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사회 > 사회·민중운동 ( 117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80년대 학생운동사 (2 MB)
80년대 학생운동사
강신철 외 지음
출판사 - 형성사
초판일 - 1988-05-25
ISBN -
조회수 : 11077

책 소개

80년대를 떠올릴 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학생운동' 이다. 학생운동은 80년대 내내 한국의 정치·사회변동의 중요한 한 세력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그들은 80년대라는 '역사 무대'에서 가장 중요한 주역이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80년대 대학생들은 누구나 운동권이었거나 아니면 운동권과 정서적 연대감을 갖고 있었지만, 실제 '80년대 학생운동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거나 이해하고 있는 이들은 의외로 적다. 군사정권의 혹독한 억압으로 인해 '학생운동'이 극도의 보안을 유지한 조직과 활동을 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언론과 방송매체등 주변에서 대하는 정보와 지식을 통해 학생운동을 알고 이해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 책『80년대 학생운동사』는 크게 두가지 축으로 전개되는데, 하나는 80년 서울의 봄이후 87년 6월민중항쟁까지의 정치·사회적 상황속에서 학생운동은 어떻게 투쟁을 전개했는가, 다른 하나는 80년이후 써클시대의 제반 학생운동활동과 팜플렛 운동, '야학비판'과 '전망' 등의 이론투쟁, 민추위그룹에 대한 NDR(민족민주혁명)이론과 전위조직에 대한 사고와 NL과 CA의 탄생과 그 배경, 투쟁과정에서의 각 흐름과 변화 등을 다루고 있다. 다시말해 학생운동의 대중투쟁과 '지하조직'들의 활동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80년대 학생운동사'를 서술하고 있다. 물론 이 책은 그 부제인 <사상이론과 조직노선을 중심으로> 서술해놓은, 즉 '지하조직과 활동가'들의 시각과 활동을 통해 정리해놓은 학생운동사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80년대 학생운동사로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당시 학생운동에 꽤 깊이 관련되어 있었던 이들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정보를 많이 대할 수 있을 정도로 80년에서 87년까지의 '지하조직과 활동가'들에 대해서는 잘 정리·서술해놓고 있는 책이다.




맨위로맨위로


● 목 차

80년대 학생운동사를 쓰면서 / 3
1. 80년대 학생운동을 정리하는 것에 대하여
2. 이 책의 세부 체제에 대하여


제1부 80년대 학생운동의 모색기(80∼85)

서언 - 80년대 전반기의 학생운동 ------ 15

80년대 이후 학생운동 역량의 확대재생산 ------ 18
1. 5공화국의 등장과 학생운동의 재건을 위한 노력(80∼81)
가) 5공화국의 등장과 그 강압통치구조
나) 학생운동의 재건노력과 과학적 인식의 심화
2. 학생운동의 대중적 확산과 운동체계의 정비(82∼83)
가) 학생운동에서 대중노선의 강조와 투쟁력의 신장
나) '단계적투쟁론'에 대한 비판과 정치투쟁의 활성화
다) 학생운동 체계의 정비
보론 : 80년대 서울의 봄 - 주전론, 대기론

목적의식적 변혁운동으로서의 학생운동의 모색 ------ 51
1. 유화조치와 올바른 대중노선을 위한 학생운동의 노력
가) 대중조직의 확장과 대중투쟁노선의 확대재생산
나) 대중노선의 확립과 운동의 과학적 제고를 위한 모색
2. 목적의식적 조직적 운동의 강조와 운동수준의 고양
가) '깃발-민추위' 그룹의 등장과 문제제기
나) 2학기 초의 투쟁의 전기와 노선대립
다) '민추위' 그룹의 활동과 선도적 투쟁의 활성화
라) 총선을 둘러싼 논쟁과 총선투쟁
마) 정리 및 약평
3. 학생운동의 조직적 이념적 발전과 정치투쟁과 고양
가) 학생운동의 조직적 발전과 이념의 대중화
나) 학생운동의 전국적 고양과 미문화원 점거농성
다) 정리 및 약평
보론


제2부 주체적 변혁이념의 정립기(85∼87)

반제그룹 등장을 중심으로 본 85년 말의 학생운동 ------ 117
1. 85년 하반기 학생운동의 투쟁, 투쟁노선
가) 85년 말의 투쟁조직 - 재건 삼민투
나) 85년 하반기 학생운동의 투쟁
보론 : 선도적 정치투쟁 고찰
2. 반제그룹의 등장과 그 활동
보론 : NLPDR 총노선 개요

86년 초 학생운동의 투쟁
(자민투와 민민투를 중심으로) ------ 143
1. 자민투, 민민투의 투쟁과 전술논쟁
가) 전방입소 거부투쟁을 둘러싼 자민투, 민민투의 논쟁과 투쟁
나) 5·3 인천투쟁과 그 이후 자민투, 민민투의 논쟁
2. 민민투의 조직과 투쟁노선
가) 민민학련 발족
나) 민민투의 정세인식 및 전술노선(헌제민회 쟁취투쟁을
중심으로)
다) CA주도하에서의 민민투의 투쟁

NL학생운동의 사상과 이론의 발전·전개 ------ 153
1. 86년 NL학생운동의 개요
가) 정치 노선상에 있어서
나) 조직 노선상에 있어서
2. 서울대의 구국학생연맹
가) 단재사상연구회의 문제의식
나) 86년 초반기의 시스테모가 사상투쟁
다) 구국학생연맹 전대회
라) 구학련의 정치노선
마) 구학련의 조직노선
바) 구학련의 투쟁노선
사) 구학련에 대한 평가
3. 고려대의 애국학생회
가) 85년 하반기 반제경향성의 대두
나) 86년 상반기의 2개의 민민투
다) 반종파투쟁의 전개
라) 고려대학교 애국학생회
4. 연세대의 반미구국학생동맹
가) 연대 NL전파와 민민투 비판
나) 구학동의 건설
다) 구학동과 애학투
라) 구학동에 대한 평가
5. 전국 반외세 반독재 투쟁연합
가) 애투련의 결성배경
나) 애투련의 결성과정
다) 애투련의 구성
라) 애투련의 정치, 조직노선
마) 애투련의 투쟁노선
바) 애투련의 의의와 평가

제헌의회소집론 세력의 활동과 노선에 대한 일고찰 ------ 270
1. 들어서는 글
2. CA소집론의 개략적 고찰
가) 원전에서 보이는 CA
나) CA세력과 그 강령초안
다) 한국사회성격에 대한 CA의 관점
라) CA세력의 전위주의
바) 혁명가 조직, 신문, 통일전선 등 조직노선의 몇 부분에
대한 CA세력의 사상
3. 소집론의 개괄적 분석과 NL이론과의 비교검토
가) 강령문제 혹은 전략(정치노선)에서 본 CA소집론
나) 전술, 투쟁과 문제제기를 둘러싼 CA소집론의 입장
4. CA의 조직편성과 활동
5. 헌법 제정민중의회론에 대하여
가) CPA의 초기 입장
나) CPA의 후기 입장(87년 3월, 민족민주전선 6호)

학생운동과 연관된 80년대 노동운동 ------ 304
1. 86년 이전의 노동운동(지식인출신 활동가의 진출)
2. NL의 전파


제3부 부록

사회·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80년대 학생운동의
개략적 고찰 ------ 325
1. 들어서는 글
2. 80년대 학생운동의 평가대강
3. 각 시기별 학생운동의 개괄
가) 80년 6월 - 83년 12월
나) 84년 1월 - 85년 12월(혹은 86년 2월)
다) 86년 3월 - 87년 6월

학생운동 일지 / 342
자료 / 360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80년대 학생운동사 (2 M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