거되어 7월 보안법 위반으로 경성복심법원에... |
* 권경섭 (權景變, 1890〜?)   |
(봉화적농재건위 관련자)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소년시절 한학을 배웠다. 1926년 경북 예천 하금노동친목회를 하금곡농민회로 ... |
* 권대형 (權大衡,1901〜?)   |
(조공 일본총국 당원) 경남 하동 출신으로, 1924년 3월 서울에서 중동학교를 졸업했다. 4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고 7월 중퇴했... |
* 권병희 (權炳熙,1904~?)   |
(영덕공작위 간부) 경북 영덕 출신으로, 1924년 3월 영해 태화학원 고등과를 졸업한 후 농업에 종사했다. 1928년 2월 신간회 영해지... |
* 권석환 (權錫煥, 생몰년 미상)   |
(영주농조 쟁의부장) 1929년 3월 영주농민조합 쟁의부장으로 선출되었다. 4월 개최된 영주청년동맹 제2차 집행위원회에서 풍기(豊... |
* 권숙범 (權肅範, 생몰년 미상)   |
(노총 중앙상무위원) 황해도 황주 출신으로, 1925년 3월 천도교 계통의 인공청년동맹, 12월 한양청년연맹에 가입했다. 1926년 11월 ... |
* 권영규 (權榮奎, 1899〜?)   |
(고려공청 홍원야체이까 책임자) 함남 홍원 출신으로, 권영태(權榮台)의 형이다. 1924년 4월 사상단체 이럿타회 집행위원이 된 후 ... |
* 권영민 (權寧珉,1909〜?)   |
(민전 충남지부 조직부원) 충남 논산 출신으로, 1927년 12월 논산 양촌면청년회 집행위원이 되었다. 1932년 5월 양촌노동조합 창립... |
* 권영벽 (權永壁, 1909〜45) (本)金沫南 金壽男 金昌滿 金昌郁 權昌郁   |
(중공 譍聲磖子區委 서기) 함북 경성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1920년 아버지를 따라 만주 연길현(延吉縣) 팔도구(八道溝)로 이주... |
* 권영태(權榮台, 1908~?) 李正南 朴在郁   |
(홍원노조 관련자) 함남 홍원 출신으로, 권영규(權榮奎)의 동생이다. 고향에서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홍원청년동맹에 관여했... |
* 권예윤(權藝潤, 1907~?)   |
(안동콤그룹 관계자)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7년 3월 안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안동군청 임시직원, 영양군청 임시직원으로 ... |
* 권오상(權五尙, 1900~28) 權五敦   |
(조공 당원) 경북 안동에서 서당 훈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4년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신흥청년동맹에 가입했다. 1925년 연... |
* 권오상(權五相, 1913~?)   |
(경성재건그룹 참가자) 경기도 양평 출신으로, 1927년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9년 4월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30년 3... |
* 권오설(權五卨, 1899~1930) 洪一憲 權ᅳ 朴詰熙 金三沫 金亨善   |
(노농총 상무집행위원) 경북안동에서 서당 훈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권오직(權五稷)의 형이다. 대대로 사족(士族) 가문이었으... |
* 권오직(觀五稷, 1906~?) 權善得 南秉喆 보스또꼬프(BoCTOKOB) 幸田五稷   |
(조공조직준비위 선전부 책임자) 경북 안동에서 서당 훈장의 아들로 태어났고, 권오설(權五卨)의 동생이다. 대대로 사족(士族) ... |
* 권용대(權容大, 1899~?)   |
(공산대학 유학생) 함남 함흥 출신으로, 1930년 초경 조선공산당재조직준비위원회의 추천으로 모스끄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 |
* 권우섭(權宇燮, 1906~?) 權昌煥   |
(봉화적색농조 관계자) 경북 봉화 출신으로, 1925년 3월 대성학원을 졸업했다. 1926년 여름 봉화청년회, 영봉프로운동자동맹에 가... |
* 권우성(權又成, 1915~?) 安哲沫 金英坤 權乙益 姜順明 李載哲   |
(경성콤그룹 마산 책임자) 경남 산청 출신으로, 1931년 3월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33년 2월 일제의 열하(熱河) 출병... |
* 권원하(權元河, 1898~1936) (號)重山 (字)道壯 權世衡 權鋒   |
(예천농조 위원장) 경북 예천에서 태어나 소년 시절 한학을 배웠다. 1913년 왜관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17년 3월 서울 중앙고등보... |
* 권익환(權益煥, 1912~?)   |
(봉화적농재건위 관계자)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수학했고 농업에 종사했다. 1933년 2월 봉화적색농민조합재건위원... |
* 권인갑(觀麟甲, 1909~?) 觀五琰 權五動 楊昌谷   |
(조공재건강릉공작위 총책임자)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1928년 5월 강릉청년동맹에 가입했다. 1929년 5월 강릉농업학교 독서회를 ... |
* 권일선(權ᅳ宣, 1902~30) 權一成   |
(재일조선노총 중앙위원) 경남 출신으로, 3 ․ 1운동에 참가한 후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6년경부터 니혼대학(日本大學), 메이지대... |
* 권정필(權正弼, 1890~?) 權東三   |
(조공 만주총국 책임비서)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14년 강원도 일대에서 반일의병부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3 ․ 1운동에 참가하... |
* 권중택(權重澤, 1909~?)   |
(안동콤그룹 조직부 위원)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1928년 3월 안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안동군청 임시직원, 안동군농회 임... |
* 권차응(權次應, 1906~?) 權相昶   |
(신간회 봉학지회 상무간사) 경북 봉화 출신으로 1924년 3월 대성학원을 수료한 후 농업에 종사했다. 1927년 11월 봉화청년회, 12월 ... |
* 권태동(權泰東, 1911~?)   |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 반제동맹조직 책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1926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4월 경성제이고등보... |
* 권태산(權泰山, 1903~36) (本)權一治 李山 李慶山 李泰德 李淸福 金一致   |
(조공 만주총국 당원) 강원도 울진 출신으로, 1929년 9월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에 입당했다. 1930년 3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그 ... |
* 권태석(權泰錫, 1894~1948) 李東山   |
(조공 중앙위원, 신간회 서무부장) 경북 김천 출신으로, 1919년 4월경 조선민족대동단에 참여하여 비용조달과 각종 문건의 인쇄 ... |
* 권태섭(灌泰燮, 1911~49)   |
(맑스주의 경제학자, 남로당 기관지 副責) 경북 안동 출신으로 경성제국대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1936년 토오꾜오(東... |
* 권평근(灌平根, 1902~?)   |
(인천 노동운동가) 경기도 강화 출신으로 인천에서 노동을 하면서 생활했다. 1931년경 이승엽(李承燁)의 지도 아래 노동운동에 참... |
* 권학석(權鶴石, 1906~?) 權泰旭   |
(영주적색노조건설위 조직부 책임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5년 12월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중퇴하고 농업에 종사했다. 1928년 4월 ... |
* 권환(權煥, 1903~54) (本)權景完 權允煥 權燦   |
(시인, 카프 중앙집행위원) 경남 창원 출신으로, 일본에서 야마가따(山形)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29년 3월 쿄오또제대(京都帝大) ... |
* 기노춘(奇老春, 1897~?) 奇滿笑   |
(조공 당원) 전남 담양 출신으로, 3 ․ 1운동 이후 중국으로 건너가 중국대학(中國大學) 2학년을 수료했다. 중국공산당에 입당하... |
* 길경섭(吉慶燮, 1907~?) 吉完秀   |
(서울청년회 집행위원) 전북 금산 출신으로, 서울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다니다가 중퇴하고 귀향하여 농사를 지었다. 서울청... |
* 길양수(吉梁洙, 1913~?) 吉洋秀 吉亮根 吉樑根   |
(전남운동협의회 관련자) 전남 장흥 출신으로 장흥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선린상업학교에 다니다가 동맹휴교 사건... |
* 길차교(吉且釗, 1912~?) 吉且逑   |
(東京 勞動階級社 참가자) 경남 밀양 출신으로, 1928년 11월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2학년에 재학중 동맹휴학을 주도하다가 퇴학당... |
* 김가진(金嘉鎭, 1903~?)   |
(조공 당원)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평양의 양말공장에서 일하면서 노동운동에 참여했다. 1926년 9월 평양노동청년회 결성에 참여... |
* 김감년(金甘年, 1909~?)   |
(전남운동협의회 관련자, 남로당 장흥군당 위원장) 전남 강진 출신으로, 1927년 3월 강진군 병영면(兵營面)에서 공립보통학교 보... |
* 김강(金剛, 1906~?) (本)김보리스 金東奎 김니꼴라이   |
(고려공청 중앙위원) 러시아 연해주 뽀셰뜨에서 어업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0년 러시아 니꼴라예프스끄에서 러시아공산... |
* 김강(金剛, 1920~?)   |
(독립동맹 선전부 위원, 노동당 중앙위원) 고아로 자라나, 1934년 남경(南京) 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여 1937년 졸업했다. 1939년... |
* 김격환(金激換, 1889~?)   |
(조공 당원) 전남 영광 출신으로,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지 못했다. 1926년 4월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창립준비위원... |
* 김경봉(金京奉, 1907~?) 金京順   |
(제주도 노농연구회 책임자) 제주도 출신으로, 1923년 10월 제주공립보통학교 5학년을 다니다가 중퇴했다. 일본 오오사까(大阪)에... |
* 김경서(金景瑞, 1902~?)   |
(新灣靑年會 집행위원) 평북 신의주 출신으로, 보통학교와 간이공업학교를 졸업했다. 미곡상인 삼흥상회에서 점원으로 일했다. ... |
* 김경식(金璟植, 1901~?) 金暻植   |
(조공 함남도책) 함남 북청에서 태어났다. 1927년 9월 조선노동총동맹 중앙집행위원을 역임하고 1928년 3월 조선공산당 함남도책으... |
* 김경식(金瓊植, 생몰년 미상)   |
(前進會 집행위원, 원산노련 집행위원장)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기호학교(幾湖學校)와 외국어학교를 나와 대한제국 탁지부(度支... |
* 김경재(金環載, 1899~?) 金綽 赤星 陳榮喆 金世成 金ᅳ成 金致柱 朴君植 金俊模 金光錫 金光宇 方友淸   |
(『新韓公論』주필, 신한독립당 비서과장) 황해도 황주의 중산층 집안에서 태어나 황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수원고... |
* 김경준(金京俊, 1910~?) 金正弼   |
(和龍縣 牛福洞 혁명위 간부)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지인향(志仁鄕)에서 함북 명천 출신의 조선인 이주민 가정에서 태... |
* 김경천(金擎天, 1883~?) (本)金光瑞 金敬天 金擎千 金應天   |
(연해주 한인 빨치산연합부대 사령관) 서울 사직동 양반 가문 출신으로, 서울에서 중등학교를 마치고 일본 토오꾜오(東京) 육군... |
* 김경태(金敬泰, 1904~?)   |
(조공 당원) 전북 출신으로, 1926년 11월 정우회(正友會)의 상무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7년 12월 조선공산당[春景園黨]에 입당... |
* 김경한(金慶漢, 1903~?)   |
(조공 당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5년 8월 안동청년연맹 결성에 참여하여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0월 사상단체 정광단(正光... |
* 김계림(金桂林, 1904~?) 金昌吉   |
(조공 일본총국 당원, 남로당 중앙위원) 함북 명천 출신으로, 토오꾜오(東京)에 유학하여 니혼대학(日本大學)에 입학했다. 재학... |
* 김계영(金桂榮, 1901~?) 秋岡   |
(조공 경남도당 위원) 경남 하동에서 태어났고, 김태영(金台榮), 김두영(金斗榮)의 형이다. 1924년 하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 |
* 김계진(金季鎭, 1907~?)   |
(영주적색농조 조합원)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 한문을 배웠다. 1921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 2학년 때 퇴학하고 농업에 ... |
* 김공망(金公望, 1911~?)   |
(안동콤그룹 참가자)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수학하고 농업에 종사했다. 신간회 안동지회, 안동청년동맹 임하지부... |
* 김관섭(金寬燮, 1901~?) 金官燮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으로 이주했다. 1930~31년 간도 반일농민운동에 가... |
* 김광렬(金光烈, 생몰년 미상)   |
(조선혁명군 吉江省指揮部 군사부 책임자, 변절) 1921년 중국 광주(廣州)로 망명했다.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교도대에서 근... |
* 김광묵(金光默, 1904~36) 金環 金活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화룡현(和龍縣) 이도구(二道溝) 명암촌(明岩村) 보진학교(普進學校) 교사로 재... |
* 김광수(金光洙, 1903~?)   |
(조선인유학생학우회 간부) 전라도 대지주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김철수(金錣洙), 김창수(金昌洙)의 동생이다. 연희전문학교... |
* 김광윤(金光允, 1907~?)   |
(안변적색농조건설위 참가자) 함남 안변 출신으로, 배화공립보통학교와 북경대학(北京大學)을 졸업했다. 1932년 2월 배화농민조... |
* 김광협(金光俠, 1915~?)   |
(항일연군 참가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함북 회령 출신으로, 동북항일연군에 입대하여 반일무장투쟁에 참가했다. 1... |
* 김광호(金光瑚, 생몰년 미상) 金光浩   |
(조공 만주총국 당원) 1927년 7월 동만(東滿) 청년총연맹 두도구(頭道溝)지방연맹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8년 9월 고려공산청년회 ... |
* 김교영(金敎英, 생몰년 미상)   |
(청총 중앙집행위원) 함남 북청 출신으로 1920년 3월 북청청년회 전무이사가 되었다. 1923년 3월 전조선청년당대회에 북청청년회 ... |
* 김권일(金權ᅳ, 1901~33)   |
(중공 汪清縣委 서기) 길림성(吉林省) 왕청현 합마당(哈蟆塘) 출신으로 1930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1933년 5월 중공 왕청현위원... |
* 김귀남(金貴南, 1910~?) 羅貫 高昌善 李昌烈 金元哲 金北星   |
(함북노농협의회 조직부 책임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7년 용정(龍井) 대성중학(大成中學)에 입... |
* 김귀동(金貴東, 생몰년 미상)   |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후보) 경남 마산 출신으로 1924년 10월 마산노농동우회 집행위원이 되었다. 12월 마산기자단이 결성될 때『... |
* 김귀영(金貴榮, 1912~?)   |
(일공 당원) 전남 출신으로, 소학교를 나와 1923년 4월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배달을 했다. 1933년 2월 일본공산당에 입당하고 일본... |
* 김규극(金奎極, 1884~1934) 弱人   |
(조공만주총국 東滿區域局 집행위원) 1927년 4월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에 입당하여 동만구역국 집행위원을 지냈다. 이 무렵 북간... |
* 김규면(金圭冕, 1881~1969) 金白秋   |
(新民團 단장) 함북 경흥에서 태어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고 서울 배재학당을 졸업했다. 1907년 신민회에 가입하여 신교육운... |
* 김규봉(金奎鳳, 1905~34)   |
(중공 琿春縣委 비서) 길림성(吉林省) 훈춘현 대황구(大荒溝) 출신으로, 1929년 용정(龍井) 은진중학(恩眞中學)을 졸업하고 대황구... |
* 김규열(金圭烈, 1893~?) 金奎烈 金圭然 金遺烈 金萬圭 金晚圭 海友   |
(조공 만주총국 당원, 조공재건설준비위 중앙위원) 전남 구례 출신으로, 1919년 11월 대한청년단 명의로 된 격문을 고순흠(高順欽)... |
* 김극수(金極洙, 1898~?)   |
(신간회 영동지회 창립준비위원) 충북 영동 출신으로, 김태수(金台沫)의 형이다. 1921년 9월 영동청년회 학예부장이 되었다. 1923년... |
* 김근(金根, 1903~37) (本)金光珍 金鉉   |
(고려공청 만주총국 조직부 책임자) 함북 경흥의 빈농 집안에서 태어나 1908년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상천... |
* 김근(金槿, 1902~?) (本)김한병 朴一勳 韓峰   |
(조공 東滿區域局 임시책임비서) 함북 경흥에서 태어나 어려서 가족과 함께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 대황구(大荒溝)로 이... |
* 김금남(金今南, 1899~?) 金眞 金東烈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30년 약수동(藥水洞)에서 ‘간도 5 ․ 30 봉기’에 참가했다. 그 후 일본경찰에... |
* 김기석(金基石, 1908~?) 金徹雲   |
(고려공청 만주총국 회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1928년 8월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화요파)에 가입하여 동만주에서 활동했다. 193... |
* 김기석(金己石, 1908~?)   |
(예천무명당 선전부 책임자)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1924년 4월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1925년 11월 동맹휴교 사건... |
* 김기수(金基洙, 1888~?)   |
(조공 전남도책) 전남 순천 출신으로,『조선일보』순천지국 기자로 재직했다. 1923년 이래 조선노농총동맹 상무집행위원, 남선농... |
* 김기수(金基洙, 1911~?)   |
(흥남 좌익노조결성준비회 참가자) 함남 함주 출신으로 조선 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했다. 1931년 3월 좌익... |
* 김기진(金基鎭, 1903~85) (號)八峰 東初 金村八峯 여덟뫼 具準儀   |
(3 ․ 1운동 참가자,『朝鮮之光』기자) 충북 청원에서 대지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김복진(金復鎭)의 동생이다. 1907년부터 ... |
* 김기진(金其鎭, 1904~?)   |
(고려공청 안동야체이까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5년 11월 풍서농민회에 참여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6년 5월 소작권 이동문... |
* 김기철(金基哲, 1906~?) 沈東煥 金萬善   |
(고려공청 만주총국 위원) 함남 단천 출신으로, 1923년 3월 서울에서 열린 全조선청년당대회에 나일(羅一)청년회 대표로 참석했다... |
* 김기태(金基泰, 1906~?)   |
(청총 중앙집행위원) 경남 진주 출신으로, 1925년 11월 진주노동청년회 창립총회에서 회계부 겸 소년부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7... |
* 김기현(金箕炫, 생몰년 미상)   |
(삼천포농조 집행위원) 경남 사천 출신으로 1931년 5월 삼천포농민조합 서면대회(書面大會)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5년 ... |
* 김기호(金琪鎬, 1894~?) 金點守   |
(조공 당원) 경남 마산 출신으로, 1922년 12월 마산 예수교 면려청년회(勉勵靑年會) 사교부장이 되었다. 1923년 7월 마산무산소년단 ... |
* 김기환(金紀煥, 1903~?)   |
(영흥농조재건위 간부) 함남 영흥 출신으로 1927년 영흥 덕흥면에서 압봉학원(鴨峰學院) 교사로 활동했다. 1932년 1월 영흥농민조... |
* 김길우(金吉友, 1899~?) 金春植 金成春 金都成 金島城   |
(조공 당원) 함남 함흥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곡물상을 운영했다. 그 후 간도에서 서점원 ․ 일용노동자 ․ 곡물상 ... |
* 김낙천(金洛千, 1907~35) 金洛天   |
(인민혁명군 제1로군 제2단 정치위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으로 이주했다. 1... |
* 김낙현(金洛鉉, 1901~?)   |
(고려혁명군 지휘관) 연해주 니꼴리스끄 ․ 우수리스끄 얀치헤 끄라브 마을에서 태어나 1906년 아무르 강변의 니꼴라예프스끄로 ... |
* 김남수(金南洙, 1899~?) 金鶴山   |
(조공 당원)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소년시절 한문교육을 받았다. 1921년 7월 조선노동공제회 안동지부 제2차 정기총회에서 간부로... |
* 김남천(金南天, 1911~?) (本)金孝植   |
(카프 東京지회원) 평남 성천의 중농 집안 출신으로 1926년 평양고등보통학교에서 잡지『월역(月域)』발간에 참여했다. 1929년 3월... |
* 김단야(金丹冶, 1899~1938) (本)金泰淵 金柱 秋星   |
(3 ․ 1운동 참가자) 경북 김천군 개령면 동부동에서 태어나 1906년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했다. 1908년 4월 고향의 개진학교(開進學... |
* 김달환(金達桓, 생몰년 미상)   |
(재일조선노총 간부) 1925년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산하 오오사까(大阪) 이마후꾸(今福) 조선노동조합, 오오사까 니시나리(西成) ... |
* 김대봉(金黃大, 1901~?) 李柱完 金英瑞 黃綺龍   |
(조공 당원)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고 서울 중동학교 야학부를 다니다가 중퇴했다. 1922년 9월 양... |
* 김대용(金大用, 1913~?) 金寧容   |
(李載裕그룹 관련자) 전북 고창 출신으로, 고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2년 경성법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1934년 2월 정태식(... |
* 김대윤(金大允, 1911~?)   |
(문천좌익농조준비위 서기국 책임자) 함남 문천에서 태어나 문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7년 이후『별나라』문천지국을 운... |
* 김덕룡(金德龍, 1910~?) 金哲虎   |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와 함께 간도로 이주하여 농업에 종사했다. 1930년 12월 중국 관헌의 검... |
* 김덕산(金德山, 1906~?) 金東一 金武甲   |
(고려공청 東滿道 조직부장) 함남 갑산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간도로 이주했다. 1925년 연길현(延吉縣) 수신향(守信鄕) ... |
* 김덕선(金德善, 1904~?)   |
(고려공청 회원) 전남 광주 출신으로, 김호선(金好善)의 동생이다. 농업학교를 졸업했고, 1925년 이래 담양청년회 집행위원, 담양... |
* 김덕순(金德順, 1913~?) (여성)   |
(조공 재건운동 관련자) 경남 마산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 다니면서, 재경마산유학생회 ... |
* 김덕언(金德彦, 1893~?)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남 갑산 출신으로 1930년 2월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에 입당했고 8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12월 중공 연... |
* 김덕연(金德淵, 1915~43)   |
(경성콤그룹 일본유학생부 책임자)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1930년대에 경남도평의원을 지낸 아버지 밑에서 유복하게 자랐다. 보통... |
* 김덕영(金德泳汰, 1909~?)   |
(고려공청 회원)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고무신 판매에 종사했다. 1925년 6월 해주신문배달친목회를 결... |
* 김덕현(金德鉉, 1903~?)   |
(조공 당원) 함남 안변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니혼대학(日本大學)에서 3년 동안 공부했다. 1924년 2월 웅기 면려(勉勵)청년회 ... |
* 김덕환(金德煥, 1909~?) 尹一均 鄭元變 鄭基錫   |
(주문진 산별노조 준비위원장, 전평 집행위원) 황해도 곡산의 빈농 집안에서 태어났다. 1924년 원산 광명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운... |
* 김도엽(金度燁, 1900~?) 金道燁 金石然   |
(고려공청 회원) 경남 동래 출신으로 3 ․ 1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에 검거되어 1919년 8월 대구지법에서 징역 2년 6월을 선고... |
* 김동규(金東奎, 1912~84)   |
(항일연군 제3방면군 제14단장) 1930년 겨울 간도 반일농민운동에 참가했다가 개산둔(開山屯)에서 일본영사관 경찰에 체포되어 서... |
* 김동기(金東起, 1902~?)   |
(양양농조 집행위원) 강원도 양양 출신으로 1927년 12월 양양농민조합 결성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8년 2월 양양농... |
* 김동명(金東明, 1895~?) (本)金知宗 金晃 金光   |
(고려공청 중앙위원) 함남 북청 출신으로, 1921년 모스끄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입학하여 1923년 졸업하고 귀국했다. 신흥청년... |
* 김동부(金東富, 1899~?)   |
(조공 관련자) 함남 정평 출신으로, 신흥청년동맹에 참여했다. ‘제2차 조선공산당 검거사건’에 연루되어 1926년 7월 종로경찰서... |
* 김동수(金東守, 1911~?)   |
(고려공청 회원) 함남 원산 출신으로, 1926년 8월 문천청년동맹에 가입했다.『중외일보』 원산지국 종업원으로 일하면서 1929년 5... |
* 김동수(金東洙, 1899<1909>~?) 六尺   |
(고려공청 회원) 1927년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여 연길현(延吉縣) 노두구(老頭溝) 기양촌(岐陽村)야체이까에 배속되었다. 1930년... |
* 김동진(金東振, 1909~?)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출신으로, 1930년 12월 연길(延吉)에서 혁명호조회(革命互助會)에 가... |
* 김동필(金東弼, 1884~?) 金鳳鎬   |
(경북사회운동자동맹 집행위원)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소년시절 한학을 배운 후 농업에 종사했다. 1922년 조선노동공제회 영주지... |
* 김동필(金東弼, 1908~36)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남 단천 출신으로, 1930년 10월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가입했다. 12월 간도 반일농민운동에 참가하... |
* 김동한(金東漢, 1893~1937)   |
(고려공산당 군사부 위원, 친일단체 協和會 특별사업부장) 함남 단천 출신으로, 1911년 하바로프스끄 육군유년학교에 입학했다. 1... |
* 김동혁(金東爀, 1892~?) 金東赫 晩梧   |
(신간회 경성지회 간사)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문을 배웠다.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연희일어학교에서 2년, 보성학교... |
* 김동환(金東渙, 1884~?)   |
(조공 당원) 강원도 양양 출신으로, 1923년 물치(沕淄)노농동맹 결성에 참여했다. 1927년 물치농민조합을 조직했고, 그해 3월 조선... |
* 김동훈(金東訓, 1902~?)   |
(고려공청 일본부 東京區域局 책임) 1929년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토오꾜오(東京)구역국 책임 및 조직부 책임을 맡았다. 2월 신... |
* 김두봉(金枓奉, 1889~1961) (號)白淵 帛連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경남 동래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서울로 올라와 기호학교(幾湖學校)와 배재... |
* 김두수(金斗洙, 1903~?)   |
(조공 층남북도당 위원) 충북 영동 출신으로 김태수(金台洙)의 형이다. 영동보통학교,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으며, 1920... |
* 김두영(金斗榮, 1910~?)   |
(경남 적색교원노조 책임비서) 경남 하동 출신으로 김계영(金桂榮), 김태영(金台榮)의 동생이며 윤일(尹一)의 사위이다. 1929년 진... |
* 김두용(金斗鎔, 1903~?)   |
(고려공청 일본부 회원, 재일조선노총 중앙집행위원장) 함남 함흥 출신으로 토오꾜오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 미학과를 중퇴했... |
* 김두원(金斗元, 1903~?) 金宇ᅳ 金一宰   |
(조국광복회 회원) 함남 단천 출신으로 소학교 교사로 일하던 중 1936년 11월 길림성(吉林省) 장백현(長白縣) 하강구(下崗區) 도천... |
* 김두익(金斗益, 1909~?) 金雪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30년 3월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에서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했다. 7월 ... |
* 김두정(金斗楨, 1906~?) 金斗禎 崔益善 馬ᅳ讓 金權涉 金鎚鎰 金子斗禎   |
(조공재건투쟁협의회 일본출판부 편집자) 함남 함주 출신으로 1928년 3월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4월 관비유학생으로 선... |
* 김두진(金斗鎭, 1900~?)   |
(고려공청 일본총국 회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서울 고학당(苦學堂)에서 수학했고 고향에서 보통학교 선생으로 근무했다. 1926년 ... |
* 김두환(金斗焕, 1908~?) 金鍾泰   |
(적색농조 참가자, 건준 장흥지부 총무) 전남 장흥 출신으로 『조선일보』 장흥지국을 운영했다. 1930년 3월 장흥청년동맹 위원장... |
* 김득영(金得英, 1904~?)   |
(노총 중앙집행위원) 함남 북청 출신으로 1928년 1월 북청청년동맹을 창립하고 집행위원장이 되었다. 2월 북청청년동맹 신포(新浦... |
* 김립(金立, ?~1922) 金翼容   |
(한인사회당 중앙위원, 上海 임정 비서장) 1911년 블라지보스또끄에서 권업회 결성에 참가했다. 1913년 북간도에서 간민회(懇民會)... |
* 김만겸(金萬謙, 1886~?) 김세레브랴꼬프   |
(『靑丘新報』 편집인) 러시아 블라지보스또끄 근교의 농촌에서 태어나 서당에서 한학을 배운 뒤, 조선인 소학교에서 수학했다.... |
* 김만기(金萬基, 1906~?) 金重萬   |
(적색노조운동 관련자)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1925년 3월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0년 4월 일본으로 건너가 오오사까(大阪)에서 노... |
* 김만성(金萬聲, 1906~?)   |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함남 단천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중퇴하고 형이 경영하는 곡물상에서 일했다. 간도로 이주하여 1930... |
* 김만흥(金萬興, 1907~36) 朴鳳男 김동만 강철산 오만복   |
(조공 만주총국 집행위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1912년 북간도 평강(平崗) 보성촌(普成村)으로 이주했다. 1916년 길림성(吉林省) ... |
* 김명규(金明奎, 1892~?)   |
(조공 경남도책) 경남 마산 출신으로, 보통학교 졸업 후 보통문관(普通文官) 시험에 합격하여 군속(軍屬)으로 재직하다가 3 ․ 1... |
* 김명균(金明均, 1899~?)   |
(중공 汪淸縣委 군사부장)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양목정자(楊木頂子) 출신으로, 대랍자(大拉子)소학교, 연변(延邊)사범... |
* 김명석(金明石, 1905~?)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경북 경산 출신으로 1925년 4월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 3월 중퇴했다. 8월 토오꾜오(東京... |
* 김명시(金命時, 1907~?) 金喜元 金輝星 金輝然 스베찌로바 (여성)   |
(고려공청 회원, 중공 上海韓人支部 선전부 책임) 경남 마산 출신으로 김형선(金炳善)의 동생이다. 1924년 3월 마산공립보통학교... |
* 김명식(金明植, 1892~1943) (號)松山 솔뫼   |
(고려공산당 국내부 위원) 제주도에서 태어나 한학을 수학하고 1908년 한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16년 토오꾜오(東京) 와세... |
* 김명주(金明柱, 1912~69) 김경만 김경주 金明珠   |
(인민혁명군 제2군 간부)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어려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세린하(細麟河)로 이주했다. 1930년 5월 연... |
* 김명진(金命鎭, 1909~?)   |
(영주 적농재건투쟁위 反帝部 위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7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농업에 종사했다. 영주청년동... |
* 김명팔(金明八, 1910~38)   |
(항일연군 제1로군 제2군 제2단장) 함북 부령에서 태어나 1920년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의란구(依蘭溝) 계림동(桂林洞)으... |
* 김명환(金明桓, 생몰년 미상)   |
(전북 고창농조 조합원) 전북 고창 출신으로, 고창농민조합과 고창 공산주의 비밀결사에서 활동했다. 1934년 1월 고창 농민들을 ... |
* 김명희(金明熙, 1910~?)   |
(고려공청 함남道幹部기관 덕원군라이꼼 선전부 책임자) 함남 덕원 출신으로, 덕원소년연맹, 당우소년회(堂隅少年會) 간부로 활... |
* 김무(金武, 1912~?)   |
(조선의용대 대원) 강원도 인제 출신으로, 국내에서 머슴살이를 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갔다. 1937년 12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 |
* 김문옥(金文玉, 1904~?)   |
(조공재건전주지구위 조직원) 전북 전주 출신으로, 1926년 6월 전주 ‘태극기 사건’으로 검거되었다. 1928년 4월 전주청년동맹 대... |
* 김문준(金文準, 1894~1936)   |
(재일조선노총 집행위원) 제주도 출신으로 1917년 수원농림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으로 돌아가 3 ․ 1운동에 참가했다. 이후 제주... |
* 김미하일(생몰년 미상)   |
(오르그뷰로 선전부원) 1920년 3월 블라지보스또끄에서 한인사회당 창당에 참여했다. 1924년 3월 오르그뷰로(고려공산당 창립대회... |
* 김민산(金民山, 1917~?) 楊民山 金大陸 揚振崑 진산   |
(독립동맹 중앙위원, 북로당 중앙위원) 경북 선산 출신으로 의열단(義烈團)의 조선혁명간부 학교 모집 연락원인 김정묵(金正默)... |
* 김백동(金百東, 1903~?) 權逢春   |
(전남노농협의회 조직부 책임자, 남로당 전남도당 위원장) 전남 보성 출신으로, 사범학교를 졸업했다. 1930년 3월 치안유지법 위... |
* 김백만(金白萬, 1906~35) (本)金亨國 崔成浩 崔萬福 崔山東   |
(항일연군 제4군 제2단 호위중대장)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릉현(穆陵縣) 백초구(百草溝)에서 태어나 팔면통(八面通)소학교를 졸... |
* 김범이(金凡伊, 1902~?) 崔石東   |
(全協 토건노조 神奈川支部 조직원) 전북 김제 출신으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토오꾜오(東京) 조선노동조합 북부지부원을 지... |
* 김병건(金炳建, 1906~?)   |
(고려공청 북청군간부기관 선전부 책임) 함남 북청 출신으로, 신간회 북청지회와 북청청년동맹에서 활동했다. 1929년 12월 고려공... |
* 김병구(金炳九, 1909~?) 金燦 金弘俊 朴成根   |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함남 정평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와 함께 간도로 이주했다. 연길현(延吉縣) 공립제5고등소학교를 ... |
* 김병국(金秉國, 1905~40?) 金且巖 全秉杰   |
(고려공청 일본부 회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사립강습소 4년을 마쳤다. 1928년 당시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오오사까(大阪)지부 ... |
* 김병극(金秉極, 생몰년 미상)   |
(조국광복회 회원) 1936년 11월 길림성(吉林省) 장백현(長白縣) 하강구(下崗區) 도천리(挑泉里)에서 재만한인조국광복회 지회를 결... |
* 김병묵(金秉黙, 1910~?) 金光麗 金龍吉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가족을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수신향(守信鄕)으로 이주... |
* 김병선(金秉善, 1907~?)   |
(조선좌익노조전국평의회조직준비회 청년부 책임자) 함남 갑산 출신으로, 1925년 6월 용정(龍井) 동흥중학(東興中學) 4학년 재학... |
* 김병수(金柄洙, 1901~33)   |
(북간도 漁浪村 혁명위 위원장)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장인강(長仁江) 출신으로 야학에서 수학했다. 1924년 혁명자후원... |
* 김병숙(金炳璹, 1893~?)   |
(조공 당원, 민전 중앙위원) 전북 김제 출신으로 1923년 김제청년회 회장을 맡았다. 갑자연구회(甲子硏究會)에 가입했다. 1924년 1... |
* 김병식(金炳植, 1911~?)   |
(항일연군 참가자) 함북 출신으로, 1932년경 간도 파기구(菠기溝) 용연동(龍淵洞)에 거주했다. 중국공산당 동만특위(東滿特委) 노... |
* 김병식(金秉植, 생몰년 미상)   |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준비위원) 황해도 해주에서 3 ․ 1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해주지법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1925... |
* 김병욱(金柄郁, 1899~?) 金範龍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 출신이다. 1930~31년 간도에서 반일농민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1933년 12월... |
* 김병일(金炳一, 1902~?)   |
(고려공산동맹 중앙위원, 조공 경기도당 위원) 전북 김제의 중류가정 출신이다. 보통학교를 마친 후 토오꾜오(東京)로 건너가 세... |
* 김병직(金秉職, 1908~?)   |
(중공 延和縣委 龍湖坪지부 책임자) 함북 길주 출신으로, 1930년 중국공산당 연화현위원회 연길구(延吉區) 용호평지부 책임자가 ... |
* 김병창(金秉昌, 1909~?)   |
(대구노동자협의회 관계자) 1930년 3월 대구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 4월 일본 쿄오또(京都)로 건너갔다. 1932년 4월 귀국하... |
* 김병화(1905~?)   |
(북극성꼴호즈 대표) 연해주 수이푼 구역 차삐고우 마을의 빈농가정 출신으로, 1918~19년 우수리스끄 조선인학교에서 수학했다. 19... |
* 김병환(金炳焕, 1891~?)   |
(양양군농조 집행위원장) 강원도 양양 출신으로, 농업학교를 졸업하고 어업에 종사했다. 1925년 12월 영동기자단에 참여했다. 조... |
* 김병후(金炳候, 1911~?)   |
(고려공청 회원) 함남 문천 출신으로, 운송점원으로 일했다. 1929년 4월 소야전(小野田)시멘트공장 내 노동자독서회에 가입했다 ... |
* 김병훈(金烟薫, 1909~?)   |
(좌익노조결성준비회 교양부원) 함남 함주 출신으로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의 노동자로 일했다. 1930년 9월 이 공장의 ... |
* 김보섭(金普變, 1911~42)   |
(광주학생운동 참가자) 전남 나주 출신으로,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1928년 9월 광주고보 학생들을 규합하여 독서회를 조직... |
* 김복남(金福男, 1905~?) 金承寬   |
(좌익노조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성진에서 사립학교를 다니다가 그만두고 명천 소화탄광(昭和炭鑛)에서 광부로 일했다. 1... |
* 김복만(金福萬, 1907~?) 金仁國 金秀松 金福突   |
(조공 만주총국 위원, 고려공청 책임비서) 연해주 니꼴라예프스끄 출신으로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에서 사상단체 문우회(文... |
* 김복수(金福洙, 생몰년 미상)   |
(농총 중앙집행위원) 3 ․ 1운동에 참가하여 검거되었다. 1921년 9월 결성된 광주청년회에서 활동했고 1924년 3월 화호청년회(禾湖... |
* 김복진(金復鎭, 1901~40) (號)井觀 金福鎭   |
(조각가, 카프 집행위원) 충북 청주에서 대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기진(金基鎭)의 형이다. 1915년 3월 영동공립보통학교를 졸... |
* 김봉돌(金鳳乭, 1911~?)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30년 8월 간도에서 국치일기념 반일봉기에 참가했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193... |
* 김봉빈(金鳳彬, 1899~?) 金均   |
(조공당원) 전북 전주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도기상(陶器商)에서 점원일을 했다. 3 ․ 1운동에 참가했다가 검거되었고,... |
* 김봉수(金鳳洙, 1910~?)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지인향(志仁鄉) 출신으로, 1930년 10월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가입하... |
* 김봉익(金鳳翼, 1904~?) (本)金斗琯 金午山   |
(조공 만주총국 당원, 일본 밀정) 경남 남해 출신으로 일본 토오꾜오(東京)에서 유학했다. 1924년 11월 용정(龍井)에서 노동동맹을 ... |
* 김봉한(金鳳翰, 생몰년 미상)   |
(부산청년동맹 집행위원장) 경남 부산 출신으로 1928년 4월 경남청년연맹 집행위원이 되었다. 7월 부산청년동맹 긴급집행위원회... |
* 김부득(金富得, 1908~?) 金在千 金在燦   |
(전남노농협의회 재건운동 참가자) 전남 광주 출신으로, 1928년 6월 광주고등보통학교에서 동맹휴교를 주도하다가 퇴학당하고 8... |
* 김사국(金思國, 1892~1926) 金解光   |
(고려공산동맹책임비서) 충남 연산에서 태어나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동생 김사민(金思民)과 함께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서... |
* 김사민(金思民, 생몰년 미상)   |
(제3차 고려공청 중잉총국 책임비서) 충남 연산 출신으로 김사국(金思國)의 동생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금강산 유점사(楡... |
* 김산륜(金山崙, 1917~42)   |
(조선의용대 대원) 가정이 극빈하여 유년시절부터 견습공 생활을 했다. 1939년 조선의용대에 가입했으며 팔로군(八路軍) 진서북... |
* 김삼규(金三奎, 1908~?) 金三奉 李哲洙 淸水畿太郎 淸水淸吉   |
(無産者社 책임자, 변절) 전남 영암에서 태어나 영암공립보통학교에서 수학했다. 1920년 4월 토오꾜오(東京)의 카이죠오중학(海城... |
* 김삼룡(金三龍, 1910~50) 김대원, 김성수, 김인업   |
(경성콤그룹 조직부 책임자) 충북 충주에서 소작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8년 3월 용산리보통공립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 |
* 김삼손(金三孫, 생몰년 미상)   |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함남 원산 출신으로, 1929년 6월 만주에서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에 참여했다. 1930년 국내에서 ... |
* 김상기(金相起, 생몰년 미상)   |
(예천청년동맹 집행위원, 신간회 예천지회 집행위원장) 경북 예천 출신으로, 1923년 예천청년회 상무간사가 되었다. 1924년 5월 예... |
* 김상순(金尙順, 1906~?)   |
(영덕공작위 참가자) 경북 영덕 출신으로, 1922년 9월 사립 영해 태화학원 중등과에 입학해 1923년 말 자퇴했다. 농업과 어업에 종... |
* 김상주(金尙珠, 1902~?) 金尙洙   |
(조공 당원) 경남 마산에서 태어나 서당에서 한문교육을 받았다. 10대 중반부터 마산의 원동상회(元東商會), 원동물산무역회사에... |
* 김상준(金尙俊, 1908~?) 金相俊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1928년 3월 화룡현(和龍縣) 이도구(二道溝) 명암촌(明岩村) 혁명자후원회(모쁠)에 가입... |
* 김상혁(金相赫, 1902~?) (本)金琪善   |
(고려공청 일본부 책임비서) 전남 순천의 대지주 집안 출신으로, 1925년 서울 중동학교를 졸업하고 4월 토오꾜오(東京) 와세다대... |
* 김상호(金相鎬, 1913~?) 金尙昊   |
(일공 당원) 함남 영흥 출신으로, 일본공산당 및 일본노동조합전국협의회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1932년 2월 노동자협의회에 참가... |
* 김상화(金相和, 1900~31) 김재봉   |
(중공 汪清縣委 서기)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두텁골[厚洞]의 빈농 집안에서 태어나 소학교를 중퇴했다. 1924년 가을 왕청... |
* 김상환(金相奐, 1909~77)   |
(광주학생운동 참가자) 전남 광양 출신으로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1928년 9월 광주고보 학생을 규합하여 독서회를 조직했... |
* 김석암(金石巖, 1913~39) 김석순 김선동   |
(일공 당원) 1930년 무렵 히로시마(廣島)에서 일본공산당에 입당하고 재일조선인의 조직활동에 참가했다. 그 후 일본 적색구원회(... |
* 김석종(金石鍾, 1904~?) 金石化   |
(조선공청 함북도부 조직연락부원) 함북 길주 출신으로, 용정(龍井) 동흥중학(東興中學)을 졸업했다. 1927년 7월 신간회 길주지회 ... |
* 김석준(金石駿, 1899~?) 金相鐸 金石順 金錫駿   |
(조공 검사부 위원)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1920년경 러시아로 건너갔다. 1925년 말경 모스끄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졸업자들과 함... |
* 김석천(金石泉, 1908~?) 金波 金基湧   |
(고려공청 회원, 중공 延和縣委 간부)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가족을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지인향(志仁鄉)... |
* 김석천 (金錫天, 1904~?)   |
(조공 영천야체이까 책임자) 경북 영천 출신으로, 중학 4학년까지 수학했다.『중외일보』 영천지국 기자생활을 했다. 1925년 2월 ... |
* 김섬(金暹, 1907~?) 金壽男   |
(경성콤그룹 함남 책임자) 서울 출신으로, 출판사에서 일을 하며 경성출판노동조합 집행위원, 조선노동총동맹 집행위원을 역임... |
* 김성(金星, 1910~?) 김산   |
(중공 延和縣委 조직부장, 변절)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 출신으로, 1929년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현(寧安縣)... |
* 김성도(金成道, 1900~34) 金聖道 金景道   |
(조공 만주총국 간부, 중공 東滿特委 조직부장)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대황구(大荒溝)에서 태어나 1923년 용정(龍井) 은진... |
* 김성득(金聖得, 1893~?) 金白波   |
(조공 만주총국 책임비서, 중공 만주성위 순시원) 1927년 11월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현(寧安縣) 동경성(東京城)에서 조선공산당... |
* 김성범(金成範, 1924~47)   |
(조선의용군 제5지대 참가자) 1940년 중국 하북성(河北省)으로 이주하여 일본인이 경영하던 농장에서 일했다 1945년 5월 농장 청년 ... |
* 김성숙(金星淑, 1898~1969) 金奎光 金忠昌   |
(創一黨 간부, 廣州蜂起 참가자) 평북 철산에서 빈농의 장남으로 태어나, 1908년 향리의 대한 립학교를 다녔다. 1916년부터 3년간 ... |
* 김성순(金成順, 1900~?) 金必成   |
(조공 上海 연락책) 중국으로 유학하여 남경(南京) 금릉대학(金陵大學), 북경(北京) 평민대학(平民大學)을 다녔다. 김단야(金丹冶... |
* 김성철(金星哲, 1900~?)   |
(조공 당원) 전북 옥구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조선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신간회 옥구지회 간사로 활동했다. 1928년 일... |
* 김성호(金成吴, 1902~?) 金造成 金成浩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25년 4월 용정(龍井)에서 동흥중학(東興中學) 교사로 재직중 독서회를 조직하여 사회... |
* 김세(金世, 1902~33) (本)金亨杰   |
(和龍縣 유격중대 중대장)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동불사(銅佛寺)소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1931년 화룡현 평강구(平... |
* 김세광(金世光, 1910~?) 金世日 王英載   |
(조선의용대 제3지대장, 독립동맹 晉西北分盟 책임자) 평북 용천 출신으로, 1932년 10월 의열단(義烈團)의 조선혁명간부학교 제1기... |
* 김세연(金世淵, 1899~?) (本)金聖鉉 朴石   |
(조공 책임비서)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오성중학(五中星學)에 입학했다. 만주로 망명한 후 참의부에서 ... |
* 김세용(金世鎔, 1907~66)   |
(건국동맹 중앙간부) 경북 대구 출신으로, 대구 고등보통학교 재학중 3 ․ 1운동에 참가하여 퇴학 처분을 받고 1920년 경성의학전... |
* 김소연(金素然, 1894~1929) (本)金種允 鄭瑀   |
(조공 東滿區域局 집행위원) 함남 단천 출신으로, 1919년 토오꾜오(東京) 니혼대학(日本大學)에 입학하여 3년간 수학했다. 1923년 ... |
* 김소익(金少翼, 1900~?) 金奉烈 金烋 吳少汀 朴正漢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충북 옥천 출신으로, 1928년 ‘제3차 조선공산당 검거사건’을 피해 토오꾜오(東京)에서 상해(上海)로 망... |
* 김수정(金壽正, 1906~?)   |
(일본공청 회원) 경기도 개성 출신으로 황해 청년연맹에 참여했다. 제2차 개성공산당 선전부장을 담당했다. 일본경찰에 검거되... |
* 김수준(金繡準, 생몰년 미상) (여성)   |
(槿友會 중앙검사위원) 1924년 5월 조선여성동우회 결성에 참여하고 간부가 되었으며, 12월 사회주의자동맹 결성에 참여하고 집행... |
* 김순구(金順九, 1899~?)   |
(東滿청년총연맹 상무집행위원) 경남 창원 출신으로, 용정(龍井) 동흥중학(東興中學) 소학부 교사로 재직했다. 1925년 6월 용정에... |
* 김순기(金舜基, 생몰년 미상) 金順基   |
(고려공청재건설준비위 만주부 중앙위원) 1929년 8월 고려공산청년회재건설준비위원회 만주부 건립에 참여하고 중앙위원이 되었... |
* 김순덕(金順德, 1911~34)   |
(인민혁명군 제2군 獨立師 제1단장)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 백초구(百草溝) 여성촌(麗成村)에서 태어나 연길현(延吉縣) ... |
* 김순룡(金順龍, 1916~?)   |
(경성콤그룹 기관지 출판부원) 충북 충주 출신으로, 충주 용산리(龍山里)보통학교와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5년 4... |
* 김순만(金順萬, 1909~?) 金海龍 李元相   |
(적색노조운동 관련자)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보통학교 2학년을 수료한 후 철원노동야학교에서 공부했다. 1924년 무렵부터 철... |
* 김순원(金順元, 1917~41)   |
(경성콤그룹 참가자) 평남 진남포에서 기독교 목사이자 민족주의자인 김성엽(金聖捧)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안창호(安昌浩)의 조... |
* 김순진(金舜鎭, 1911~?) 金鐵雨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서울 출신으로, 1927년 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정형편이 곤궁했다. 1933년 4월 이... |
* 김승빈(金承彬, 1895~1984)   |
(新興武官學校 교관, 소련군 장교) 평안도 자동 출신으로 소학교를 마치고 농업에 종사했다. 1915년 왕실 호위부대에 징집되어 191... |
* 김승훈(金承塤, 1901~?) 朴金石 金裕成   |
(고려공청 만주총국 頭道溝야체이까 책임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1908년 무렵 부모를 따라 시베리아로 이주했다. 1911년 무렵 아... |
* 김시용(金時容, 1902~45)   |
(고려공청 일본총국 기관지 편집위원) 제주도 출신으로, 조천면에서 신명화숙을 졸업했다. 이후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중 ... |
* 김신목(金信穆, 생몰년 미상)   |
(조공재건설준비위 관계자) 경기도 출신으로, 1930년 8월경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의 지시로 강문수(姜文秀), 석경덕(石景... |
* 김아파나시 아르센찌예비치(1900~35) 김성우   |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연해주 니꼴리스끄 ․ 우수리스끄 얀치힌스끄[煙秋] 수하노프까 마을에서 태어나 니꼴리스끄 ․ 우수리... |
* 김알렉산드라 뻬뜨로브나 (1885~1918) (여성)   |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당원) 러시아 연해주 니꼴리스끄 ․ 우수리스끄에 인접한 조선인 농촌 시넬리니꼬보 마을[秋風, 永安坪 ... |
* 김약수(金若水, 1892~1964) (本)金枓佺 金料熙   |
(北星會 간부) 경남 동래군 기장면에서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시절 마을 서당에서 5년간 한문을 수학한 후 향리... |
* 김억주(金億周, 생몰년 미상)   |
(신간회 상주지회 간사, 청총 경북연맹위 검사위원) 1925년 상주청년회 간부, 상주청년연맹발기회 준비위원, 10월 상주청년연맹 ... |
* 김연배(金連培, 1908~?)   |
(고려공청 후계간부조직회 책임비서) 서울 출신으로, 고물상을 경영했고 돈화청년회 회원이었다. 1920년대 중반 모스끄바 동방노... |
* 김연한(金璉漢, 1905~?)   |
(고려공청 안동야체이까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8년 봄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여 안동야체이까에 배속되었다. ‘제3 ․ 4차... |
* 김연희(金演羲, 1898~?)   |
(조공 당원) 경기도 김포 출신으로, 1924년 봄 국내 공산주의단체 통일을 위해 열린 ‘13인회(十三人會)’에 참석했다. 8월 사회주... |
* 김영권(金永權, 1908~?) (本)金亨斌 小人   |
(고려공청 회원) 함북 경흥 출신으로, 일찍이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현(寧安縣)으로 이주하여 농업에 종사했다. 1929년 고려공... |
* 김영규(金永奎, 생몰년 미상)   |
(영흥적색농조 조합원) 함남 영흥적색농민조합에 참여했다. 1932년 관련자들이 검거되자 일본으로 피신하여 토오꾜오(東京)에 체... |
* 김영규(金泳圭, 생몰년 미상)   |
(조공 만주총국 후계조직 참가자) 1928년 5월 함남 갑산 혜산진청년동맹 결성 때 창립준비위원을 맡았다.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후... |
* 김영균(金永均, 1898~?) 金永淳   |
(조공 만주총국 당원) 전북 정읍의 부농 집안 출신으로, 김영휘(金永輝)의 동생이다. 서울 오성학교(五星學校)를 졸업하고 1924년 ... |
* 김영두(金榮斗, 생몰년 미상)   |
(하동노농연합회 상무집행위원) 경남 하동 출신으로, 1924년 7월 하동무산자상조회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5년 3월『사상운동(思想... |
* 김영률(金榮律, 생몰년 미상)   |
(신간회 군산지회 집행위원 후보) 1925년 9월 군산노동청년회 임시총회에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26년 1월 전북 익산의 사상단체... |
* 김영만(金榮萬, 1899~?) 金億萬 秋鋒 秋峯 金昌基 田耕春 金福汝 金斤   |
(고려공산동맹 민족부 책임자) 충남 논산 출신으로, 1920년 2월 조선노동대회 결성에 참여하고 간사가 되었다. 5월 조선노동대회... |
* 김영만(金永萬, 1911~?)   |
(경주적색농조준비위 관계자) 1923년 4월 충남 연산공립보통학교를 중퇴했다. 1930년 8월 연극단에 가입하여 배우로 일했고 1934년 2... |
* 김영배(金英培, 1904~?)   |
(조공 당원) 서울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5년 8월 경기도청년연합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27년 2월 ... |
* 김영수(金榮秀, 1907~?) 聲波 觀世恩人   |
(조공 당원, 회령청년동맹 집행위원) 함북 회령 출신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 3학년을 중퇴한 후 토오꾜오(東京) 세이소꾸(正則)... |
* 김영숙(金英淑, 생몰년 미상) 金蘭英(여성)   |
(敵區工作班 조직과장) 중국으로 건너가 1939년 무렵 연안(延安) 항일군정대학(抗日軍政大學)에서 수학했다. 1941년 1월 태항산(太... |
* 김영식(金泳植, 1899~1930)   |
(―月會 간부) 전남 목포 출신으로,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재학 당시부터 사회운동에 투신했다. 1923년 7월 조선인유학생... |
* 김영우(金永右, 1911~?) 金永尙   |
(봉화적색농조 조합원) 경북 봉화 출신으로, 1927년 3월 봉화 내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8년 2월 봉화청년동맹 상우지부에 ... |
* 김영재(金永才, 1902~?) 金永錫   |
(전남노농협의회 참가자, 남로당 중앙위원) 전남 보성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1923년 서울로 올... |
* 김영호(金英浩, 1907~?) 金英鎬 金永浩   |
(고려공청 만주총국 東滿道 위원)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26년 1월 동만청년총연맹 창립준비위원이 되었다. 1928년 1월 재동만조선... |
* 김영휘(金永輝, ?~1927) 金榮輝   |
(전북민중운동자동맹 會務委員) 전북 정읍의 부농 집안 출신으로, 김영균(金永均)의 형이다. 3 ․ 1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 |
* 김영희(金瑛禧, 1904~?) 金英熙 (여성)   |
(槿友會 중앙집행위원) 경기도 인천 출신으로, 1920년 각종 강연회에서 ‘부인문제에 대하여’ ‘기독교와 여자의 활동’ 등 여... |
* 김영희(金永熙, ?~1946)   |
(예천농조 중앙위원) 경북 예천 출신으로, 1925년 9월 예천청년회 임시총회에서 집행위원이 되었다. 같은 달 예천청년연맹 집행위... |
* 김오성(金午星, 1908~?) (本)金亨俊 金亨隣 金亨傑 金東俊 金화사리 曉汀 黎曉 赤星天 赤心   |
(조선농민사 상임이사) 평북 용천 출신으로, 토오꾜오(東京)에서 니혼대학(日本大學) 철학과를 졸업하고 잡지 『대중지광(大衆... |
* 김옥도(金玉道, 1908~?) 楓岳   |
(全協회원) 전남 완도 출신으로, 1928년 3월 완도 약산학교(藥山學校)를 졸업했다. 일본으로 가서 토오꾜오(東京)에서 공장노동자... |
* 김완근(金完根, 1875~?) 金明鐵   |
(조공 당원) 전남 광양의 지방판관 집안 출신으로, 한학을 수학하고 농업에 종사했다. 1922년 광양청년회, 1923년 광양군소작인상... |
* 김완식(金完植, 1903~?) 金元植   |
(고려공청 회원) 서울 출신으로, 인쇄직공으로 일했고 경성출판노동조합 집행위원장을 지냈다. 1923년 6월경 꼬르뷰로(조선공산... |
* 김용걸(金容杰, 1905~?) 金鶴鳴 李海林   |
(東滿청년총연맹 중앙집행위원, 조공 일본총국 선전부원)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지향(... |
* 김용교(金容敎, 1905~?) 金溶敎   |
(고려공청 회원) 함남 북청 출신으로 1929년 8월 고려공산청년회 회원으로서 신포(新浦)야체이까에 배속되었다. 그해 9월 일본경... |
* 김용규(金龍奎, 1905~?)   |
(강서적색비밀결사 참가자) 안주청년회에 참여했고, 1928년 안주청년동맹에서 활동했다. 강서 적색비밀결사 조직에 참여했다. 동... |
* 김용범(金鎔範, 1902~?)   |
(조공 북조선분국 책임비서) 평남 안주 출신으로, 박정애(朴正愛)의 남편이다.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고 1921년까지 농업에 종사했... |
* 김용섭(金容燮, 1915~?) 柳新 張維輔 全容燮   |
(華北조선청년연합회 위원, 인민군 사단참모장) 함경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용정(龍井) 은진중학(恩眞中學)을 졸업했다. 1... |
* 김용원(金容轅, 생몰년 미상)   |
(김제노조 관련자) 1926년 3월 전북 정읍군 이평면(梨平面)에서 이평노동친목회 결성에 참여하고 총무가 되었다. 이 무렵 삼각노... |
* 김용진(金容鎭, 1909~?)   |
(평양시인민위 위원장) 함북 출신으로, 적색농민조합운동에 참가했다. 해방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에 참가하여, 몽... |
* 김용진(金龍震, 1906~36) 金臺一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길주 출신으로, 1931년 6월 간도 반일농민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33년 12월... |
* 김용찬(金容贊, 1905~?) 金容瓚   |
(고려공청 경남도책) 경남 창원 출신으로, 1923년 1월 동래청년회에 참여하고 운동부 간사로 선임되었다. 이후 북경(北京) 조양대... |
* 김용찬(金容瓚, 1903~35)   |
(영동 赤友同盟 정치경제부 책임) 충북 영동 출신으로,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영동 계산학원 교사, 서울 영창서관 ... |
* 김용천(金容泉, 1900~?)   |
(명천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31년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의 지도 아래 명천에서 적색노동조합운동... |
* 김용표(金容杓, 1899~?)   |
(고려공청 회원) 전남 곡성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5년 무렵 『동아일보』 옥과(玉果)지국을 운영했다. 1927년경 고... |
* 김용호(金容浩, 1903~?) 金龍浩 梁鍾漢   |
(고려공청 만주총국 東滿道 간부) 함북 회령 출신으로, 1926년 8월 조선공산당 당원으로서 동만구역국에 소속되었다. 이 무렵 고... |
* 김우식(金宇植, 생몰년 미상)   |
(고려공청 北滿道 간부) 1925년 9월 만주 중동선(中東線) 오주현성(烏珠縣城)에서 개최된 중선청년연맹회(中鮮靑年聯盟會) 창립대... |
* 김우현(金禹鉉, 생몰년 미상) 金一影   |
(왜관공산주의자협의회 간부) 일본에서 일본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산하 조선예술좌(朝鮮藝術座)에 참여하고 1931년 귀국했다. 19... |
* 김운기(金雲基, 1911~?)   |
(통천 적색농조운동 참가자) 강원도 고성에서 태어나 1929년 3월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1년 7월 ‘만보산(萬寶山) 사건’이 일어... |
* 김웅(金雄, 1912~?) 王信虎   |
(조선의용군 간부대대장) 경북 김천 출신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김구(金九)의 추천으로 1934년 2월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
* 김원묵(金元黙, 1908~?) 金海ᅳ 브라소프   |
(太勞지도자) 1924년 12월 고려공산청년회 간도총국 대회에 참가하여 선전부 담당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9년 모스끄바 동방... |
* 김원봉(金元鳳, 1898~1958) 金若山 陳國斌   |
(義烈團 단장) 경남 밀양 출신으로, 밀양 동화학교와 서울 중앙학교에서 수학했다. 그후 중국으로 건너가 천진(天津)의 덕화학당... |
* 김원봉(金元鳳, 1915~?)   |
(함남 적색농조운동 참가자, 노동당 강원도당 위원장) 함북 온성 출신이다. 함남에서 적색농민조합운동에 종사하던 중 일본경찰... |
* 김원석(金元錫, 1911~?)   |
(太勞운동 참가자) 공립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토오꾜오(東京)와 오오사까(大阪)에서 도금공으로 일했다. 1931년 3... |
* 김월성(金越星, 1907~?) (本)金光恩 金明益 金꾸와노푸 金光銀   |
(고려공청 중앙위원, 조공 만주총국 東滿道 위원) 함남 원산 출신으로, 러시아공산청년동맹(꼼소몰)에 가입했다. 연해주에서 조... |
* 김월옥(金月玉, 1914~?) (여성)   |
(적색노조운동 관련자) 함남 원산 출신으로, 원산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 정신여학교, 용곡여학교에서 수학했다. 독서... |
* 김위(金煒, 1918~?) 金威那 (여성)   |
(조선의용대 유동선전대 간사) 중국 만주 출신으로, 영화배우 김염(金焰)의 누이동생으로 잠시 영화배우 생활을 했다. 중일전쟁... |
* 김유경(1900~29)   |
(소련군 장교) 1900년 연해주 수이푼 구역 차삐고우 마을 출신으로, 1921년 초 한인 빨치산 부대에 참가하여 일본간섭군과 백위군(... |
* 김유삼(金有三, 1899~?)   |
(명천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21년 3월 평양 대동경찰서에 유치중 탈출했다. 1931년경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 |
* 김유성(金有聲, 1894~?) 金庾成   |
(조공 광주군당 간부) 전남 광주 출신으로, 1920년 광주노동공제회 결성에 참여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4년 『시대일보』 광주... |
* 김유인(金裕寅, 1894~?)   |
(고려공산동맹 교양부 책임자) 함남 북청 출신으로,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을 다녔다. 1919년 4월 서울에서 ‘임시정부 선포... |
* 김유창(金裕昌, 생몰년 미상)   |
(노총 중앙집행위원, 신간회 평양지회 집행위원) 1922년 9월 평양노동동맹회 결성에 참여했다.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 창립대... |
* 김윤덕(金潤德, 생몰년 미상) 金錫胤   |
(조선의용군 華中支隊 조직위원) 1943년 8월 화북(華北)조선독립동맹 화중분맹원으로 활동했다. 1944년 1월 화중의 신사군(新四軍)... |
* 김윤봉(金允逢, 생몰년 미상)   |
(조공 만주총국 간부) 1925년 12월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상의향(尙義鄕) 세린하(細麟河) 와룡동(臥龍洞) 농우청년회 결성... |
* 김윤회(金潤會, 1913~?) 韓相勳 韓相哲 林澤洙 金落鍾 金載焕   |
(조공 재건운동 관련자) 충남 부여 출신으로, 1932년 3월 공주 사립 영명학교(永明學校)를 나와 4월 서울 법정학교(法政學校)에 입... |
* 김은식(金微直, 1908~32) 김광식   |
(汪淸縣 유격대 정치위원) 함북 부령에서 태어나, 독립운동에 종사하던 아버지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왕청현 합마당(哈蟆塘) 대... |
* 김은한(金殷漢, 1891~?) 金宗漢 陳墟 林水茂 韓一   |
(조공 만주총국 北滿道 책임비서) 경북 영천 출신으로, 보통학교 교사를 지냈다. 1920년 공산주의사상을 수용했다. 1926년 3월 만주... |
* 김응기(金應基, 1900~?) 李定基 즈야멘스끼   |
(조공재조직준비위 참가자) 경북 예천 출신으로, 1924년 신흥청년동맹에 가입하고 1925년 예천 신흥청년회, 오오회(五五會)에 가입... |
* 김응빈(金應彬, 1914~?) (號)玄友 金澤應 彬   |
(경성콤그룹 섬유노조 책임자) 제주도 출신으로, 1930년 3월 공립보통학교를 나와 4월에 제주공립농업학교에 입학했다. 1931년 3월 ... |
* 김응섭(金應燮, 1878~?) (號)東田   |
(조공 만주총국 간부) 경북 안동 출신으로, 대한제국 시기 변호사 ․ 검사를 지내고 1919년 상해(上海)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 |
* 김응수(金應水, 1902~?)   |
(고려공청 거제도야체이까 책임) 경남 거제도 출신으로 1924년 11월 거제청년연맹 창립총회에 장승포 대표로 참석했다. 1925년 4월 ... |
* 김응수(金應洙, 1902~36) 金基泉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부령 출신으로, 1930년 8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여 평강구(平崗區)위원회 강석(降石)지부 책임... |
* 김응한(金應漢, 생몰년 미상) 金膺漢   |
(신간회 안동지회 대표위원)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5년 3월 경북의 사상단체 사합동맹(四合同盟)에 참여했다. 8월 안동청년연맹 ... |
* 김이룡(金利龍, 생몰년 미상) 金二龍   |
(고려공청 중앙위원) 1925년 2월 경북사회운동자동맹 경리부 담당 집행위원이 되었고 그해 말 고려공산청년동맹 경북 책임자가 ... |
* 김이천(金二千, 1912~?) 金伊川   |
(중국공청단 延吉區委 책임) 서울 출신으로, 1929년 10월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에 가입하고 의란구(依蘭溝) 남동야체이까에 배... |
* 김이흥(金二興, 1909~?) 金興培 金東圭   |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경기도 고양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중퇴한 후 인쇄직공으로 일하면서 경성출판노동조합에 가입하여... |
* 김익두(金益斗, 생몰년 미상)   |
(농총 중앙집행위원) 1925년 전남 순천에서 순천면농민공제회 임시의장을 지냈다. 1926년 4월 나주 영산포에서 자유노동조합을 조... |
* 김익수(金益洙, 1891~?)   |
(조공재건설정리위 조직부원) 함남 이원 출신으로, 1921년 3월 평양 대동경찰서에 수감중 탈출했다. 1930년 11월 조선공산당재건설... |
* 김인기(金仁基, 생몰년 미상)   |
(고려공청재건설준비위 만주부 중앙위원) 1929년 3월 조선혁명당 길흑(吉黑)특별위원회를 건립하고 책임자가 되었다. 8월 고려공... |
* 김인수(金仁洙, 1906~?) 金寶慶   |
(청총 경북연맹 집행위원) 경북 김천 출신으로, 1923년 1월 철육단(鐵育團)을 조직했고 같은 해 김천소년회에 가입했다. 1925년 김... |
* 김인수(金寅洙, 1898~?)   |
(고려공청 회원) 전남 장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배웠다. 1925년 장성청년회 서무부 위원, 효성단(曉星團) 서무부 위원을 지... |
* 김일(金一,1910~84) 朴德山   |
(항일연군 제2방면군 제8단 정치위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31년 동만주에서 반제동맹에 참여한 후 항일유격대에 입대했다. 1934... |
* 김일묵(金一默, 1901~33) 한별 韓別 韓星 朴一天   |
(조공 만주총국 東滿道 조직부장) 평북 강계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로 이주했다. 1927년 5월 조... |
* 김일선(金日善, 1899~?)   |
(조공 당원) 평남 평양 출신으로, 1926년 말 신흥과학연구회 발기인으로 활동했다. 1927년 12월 조선공산당[春景園黨]에 입당했다. 1... |
* 김일성(金日成, 1912~94) (本)金成柱   |
(汪淸유격대대 정치위원) 평남 대동군 고평면 남리(현재 만경대)에서 민족주의자 김형직(金亨稷)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부... |
* 김일성(金一聲, 1898~1938) 김윤수 金田二郎   |
(재일조선노총 참가자) 경북 경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카나가와현(神奈川縣)에서 노동운동에 종사했다. 1928년 재일본조... |
* 김일수(金一洙, 1896~?) (本)金秉澤 金秉祚 金昌錫 金允官 로동   |
(조공재건설준비위 책임비서) 함남 이원 출신으로 블라지보스또끄에서 노동에 종사했다. 1921년 무렵 한인사회당에 입당했다. 192... |
* 김일순(金日順, 1904~?)   |
(조공 당원) 평남 평양 출신으로, 1927년 12월 조선공산당[春景園黨]에 입당했다. 1928년 6월 평양경찰서에 검거되어 1929년 6월 징역 ... |
* 김일식(金一植, 1911~?)   |
(적색노조건설대구협의회 의장) 1928년 9월 대구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중 동맹휴교 사건으로 퇴학당하고 10월 서울 중동학교 3... |
* 김일준(金曰準, 1910~?)   |
(제주도적색농조 창립준비위원) 제주도 출신으로, 1927년 3월 조천(朝天)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제주공립농업학교와 서울 중동... |
* 김일현(金一鉉, 1902~32) 金甲辰   |
(조선공청 회원) 함북 성진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다. 1928년 2월 성진청년동맹 학상북부지부 집행위원이 되었... |
* 김일환(金日煥, 1902~34) (本)김용석 김성호   |
(중공 和龍縣委 서기)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1910년 가족을 따라 길림성(吉林省) 화룡현으로 이주했다. 화룡현 대랍자(大拉子)... |
* 김장렬(金章烈, 1905~?)   |
(정평농조 상무집행위원) 함남 정평 출신으로,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사립학교 교사, 『조선일보』 정평지국 기자를 지... |
* 김장환(金長煥, 1898~?)   |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경남 진주 출신으로, 1927년 12월 신간회 진주지회 간사가 되었다. 1928년 2월 진주농민연맹 쟁의부 위원, 경... |
* 김재갑(金載甲, 생몰년 미상)   |
(조공 평북 위원) 평북 신의주 출신으로, 김재병(金載丙)의 형이다. 1934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 입학하여 재학중 사회주의 ... |
* 김재규(金在奎, 1905~?)   |
(신간회 단천지회 간사) 함남 단천의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광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동원리 농우청년회에서 운영하던 서... |
* 김재동(金載棟, 1911~?)   |
(전남노농협의회 농민부원) 전남 함평 출신으로, 김한동(金漢東)의 형이다. 1927년 4월 광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29년 11월 ... |
* 김재룡(金在龍, 1907~37)   |
(전남노농협의회 관계자) 전남 곡성에서 태어나 광주공립농업학교를 다녔고, 1927년 11월 학생공산당을 조직했다. 1928년 6월 동맹... |
* 김재명(金在明, 1901~30) 金憲植 金麗水 음달   |
(전남해방운동자동맹 집행위원) 전남 광주 출신으로, 1923년 1월 서울에서 북성회(北星會)계 사상단체 건설사(建設社) 창립에 참... |
* 김재범(金在範, 생몰년 미상)   |
(항일연군 제2군 제6사 부대장, 변절) 1936년 7월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6사 제7단 정치위원이 되었다. 11월 항일민족통일전선운동... |
* 김재병(金載丙, ?~1942) 高揚喜   |
(경성콤그룹 참가자) 평북 신의주 출신으로, 김재갑(金載甲)의 동생이다.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동화(東華)철공소, 경성... |
* 김재봉(金在鳳, 1890~1944) 槿田   |
(조공 초대 책임비서) 경북 안동의 유생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을 배웠다. 1908년 대구 계성학교(啓聖學校)를 졸업하고 1913... |
* 김재선(金在善, 1916~?) (여성)   |
(경성콤그룹 참가자) 함남 홍원 출신으로, 1930년 3월 홍원보통학교를 졸업하고 4월 서울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34... |
* 김재수(金在水, 1902~?)   |
(조공 당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서울 중동학교를 졸업하고 『시대일보』 성진지국 기자로 근무했다. 1924년 12월 성진에서 사상... |
* 김재욱(金在旭, 1912~?)   |
(영주적색노조건설위 선전부 책임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8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서당에서 2년간 한학을 배웠... |
* 김재중(金載中, 1903~?)   |
(고려공청 회원) 전남 광주 출신으로, 1926년 광주 신광청년회(新光靑年會)에 가입했다. 그해 4월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여 광... |
* 김재한(金在翰, 생몰년 미상)   |
(고려공산청년동맹원)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1925년 4월 전조선노농대회 준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 무렵 사상단체 무공회에 ... |
* 김재홍(金在泓, 1886~?)   |
(조공 경남도당 집행위원) 경남 진주 출신으로, 3 ․ 1운동 때 시위를 주도하다가 경찰에 검거되어 6개월간 수감되었다. 1922년 5월... |
* 김점권(金點權, 1907~?)   |
(조공 재건운동 관련자) 경기도 고양 출신으로, 1927년 3월 인천 영화학교(永化學校)를 졸업한 후 자유노동에 종사했다. 1928년경부... |
* 김점봉(金点鳳, 1910~?)   |
(진주 노동운동가) 경남 진주 출신으로, 진주제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인쇄직공으로 일했다. 1930년 11월 진주청년동맹 집행... |
* 김정구(金鼎九, 1909~?)   |
(조공재건설준비위 공청부원) 함남 함흥 출신으로, 1927년 7월 함흥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 동맹휴교를 주도했다. 1928년 8월 함흥... |
* 김정국(金正國, 1912~38) (本)김상주 김상규 김진국   |
(항일연군 제11군 정치부 주임) 경북 예천 출신으로, 1916년 이래 요녕성(遼寧省) 관전현(寬甸縣), 흑룡강성(黑龍江省) 학강동(鶴崗... |
* 김정규(金正奎, 1899~1973) (號)포해, 金寒   |
(조공 일본부 책임비서) 경남 합천 출신으로, 1924년 1월 대구노동공제회 제5차 정기총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3월 대구... |
* 김정기(金正琪, 1891~?)   |
(조선민흥회 상무위원) 경기도 광주 출신으르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으로 건너가 『동아일보』 간도지국을 ... |
* 김정로(金正魯, 1897~?)   |
(고려공청 회원, 건준 제주도지부 총무부장) 제주도 출신으로 경성중학 5학년을 수료하고 철공(鐵工)으로 일했다. 제주청년회 집... |
* 김정숙(金貞淑, 1917~49) (여성)   |
(항일연군 참가자) 함북 회령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팔도구(八道溝)에 이주한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 ... |
* 김정숙(金貞淑, 생몰년 미상) (여성)   |
(경성여자청년회 회원) 1921년 3월 천진(天津)에서 조직된 애국부인회 서무가 되었다. 1925년 1월 서울에서 여성해방운동회 창립준... |
* 김정옥(金貞玉, 1906~?) 金化玉 金哲   |
(진남포상공학교 독서회 참가자) 『동아일보』 진남포지국 기자를 지냈다. 1930년 7월 진남포청년동맹 상무집행위원이 되었고, ... |
* 김정하(金鼎夏, 생몰년 미상) 金政夏 金正夏 李成範   |
(조공조직준비위 위원) 함북 청진 출신으로 이동휘(李東輝)의 사위이다. 1923년 1월 상해(上海)에서 개최된 국민대표대회에 고려... |
* 김정홍(金正泓, 1903~?)   |
(고려공청 일본총국 회원) 함남 영흥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마치고 고향을 떠나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縣) 및 북간도 방면... |
* 김정환(金正煥, 1906~?)   |
(고려공청 南滿 제1도 집행위원) 함남 함흥 출신으로, 1926년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에 가입했다. 1927년 1월 고려공청 남만 제1... |
* 김정환(金貞煥, 생몰년 미상)   |
(개성공산당 책임자) 노비의 아들로 태어나, 모스끄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했다. 1927년 11월 개성공산당을 조직하고 책임... |
* 김정희(金正熙, 1909~?)   |
(조선의용대 제2구대 대원) 평북 정주 출신으로, 1933년 9월 의열단(義烈團) 산하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하여 1934년 4월 제2기로 ... |
* 김제봉(金濟鳳, 1899~?)   |
(조공재조직준비위 참가자) 함남 함흥 출신으로, 교사로 근무했고 신간회 함흥지회 검사위원이었다. 1929년 8월 함흥에서 열린 하... |
* 김제혜(金濟惠, 1899~?) (여성)   |
(국제여성총회 조선인 대표, 러시아공산당원) 함남 원산에서 태어나 1914년 소학교를 졸업했다. 1916년 서울의 여자고둥보통학교... |
* 김조이(金祚伊, 1904~?) 金隱谷 마야꼬바(여성)   |
(고려공청 회원, 민전 중앙위원) 경남 창원 출신으로, 조봉암(曹奉岩)의 부인이다. 1925년 1월 경성여자청년동맹 창립대회에서 전... |
* 김종건(金鍾健, 1896~?)   |
(노총 중앙집행위원) 경남 창원 출신으로, 1923년 진성회(進誠會, 1925년 12월 제4청년동맹으로 개칭) 결성에 참여했다. 1924년 1월 진... |
* 김종렬(金鍾烈, 1910~?) 까나로프   |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경남 마산에서 태어나 마산소학교를 졸업했다. 1927년 12월 마산청년동맹 임시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 |
* 김종렬(金鍾烈, 1911~?)   |
(정평농조재건위 참가자) 함남 정평 출신으로, 광덕면 흥덕학교를 졸업했다. 농업에 종사하면서 정평농민조합에 가입했다. 1933... |
* 김종문(金鍾文, 1906~?)   |
(고려공청 회원) 전북 정읍의 중류 가정 출신으로 1926년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재학중 조선학생과학연구회에 가입했다. 1927... |
* 김종범(金鍾範, 1892~?) 秋山 川一 三民 川一平 凡祚   |
(부산청년회 총무부 간사, 北星會 회원) 경남 창원 출신으로 일본에서 대학을 다녔고 1919년 조선주조주식회사 사장을 지냈다. 192... |
* 김종성(金鍾盛~생몰년 미상)   |
(정평적색농조 관련자) 1930년 이래 함남 정평에서 진행된 정평적색농민조합 조직운동에 참여했다. 1933년 12월 함흥지법에서 징역... |
* 김종성(金鍾聲, 1902~?)   |
(중공 東滿特委 조선국내공작위 참가자) 평남 평양 출신으로, 평양에서 자유노동에 종사했다. 1928년 1월 평양노동청년회 활동과 ... |
* 김종수(金淙洙, 생몰년 미상)   |
(고려공청 회원) 경북 김천 출신으로, 1925년 11월 고려공산청년회의 추천으로 모스끄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입학했다. 1930년 ... |
* 김종신(金宗信,1904~78) (號)梅下 金鍾信   |
(마산공산당원, 자유당 경남도당 위원장) 경남 마산 출신으로, 토오꾜오전기학교(東京電氣學校) 예과를 졸업하고 쮸우오오대학(... |
* 김종우(金鍾禹, 1903~?)   |
(고려공청 후계조직 관련자) 서울 출신으로, 1929년 5월 인왕청년회(仁旺靑年會) 조사연구부 책임자, 중앙청년동맹 조사연구부 책... |
* 김종원(金鍾原, 1910~?) 金宗煥   |
(조선학생전위동맹 관련자, 조선혁명자동맹 조사부 책임) 서울 출신으로 고학당(苦學堂)에 다녔다. 중앙청년동맹 서구지부 집행... |
* 김종익(金鍾益, 1906~?)   |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전남 장성 출신으로 구둣방을 경영했고 광주청년회에서 활동했다. 1931년 2월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 |
* 김종진(金鍾鎭, 1904~?)   |
(적농재건투쟁위 적농부 위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7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농업에 종사했다. 그후 영주청년동... |
* 김종철(金鍾哲, 1906~?) 金鍾喆 金弼   |
(조선좌익노조전국평의회조직준비회 중앙집행위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28년경 재동만(東滿)조선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 ... |
* 김주복(金周福, 1906~?) 金碩虎   |
(중공 瑟岩村지부 책임비서) 함북 명천 출신으로, 1930년 7월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여 연길현(延吉縣)위원회 슬암촌지부 책임비서 ... |
* 김주현(金周賢, 1904~38)   |
(항일연군 제2군 제6사 제7단장)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복동(福洞) 토성동(土城洞)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1918년 복동 ... |
* 김주훤(金周萱, 1903~?) 金容柱   |
(광양청년동맹 위원장)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1916년 광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4년 12월 서울 중동학교를 중퇴한 후 광양... |
* 김준걸(金俊傑, 1909~?) 金俊杰 金振山   |
(북간도 반일무장봉기 참가자) 함북 종성 출신으로, 1930년 12월 중국공산주의청년단에 가입했다. 1931년 유격대에 입대하여 반일... |
* 김준상(金俊相, 1910~?) 金禎相   |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 참가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7년 3월 풍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농업에 종사했다. 1928년 3월 영주... |
* 김준섭(金俊燮, ?~1926) 강화일   |
(중공 당원) 3 ․ 1운동 후 조선을 떠나 중국으로 갔다. 중국공산당 파견으로 소련에 가서 군관학교 기관총 전문과에 다녔다. 학... |
* 김준연(金俊淵, 1895~1971) (號)朗山   |
(조공 책임비서) 전남 영암 출신으로, 영암보통학교, 경성고등보통학교, 일본 오까야마(岡山) 제6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20년 토... |
* 김직성(金直成, 1902~?)   |
(조공 당원) 경남 사천 출신으로, 1923년 8월 마산공산청년회 결성에 참여했다. 1924년 8월 마산공산당 결성에 참여했고, 1925년 조선... |
* 김진(金震, 생몰년 미상)   |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1920년 3월 블라지보스또끄 한인사회당 창당대회에 참석하여 총회 의사회장이 되었다. 10월 치따에서 러시... |
* 김진국(金振國, 생몰년 미상)   |
(함인농조 집행위원) 경남 함안 출신으로, 1930년 2월경 서울에서 신간회 상무위원으로 활동하던 중 광주학생운동에 동조한 혐의... |
* 김진국(金鎭國, 1897<1904>~?) 金一淳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회령에서 태어나 어려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으로 이주했다. 1927년 4월 조선공산당 만주총... |
* 김진성(金晉成, 1913~?)   |
(적색노조운동 관련자) 전북 금산 출신으로, 1928년 3월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4월 일본 오오사까(大阪)에서 소학교 6학년에 편입... |
* 김진세(金振世, 1901~?)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남 갑산 출신으로,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용정촌(龍井村) 제1야체이까에서 활동했다. 1929년 8월 조공재건... |
* 김진호(金振浩, 1905~?) 金波 金浩哲 金化龍   |
(조공재건설준비위 관련자) 함남 갑산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0년 7월부터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 노동자... |
* 김찬(金燦, 1894~?) (本)金洛俊 鄭滿 權一秀 徐如林 黃起龍 水岩   |
(꼬르뷰로 국내부 공작원, 고려공청 중앙간부) 함북 명천 출신으로, 함북 경성소학교, 성진중학, 명천 진성중학에서 수학했다. 19... |
* 김찬순(金讚淳, 1899~?) 金燦淳   |
(조공 황해도책) 황해도 재령 출신으로, 『동아일보』 신원지국을 운영했다. 해서청년연합(海西靑年聯合)과 황해청년연맹에서 ... |
* 김창권(金昌權, 1885~?) 豆南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함북 청진 출신으로, 함북 경성의 보성학교(普成學校)를 졸업했다. 신간회 청진지회 집행위원장, 청진차... |
* 김창근(金昌根, 1907~35) 왕뚱보   |
(중공 磐石縣委 서기) 1925년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반석현으로 이주했다. 1927년 호란진집창자(呼蘭鎭集廠子)에서 청년동맹... |
* 김창덕(金昌德, 생몰년 미상) 이덕산   |
(조선의용군 간부) 1930년대 중반 동북인민혁명군 제4군 간부로서 북만(北滿)에서 활동했다. 그후 소련에서 훈련을 받고 1938년경 ... |
* 김창만(金昌滿, 1913~?) 金昌濟 장춘산   |
(조선의용대 流動宣傳隊長) 함남 영흥 출신으로, 서울 중동학교를 중퇴한 후 중국 광동(廣東) 중산대학(中山大學)에 입학했다. ... |
* 김창수(金昌洙, 1901~?) 金日冶   |
(전북 조공재건설준비위 참가자) 전북 정읍 출신으로, 김철수(金錣洙)의 동생, 김광수(金光洙)의 형이다. 1925년 10월 화호(禾湖)노... |
* 김창식(金昌植, 생몰년 미상) 金昌湜   |
(조공 김천그룹재건협의회 관련자) 1927년 8월 재동경김천유학생학우회가 주최한 농촌순회강연단에 참가하여 순회강연을 했다. ... |
* 김창욱(金昌旭, 1901~?) 金光濬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길주 출신으로, 1926년 12월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상의향(尙義鄕) 세린하(細麟河) 이화... |
* 김창원(金昌元, 1903~?)   |
(조공 함북도부 주을그룹 책임자)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점원으로 일했다. 1928년 경성(鏡城)청년동맹 검사... |
* 김창일(金昌一, 1906~?) 金星   |
(조공 함북도당 위원) 함남 덕원에서 태어나 함북 경성에서 성장했으며, 신문기자로 활동했다. 1925년 11월 함북청년단연합회가 ... |
* 김창준(金昌俊, 1900~?)   |
(조공 당원) 함북 온성 출신으로, 대동학원(大東學院) 교사를 지냈다. 신흥청년동맹, 화요회, 무산자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
* 김창흡(金昌洽, 생몰년 미상)   |
(함남 적색농조운동 지도자, 노동당 중앙위원) 함남 출신으로, 함남에서 적색농민조합운동에 참여했으며 함남반일동맹 결성에 ... |
* 김창희(金昶熙, 1906~?)   |
(봉화적색농조 집행위원) 경북 봉화 출신으로, 1927년 3월 대성학원 3학년을 수료한 후 농업에 종사했다. 10월 신간회 봉화지회, 192... |
* 김채룡(金采龍, 1905~?)   |
(조공 당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간도의 배문의숙과 영신중학(永新中學)을 거쳐 동흥중학(東興中學)을 졸업한 후 귀향했다. 1926... |
* 김채준(金采俊, 1909~?)   |
(조선공청 회원) 함북 성진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8년 3월 성진군소년연맹을 해체하고 성진소년동맹을 창립했으며... |
* 김책(金策, 1903~51) (本)金洪啓   |
(항일연군 제3군 정치부 주임, 중공 北滿臨時省委 서기) 함북 성진(현재 김책시)의 빈농 가정 출신으로, 김홍선(金洪善)의 동생이... |
* 김천해(金天海, 1898~?) (本)金鶴儀   |
(조공 일본총국 책임비서) 경남 울산에서 해산물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한문을 배웠고 이후 불문(佛門)에 입문하여 191... |
* 김철(金哲, 1899~?) (本)金華坤 秋光   |
(고려공청 책임비서) 전북 익산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났고 토오꾜오(東京) 세이소꾸(正則)영어학교를 중퇴했다. 1921년 10월 ... |
* 김철(金哲, 1907~32) 김철호   |
(汪淸縣 항일유격대장) 함북에서 태어나 어려서 흑룡강성(黑龍江省) 동녕현(東寧縣) 육참(六站) 석교촌(石橋村)으로 이주했다. 19... |
* 김철(金喆, ?~1930) 金昌旻 金鐵   |
(‘간도 5 ․ 30봉기’ 지휘자) 1920년경 군정서(軍政署) 산하 사관학교에서 수학했다. 1924년 10월 길림(吉林)에서 정의부(正義府) ... |
* 김철국(金哲國, 1897~?)   |
(고려공산당원) 함남 북청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부터 노동에 종사했다. 1919년 경원선 철도 건설현장에서 일하다가 3 ․ 1운동에 ... |
* 김철규(金澈奎, 1903~?)   |
(고려공청 만주총국 회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28년 5월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화요파)에 가입했다. 1929년 5월 고려공청 연... |
* 김철산(金鐵山, 1901~32)   |
(중공 延和縣委 서기)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왕우구(王隅溝) 출신으로, 1927년 중국 광주(廣州)에서 대학에 재학중 광주... |
* 김철산(金鐵山, 1907~31) (本)金振鐸   |
(조공 東滿道 선전부장) 함북 무산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의 사회주의 교육기관 동양학원(東洋學... |
* 김철수(金綴洙, 1893~1986) 銅再 初峰 金昌律 金昌根   |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전북 부안 출신으로, 김창수(金昌洙), 김광수(金光洙)의 형이다. 향리에서 보통학교를 마친 뒤 1908년 군산... |
* 김철우(金鐵宇, 1903~?)   |
(중공 汪淸區委 선전부장, 노동당 중앙후보위원)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으로 ... |
* 김철원(金鐵遠, 1912~?) (本)金斗聲   |
(조선의용군 대원) 서울 출신으로, 아버지와 맏형이 의사였다. 1936년 중국으로 건너가 광동(廣東) 중산대학(中山大學)을 다녔다. ... |
* 김철주(金鐵柱, 1908~?)   |
(전북공산주의자협의회 참가자) 전북 전주 출신으로, 1928년 4월 전주청년동맹 제1차 정기 총회에 참석하여 도연맹 출석대표위원... |
* 김철진(金哲鎭, 1905~71)   |
(고려공청 목포야체이까 책임자, 전남 도의회 의원) 전남 목포의 부유한 가정 출신으로, 일본 쿠마모또(熊本)농업학교를 졸업하... |
* 김철환(金鐵煥, 1900~?)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함남 단천 출신으로, 원산공립간이상업학교를 졸업하고 1916년 3월 서울 경신학교에 편입하여 1917년 3월 ... |
* 김철훈(金哲勳, 생몰년 미상)   |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함경도 출신으로, 1920년 2월 이르꾸쯔끄공산당 한족부 결성에 참여하고 위원이 되었다. 7월 이르꾸쯔끄에... |
* 김추신(金秋信, 1908~?) (本)金京淑 (여성)   |
(재일조선노총 간부, 일공 당원) 함남 덕원 출신으로, 토오꾜오(東京) 조선노동조합 부인부장이면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간부... |
* 김충진(金忠鎭, 1910~39)   |
(항일연군 제4사 간부) 함북 경성 출신으로, 어려서 지주집 머슴이 되었다. 1926년 봄 연길현(延吉縣) 소연집구(小煙集溝) 태암촌(... |
* 김치곤(金致坤, 1903~?) 金泰善 이꼬찐   |
(적색노조운동 관련자) 평북 의주 출신으로, 신의주보통학교, 신의주공업보습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목공소에서 일하다가 신의... |
* 김치정(金致廷, 1907~?) 金致程 金鐵 金鐵秀 韓明洙 李明洙 李明濟 李在煥   |
(조공 上海야체이까원) 평북 박천 출신으로, 보통학교 2년을 중퇴했다. 1927년 1월 상해로 가서 1929년 1월 이후 국민정부 직할 상해... |
* 김칠성(金七星, 1909~?) 金永浩   |
(智島농조건설위 책임자) 전남 무안 출신으로, 1928년 3월 지도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내양학원을 개설하고 교사가 되었다. 193... |
* 김탁(金鐸, 1912~?) 王通   |
(조선의용대 제3지대 정치지도원, 인민공화당 간부) 함북출신으로, 1935년 무렵 중국으로 건너가 4월 의열단(義烈團) 조선혁명간... |
* 김태권(金泰權, 1910~?)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흥 출신으로, 1930년 화룡현(和龍縣) 약수동(藥水洞)에서 ‘간도 5 ․ 30봉기’에 참가했다. 이... |
* 김태균(金泰均, 1904~?)   |
(조공 함북도당 위원) 강원도 통천 출신으로, 주로 함북에서 활동했다. 신문기자를 지냈으며, 1924년 9월 무렵부터 서울파와 연계... |
* 김태근(金泰根, 1915~?) 金成泰   |
(경남 양산농조 조합원) 경남 양산에서 태어나 농업에 종사했다. 1932년 1월 양산농민조합에 가입했다. 3월 조합 간부들이 양산경... |
* 김태두(金泰斗, 1902~?)   |
(영주청년동맹 집행위원장)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7년 8월 신간회 영주지회 설립에 참여하고 대의원이 되었다. 그해 12월 영주청... |
* 김태래(金泰來, 1907~?)   |
(조선학생전위동맹 책임비서) 충남 천안 출신으로, 1920년대 중반 고학당(苦學堂) 재학중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했다. 1927년 11월 ... |
* 김태산(金泰山, 1908~?) 金英春 金鳳龍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1929년 11월 남만(南滿)청년총동맹 상무집행위원이 되었다. 1930~31년 간도 반일농... |
* 김태상(金台尙, 1915~?)   |
(예안노동행동대 선전부 책임자)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1929년 안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0년 12월 일본 토오꾜오(東京)로 ... |
* 김태섭(金泰燮, 1900~?)   |
(간도 반일농민운동 참가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났다. 1930~31년 간도 반일농민운동에 참가했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1933년 12월... |
* 김태수(金台洙, 1906~?)   |
(赤友同盟 책임비서, 민전 중앙위원) 충북 영동 출신으로, 영동보통학교 졸업 후 서울에서 보성고등보통학교에 다녔다. 이후 용... |
* 김태식(金泰植, 생몰년 미상)   |
(일공 당원) 1932년 7월 일본공산당에 입당했고, 1935년 2월 비합법 공산주의단체를 결성했다. 이때 합법 노동단체 내선친애회(內鮮... |
* 김태영(金台榮, 1905~?) 金一龍 金斗鐵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조공 경남도당 간부) 경남 하동 출신으로, 김계영(金桂榮)의 동생, 김두영(金斗榮)의 형이다. 어렸을 때 4... |
* 김태욱(金台郁, 1905~?) 一波 金一寅 金一 菊田一夫   |
(재일본 소비조합운동 지도자) 함남 단천 출신으로, 1927년 8월 토오꾜오(東京) 조선노동조합이 주최한 ‘조선총독 폭압정치반대 ... |
* 김태준(金台俊, 1905~50) (號)天台山人   |
(국문학자) 평북 운산에서 태어나 유교적인 집안 분위기 아래서 서당교육을 받았다. 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1926년 경성제국대... |
* 김태희(金台熙, 1899~?) 金奇得 金永煥 白南斗 白永鎬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서울 출신으로,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했고 신간회 오오사까(大阪)지회 상무집행위원을 지냈다. 1929년 9... |
* 김택수(金澤銖, 1901~?)   |
(고려공청 회원) 제주도 출신으로, 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보성전문학교 1학년을 수료하고 주류판매업에 종사했다. 1922년 제주청... |
* 김택원 (1899~?)   |
(자유시한인보병대대 부관) 러시아 연해주 니꼴리스끄 ․ 우수리스끄 얀치헤 바라바시 마을의 빈농 집안 출신이다. 1920년 2월 한... |
* 김판권(金判權, 1900~?) 紫明 棟尾次郞   |
(영암공산주의자협의회 책임자) 전남 영암에서 태어나 어려서 토오꾜오(東京)로 이주하여 니혼대학(日本大學)을 다녔다. 1920년 1... |
* 김필선(金弼善, 1901~?)   |
(고려공청 강원도 위원) 1927년 9월 강원도청년연맹 혁신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8년 3월 고려공산청년회 강원도 위... |
* 김필수(金必壽, 1904~?) 金弼壽 朴惠淑 따노바 (여성)   |
(고려공청 학생부 위원, 太勞 지도자) 경남 김해 출신으로, 1927년 4월 근우회(槿友會)에 참여했다. 1928년 3월 고려공산청년회 학생... |
* 김필현(金弼鉉, 1905~?) 朴昌大 金弼鍊   |
(경성적색노조건설협의회 경제부 책임) 서울 출신으로, 3 ․ 1운동에 가담하여 한때 검속되었다. 서울에서 인쇄노동자로 생활했... |
* 김하경(金河慶, 1908~?) 一山   |
(고려공청 회원) 경북 봉화 출신으로, 북청노동조합원이었다.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했으며, 1930년 2월경 검거되었다.
|
* 김하경(金河景, 1907~?)   |
(경성콤그룹 관련자) 함남 함흥 출신으로, 함북 웅기보통학교,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6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 |
* 김하구(金河球, 1880~?) 金河龜   |
(신민회 회원, 『한인신보』 주필)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했다. 1906년 애국계몽운동단체 한북학회에 참... |
* 김하근(金河槿, 1908~?) 金河根 金春甲 金石峰   |
(고려공청 東滿道 局子街 위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1927년 7월 연길현(延吉縣) 국자가 지인향(志仁鄉)청년연맹 집행위원이 되었... |
* 김하룡(金河龍, 1904~?) 金若泉 金活   |
(조선공청 함북도 선전부장) 함북 경성 출신으로,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했다. 1924년 11월 혁청단(革淸團) 임시총회에서 ... |
* 김하룡(金河龍, 1904~?) 딴일노 馬宗範 金大補 金得用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명천에서 태어나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상의향(尙義鄕) 세린하(細麟河)로 이주했다. 1920년 12... |
* 김하석(金河錫, 1886~?) 低鼻   |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1910년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했다. 1912년 북간도 소영자(小營子)에 광성학교(光成學校)를 설립하고 교감이... |
* 김하정(金夏鼎, 생몰년 미상)   |
(남선노농동맹 상무위원) 1897년 1월 교암동(敎岩同) 사숙(私塾)에 입학했고 1898년 대구 협성학교(協成學校)에 입학했다. 1912년 4월... |
* 김학걸(金鶴傑, 1908~?)   |
(성진농조 중앙조직위원, 전농 중앙집행위원) 함북 성진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대(早稻田大學) 강의록으로 독... |
* 김학룡(金學龍, 생몰년 미상)   |
(조선의용군 제3지대 제3대대장) 1939년 조선의용대에 입대했다. 그후 팔로군(八路軍)지역으로 들어가서 일제 말기 연안(延安) 조... |
* 김학무(金學武, 1911~43) 金俊吉   |
(민혁당 중앙집행위원) 함북 온성 출신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김구(金九)의 추천으로 1934년 2월 낙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 |
* 김학천(金學天, 1902~42) (本)김석주   |
(항일연군 참가자) 함북 경원에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 이도구(二道溝)로 이주했다. 1929년 ... |
* 김학철(金學鐵, 1915~ ) 홍성걸   |
(조선의용대 대원) 함남 원산 출신으로,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다녔다. 1935년 상해(上海)에서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했다. 중... |
* 김학호(金學灝, 1904~?) 金學浩 金鶴浩   |
(조공 황해도당 선전부 위원) 황해도 봉산 출신으로, 보통학교를 나왔고 『조선일보』 지국 기자로 근무했다. 1927년 5월 조선공... |
* 김한(金翰, 1888~?) (號)霽觀 金子弘 金相燁   |
(임정 사법부장, 조공재조직준비위 위원) 서울 출신으로, 대한제국 통신원 주사, 탁지부(度支部) 주사, 세무주사를 지냈다. 1905년... |
* 김한경(金漢卿, 1902~?) 金均 金本憲治   |
(조공 일본총국 책임비서) 충북 제천에서 한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3년 2월 전조선청년당대회 후원회 발기인, 1924년 1월 조선... |
* 김한동(金漢東, 1914~?)   |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전남 함평 출신으로, 김재동(金載東)의 동생이다. 1929년 4월 광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11월 광주학... |
* 김한성(金漢聲, 생몰년 미상)   |
(경성콤그룹 가두부원) 1936년 7월 서울에서 이재유(李載裕)그룹 후계활동에 참가했다. 1940년 경성콤그룹에 가담하여 가두부를 담... |
* 김한정(金漢貞, 1896~?)   |
(조공 당원) 제주도 출신으로, 신문기자로 재직했다. 1925년 제주청년연합회에 참여하고 3월 제주도의 사상단체 신인회(新人會)를... |
* 김한중(金漢中, 1913~?) 陳漢中   |
(독립동맹 중앙위원) 중일전쟁이 일어난 직후 1937년 12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성자(星子) 강릉분교(江陵分校)에 입학하여 이... |
* 김행규(金杏奎, 1904~?)   |
(조공 당원) 전북 옥구 출신으로, 농업학교를 졸업했다. 1925년 10월 전북청년연맹에 참여하여 교양부를 담당했다. 1926년 1월 사상... |
* 김현갑(金玄甲, 1904~?)   |
(조선공청 회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서울 중동학교를 중퇴했다. 1927년 12월 성진 학서면 북성농민조합 창립에 참여하고 규약초... |
* 김현제(金顯濟, 1909~?) 金福童 金洙進 李鐵南   |
(원산 적색노조운동 지도자) 함남 원산 출신으로, 원산 배성학교와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19... |
* 김형관(金衡寬, 1901~?) 金鶴 金鴻世 씨이뜨로프   |
(고려공청 회원, 함북 적색노조운동 지도자) 함북 경성 출신으로, 서울에서 고학생갈돕회에서 활동했다. 1922년 10월 경성(京城)무... |
* 김형두(金炯斗, 생몰년 미상)   |
(조선 모쁠 책임자) 경남 마산 출신으로,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었다. 1923년 7월 마산무산소년단 고... |
* 김형복(金衡復, 1902~?) 金亨福 金光海   |
(고려공청 東滿道 위원) 함북 명천 출신으로,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로 이주하여 학교 교원으로 일했다. ... |
* 김형선(金炯善, 1904~50) 金元植, 崔命煥   |
(조공 당원) 경남 마산 출신으로, 김형윤(金炯潤)의 형, 김명시(金命時)의 오빠이다. 1917년 마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마산공... |
* 김형윤(金炯潤, 생몰년 미상)   |
(경남 적색노조운동 참가자) 경남 마산 출신으로, 김형선(金炯善)의 동생이다. 1931년 8월 경남 창원군 내서면(內西面) 산호(山湖)... |
* 김호반(金鎬盤, 1902~?) 金浩盤   |
(고려혁명군 참가자) 강원도 통천에서 태어나서 1911년 부모와 함께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했다. 1911~14년 블라지보스또끄에서 보... |
* 김호선(金好善, 1911~?)   |
(전남노농협의회 책임자) 전남 광주 출신으로, 김덕선(金德善)의 동생이다. 1928년 광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신간회 광주지... |
* 김호영(金浩永, 생몰년 미상) 金重政 崔鐵 崔徹 紅鐵 林汪洋 林一 申均龍 申河龍 高津 林鐵   |
(재일조선노총 중앙위원, 전평 중앙위원)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1923년경 일본으로 가서 1927년 ... |
* 김호종(金好宗, 1904~?)   |
(조공재건설준비위 진주 책임자)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보통학교를 중퇴했다. 1929년 3월 진주청년동맹 집행위원, 4월 진주농민조... |
* 김홍배(金洪培, 1909~?)   |
(전남적색농조건설준비위 편집책임자, 노동당 전남도당 조직부장) 전남 해남의 지주 집안 출신으로, 남창학원을 졸업한 후 목포... |
* 김홍빈(金弘彬, 1904~?) 金秋松   |
(조공 만주총국 당원) 함북 성진 출신으로, 연길현(延吉縣)에서 재동만(東滿)조선청년총동맹 상무를 맡았다. 교사생활을 하면서 ... |
* 김홍빈(金洪斌, 1906~?)   |
(정평농조재건준비위 참가자) 함남 정평 출신으로, 1932년 12월 정평농민조합재건준비위원회 산하 정평농조 남부지역위원회의 결... |
* 김홍선(金洪善, ?~1933) 金弘善 金洪憲 潘慶由   |
(조공 만주총국 선전부 책임, 중공 寧安縣委 서기) 함북 성진 출신으로, 김책(金策)의 맏형이다. 어려서 아버지와 함께 화룡현(和... |
* 김홍작(金鴻爵, 1884~?)   |
(신사상연구회 회원)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고, 장연(長淵)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12년 해주... |
* 김홍직(金洪直, 1898~?)   |
(적색노조대구협의회 참가자) 1920년 3월 김해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21년 8월 중국 상해(上海)로 건너가 미국인이 경영하는 ... |
* 김화(金華, 1910~?) 金一岡 金和 金化   |
(민혁당 군사부원, 조선의용군 제5지대원) 함남 출신으로, 1935년 9월 남경(南京)에서 특무대 예비훈련소에 입교했으나, 공산주의... |
* 김화진(金華鎭, 1902~?) 茁浦   |
(영주공산주의자협의회 관련자) 경북 영주 출신으로, 1921년 3월 영주공립보통학교 4학년 때 중퇴했다. 1923년 5월 일본 토오꾜오(... |
* 김효관(金孝寬, 1910~?)   |
(고려공청 회원) 평북 철산 출신으로,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했다. 1929년 5월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고, 학생야체이까 결성에 참... |
* 김효종(金孝宗, 1899~1927)   |
(조공 당원) 황해도 재령 출신으로, 1921년 6월 ‘독립군 군자금 모집사건’으로 검거되어 6개월간 투옥되었다. 1920년대 중반 신흥... |
* 김효출(金孝出, 1911~?) 金洪璨   |
(경주적색농조준비위 간부) 1923년 경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경주 산구병원에서 근무했다. 1929년 경주청년동맹에 가입하여 ... |
* 김후식(金厚植, 1910~?)   |
(안동콤그룹 간부) 경북 안동 출신으로, 1925년 4월 대구 교남학교 고등과에 입학하여 9월 중퇴하고 농업에 종사했다. 신간회 안동... |
* 김훈(金勳, 1904~33)   |
(북간도 大荒溝 노농유격대장, 중공 汪淸縣委 서기)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에서 태어나 의란소학교(依蘭小學校)를 ... |
* 김휘(金輝, 생몰년 미상)   |
(조선의용대 대원) 중일전쟁이 일어난 후 1937년 12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성자(星子) 강릉분교(江陵分校)에 입학하여 1938년 5... |
* 김흠(金鑫, 1917~?)   |
(조선의용군 華北支隊 제2대 소대장) 중국 장학량(張學良)부대에 배속되어 있다가 중일전쟁이 일어난 후 조선민족혁명당에 입당... |
* 김흥선(金興善, 1898~?)   |
(고려공청 회원) 전남 광주 출신으로, 잠업학교를 졸업했다. 1925년 광주청년회 집행위원, 1926년 전남청년회연합회 총회준비위원,... |
* 김흥섭(金興燮, 1905~?) 金友燮   |
(고려공청 일본부 회원) 경북 봉화 출신으로, 서울 중동학교 3학년을 수료했다. 1925년 5월 일본 오오사까(大阪)에서 노동을 하면... |
* 김희국(金禧國, 1906~?)   |
(영흥농민폭동 참가자) 함남 영흥 출신으로, 1931년 영흥농민조합에 참여했다. 10월 일본경찰의 총격으로 농조원이 사망한 사건을... |
* 김희성(金熙星, 1912~?)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변절) 1934년 서울에서 권영태(權榮台)그룹 관련자들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했다. 서울과 평양의... |
* 김희진(金嘉鎭, 1914~?)   |
(조공 재건운동 참가자) 서울에서 공립보통학교를 나왔다. 1931년 3월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1932년 3월 동맹휴학을 ... |
* 김희창(金希昌, 생몰년 미상)   |
(재만주 上海派 고려공청 책임비서) 1921년경 상해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1923년 1월 블라지보스또끄에서 적기단(赤旗團) 건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