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철학 > 서양철학 ( 53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대논리학 I (619 KB)
대논리학 1
F. 헤겔 지음 , 임석진옮김
출판사 - 지학사
초판일 - 1991-03-15
ISBN -
조회수 : 3113

책 소개

올바른 변증법의 철학은 인간과 자연이라는 主客相互間(주객상호간)의 중첩되고 착종된, 이른바 맞물려 들어가는 관계가 그 스스로의 유한, 무한적 상호제약 속에서도 더욱 첨예화된 대립, 모순과 함께 또한 圓環的(원환적) 融合(융합)을 잉태하는 가운데 모든 生(생)의 총괄적 존재의 間斷(간단)없는 자기지양과 고양이 이루어지는 것을 자기와 세계에 대한 기본적 인식의 단초로서 파악하는 것이 되겠다. 이것은 우리가 헤겔의 철학과 사상에서 비쳐 나오는 변증법의 근원적 의미와 본질을 어떻게 받아들여야만 하는가 하는 데 대한, 이른바 그토록 「어려운 철학」에 대한 기본적 해답을 얻는데 빼놓을 수 없는 지침이 될 것이다.
하여간에 이 새로이 발간된 헤겔 전집본에 의거한 타국어로의 논리학 번역으로는 이 한국어판이 세계 최초의 것임을 밝혀 두면서 변증법적 통체성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始源(시원)과 終結(종결)의 문제, 특히 우주와 인간 또는 天心(천심)이 교차하는 中心的(중심적) 統ᅳ點(통일점)에서 싹터 오르는 진리의 맥박이며 무한한 사상의 鑛脈(광맥)과도 같은 그 핵심적 부분마다에 原語(원어)를 인용, 수록하였음도 일러두는 바이다. 이것은 헤겔 논리학을 탐구하려는 독일어 해독자에게 여러모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돼서 취해진 방법이다.
끝으로 우리 한국의 학술문화가 바로 변증법적 논리학에서 서술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로 세계사적 노동에 따른 인간정신의 자기완성을 향한 줄기찬 발걸음을 내디디게 되기를 기약하면서 지난 몇 해 동안 이 번역작업의 진행을 지켜보면서 가까이서 멀리서 성원을 보내 주신 많은 분들과 또한 지학사 사장 이하 편집진에게 진심으로부터의 고마움을 표하고자 한다. 1983년 3월 임석진----본문중에서

맨위로맨위로


● 목 차

역자서문 = 7
서문 = 19
서론 = 26
론리학의 일반적 구분에 관하여 = 52
존재 = 57
학의 시원은 무엇으로부터 마련돼야만 하는가? = 57
존재의 일반적 구분 = 72

제1편 규정성(질) = 74

제1장 존재 = 75
A. 존재 = 75
B. 무 = 75
C. 생성 = 76
1. 존재와 무의 통일 = 76
주1. = 77
주2. = 88
주3. = 95
주4. = 97
2. 생성의 제계기 = 100
3. 생성의 지양 = 101
주 = 103

제2장 현존재 = 104
A. 현존재 그 자체 = 105
1. 현존재 일반 = 105
2. 실재성 = 106
a. 외타적 존재 = 106
b. 대타적 존재와 즉자적 존재 = 110
c. 실재성 = 112
주 = 112
3. 어떤 것 = 117
B. 규정성 = 119
1. 한계 = 120
2. 규정성 = 125
a. 규정, 본분 = 126
b. 성질 = 127
c. 질 = 128
주 = 129
3. 변화 = 130
a. 변화와 성질 = 131
b. 당위와 제한 = 132
주 = 136
c. 부정 = 137
주 = 137
C. (질적) 무한성 = 141
1. 유한성과 무한성 = 141
2. 유한자와 무한자와의 교호규정 = 143
3. 무한성의 자체내로의 복귀 = 148
주 = 150

제3장 대목적 존재 = 154
A. 대자적 존재 그 자체 = 155
1. 대자적 존재일반 = 156
2. 대자적 존재의 제계기 = 156
a. 대자적 존재가 갖는 즉자성의 계기 = 156
b. 일자적 존재 = 157
주 = 158
c. 관념성 = 158
3. 일자의 생성 = 163
B. 일자 = 164
1. 일자와 공허함 = 164
주 = 166
2. 수많은 일자(반발) = 168
주 = 171
3. 상호반발 = 172
C. 견인 = 176
1. 하나의 일자 = 177
2. 견인과 반발의 균형 = 179
주 = 184
3. 양으로의 이행 = 193


제2편 크기(량) = 195
주 = 196

제1장 양 = 198
A. 순수량 = 198
주1. = 200
주2. = 203
B. 연속량과 분리량 = 216
주 = 217
C. 양의 한정 = 219

제2장 정량 = 221
A. 수 = 221
주1. = 227
주2. = 228
B. 외연량과 내포량 = 233
1. 양자의 구별 = 233
2. 외연량과 내포량과의 동일성 = 238
주 = 241
3. 정량의 변화 = 244
C. 양적 무한성 = 246
1. 양적 무한성의 개념 = 246
2. 무한누진 = 248
주1. = 251
주2. = 261
3. 정량의 무한성 = 267
주 = 274

제3장 양적 비례 = 317
A. 직접적 비례 = 319
B. 반비례 = 323
C. 멱비례 = 329
주 = 333


제3편 도량 = 336

제1장 비율적 양 = 340
A. 비율적 정량 = 340
B. 규칙 = 343
1. 질적 내지 양적 크기의 규정성 = 343
2. 질과 정량 = 346
3. 질로서의 두 항 사이의 구별 = 349
주 = 353
C. 질의 비례 = 355

제2장 독립적인 도량의 비례 = 361
A. 독립적인 도량의 비례 = 362
1. 중화성 = 362
2. 중화성의 비율화 = 364
3. 선택적 친화성 = 370
주 = 374
B. 도량의 제비례의 결절선 = 378
주 = 383
C. 도량을 지니지 않은 것(상태) = 387

제3장 본질의 생성 = 393
A. 무차별 = 393
B. 두 인자의 반비례로서의 독립적인 것 = 395
주 = 401
C. 본질의 출현 = 404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대논리학 I (619 K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