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군과 학생 |
|
로브 크로이스 지음 , 김유원, 한영탁옮김 |
출판사 - 일월서각 |
초판일 - 1984-12-10 |
ISBN - |
조회수 : 1456 |
|
|
|
● 책 소개
기존 사회학이 질서와 안정, 균형 및 화합 문제에만 초점을 맞춰 왔다고 비난하면서 이 책은 ‘갈등의 사회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사회적 현실의 야누스적인 앙면성을 갈등과 질서라는 개념으로 설정하여, 계급, 신분, 권력이라는 사회적 분배 체계에 따라 양자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 붕괴하고 대두하는가 하는 전반적인 양상을 보여 준다.
특히 ‘군인과 학생’이라는 특정 신분을 예로 들어 전자에는 정치전반에 대한 군의 관계라는 구조적 맥락에서 군이 취할 수 있는 특별한 한 가지 전략, 즉 군사쿠데타에 초점을 맞추었고, 또 군이 정치에 개입하는 그밖의 방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누었다. 후자에서는 1960년대의 급진주의 학생운동에서 나타난 좌익 급진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일반적인 갈등유형이 주제와 어떻게 결부되는지를 규명하고, 그 경험적인 내용을 다루어서 전형적인 유형속에 포함된 여러 가지 이론적인 관점에 의해 고무된 급진주의 학생운동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재화를 둘러싼 두 계급 내부의 갈등 모델은 구조주의적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설명되고 있다. -- 본문중에서ⓕ
맨위로
|
● 목 차
문제의 제기 = 11
1. 갈등과 급진주의 : 2단계 모델 = 16
1. 서론 = 16
2. 갈등과 급진주의의 개념 = 18
3. 신분등가 모델 = 21
4. 하나의 이탈 : 네덜란드의 경우 = 27
5. 신분부등가 모델 = 32
6. 두 가지 모델의 잠정적 조화 = 41
7. 모델의 정교화와 공식화 = 43
8. 가설, 정의, 명제 = 49
2. 국내정치에서의 군의 개입 : 분석을 위한 틀 = 55
1. 서론 = 55
2. 상대적 몫과 준거집단 = 56
3. 여러 가지 사회·정치적 장 = 58
4. 적용된 모델 = 60
5. 요약과 설명 = 75
3. 탈식민지와 군 : 네덜란드의 경우, 정치적 반동에 대한 고찰 = 80
1. 서론 = 80
2. 장의 분석 = 82
3. 이해관계, 동맹, 전략 = 92
4. 일반사병 및 하사관의 반대에 대한 요약 = 102
5. 결론 = 103
4. 1960년대의 급진주의 학생운동 = 111
1. 서론 = 111
2. 사회적 준거사항, 지위 및 집단 = 112
3. 갈등의 장의 제도적 특성 = 116
4. 쟁점들 = 118
5. 두개의 장 : 보수적인 갈등의 장과 혁신적인 갈등의 장 = 120
6. 요약 = 136
5. 학생들의 급진주의 성향 : 조사보고 = 140
1. 서론 - 조사계획 = 140
2. 계급상의 지위 = 143
3. 권력 = 152
4. 신분상의 지위 = 167
5. 준거집단 행위 = 170
6. 급진주의의 제반 측면 = 175
7. 요약과 결론 = 178
6. 평가 : 구조주의와 현상학의 화해 = 189
1. 서론 = 189
2. 현상학적 시각의 충격 = 191
3. 갈등 모델의 유효범위 = 205
참고문헌 = 215
색인 = 226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