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사회계급론 |
|
나델·풀란차스 외 지음 , 박현우옮김 |
출판사 - 백산서당 |
초판일 - 1986-02-20 |
ISBN - |
조회수 : 23851 |
|
|
|
● 책 소개
사회계급론은 사회변혁에 대한 이론적 전망임과 동시에 사회의 발전단계 및 성격과 구조를 해명하는 구성론과 사회적 실천활동의 동적 과정을 결정하는 운동론간의 매개항이기도 하다.
이 책『사회계급론』은 마르크스 계급이론의 검토 위에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사회계급론과 그에 대립하는 입장을 비교할 수 있도록 엮어져 있다. 특히 계급투쟁에 있어서의 중간제계층의 위치와 역할, 노동자계급의 동태 그리고 계급과 계급실천의 관계, 즉 계급역량의 형성과 조직의 문제 및 계급의식의 발전과 지식인 문제를 주로 분석한다. 따라서 사회구성에 있어서의 계급구조 및 그 분석, 그리고 실천으로서의 계급실천 및 그 전략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맨위로
|
● 목 차
서문 : 현대 계급론의 주요 쟁점들 / 박현우
제Ⅰ부 마르크스 계급이론의 형성
제1장 마르크스 저작에 나타난 계급·계급투쟁 / 服部文男
제1절 마르크스·엥겔스의 계급개념의 형성과 전개 ------ 30
1. 1840년대에 있어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계급개념 / 30
2. 1850년대 이후 마르크스 계급분석의 발전 / 37
제2절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계급투쟁 개념의 형성과 전개 ------ 40
1. 1840년대에 있어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계급투쟁 개념 / 40
2. 1860년대에 있어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개념의 완성 / 47
제3절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계급독재론의 형성과 전개 ------ 52
1. 1848년 혁명과 독재론의 형성 / 52
2. 1850년대에 있어서 계급독재론의 확립 / 55
3. 1870년대에 있어서 계급독재론의 발전 / 57
제2장 사회계급, 계급분화와 계급투쟁 / Z. A. Jordan
제1절 이론적 틀 ------ 61
1. 사회계급의 기원과 개인의 계급귀속 / 61
2. 유산계급과 프롤레타리아트 / 63
3. 소득과 계급소득 / 65
4. 계급개념에 대한 노트 / 66
5. 사회계급론에 대한 마르크스의 기고 / 67
6. 사회계급의 심리학 / 69
제2절 근대사회의 주요 사회계급 ------ 71
1. 부르조아지와 그 혁명적 역할 / 71
2. 근대적 노동계급 혹은 프롤레타리아트 / 73
3. 중간계급 / 77
4. 농민계급 / 79
제3절 계급갈등과 그 의미 ------ 81
1. 계급분화와 계급투쟁의 보편성 / 81
2. 계급지배 / 82
3. 경제적·정치적 투쟁으로서의 계급갈등 / 85
4. 자유와 계급투쟁 / 88
5. 지배계급의 안정성 / 89
6. 계급이익에 의해 규정되는 지식 / 90
제Ⅱ부 현대 자본주의 계급분석의 기본 관점
제3장 국가독점자본주의하의 사회계급 / Economie et Politique 편집부
제1절 계급과 계급의식 ------ 100
1. 사회계급이란 무엇인가 / 100
2. 생산수단은 누구에게 귀속되는가 / 101
3. 계급의식과 계급귀속 / 103
4. 사회계급, 사회계층 및 사회적 범주 / 105
5. 계급으로의 분열, 역사적·경과적 현상 / 107
제2절 두 개의 기본적 계급 ------ 108
1.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 109
2. 결합노동자의 개념 / 110
3.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 112
4. 증대하는 계급으로서의 노동자계급 / 115
5. 부르조아지와 금융과두제 / 118
6. 독점부르조아지 / 119
제3절 임금취득 중간계층의 성장 ------ 121
1. 농업, 상업 및 수공업에서의 도태와 통합 / 121
2. 임금취득 지식인의 증대 / 124
3. 사무원과 공무원 / 125
4. 임금취득 중간계층의 계급귀속 / 127
제4절 사회관계의 양극분해 ------ 130
1. 임금취득자의 생활 및 노동조건에 대한 압박 증대 / 131
2. 통합이 아닌 연합을 / 133
3. 비독점계층 전체에 대한 착취의 일반화 / 135
4. 노동자계급의 역사적 역할 / 136
5. 광범한 반독점연합을 향하여 / 138
제4장 국가독점자본주의와 계급 / S. N. Nadel
제1절 현대 자본주의사회 계급분석의 전제 ------ 141
제2절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사회구조 및 계급구조 ------ 145
1. 계급과 사회관계 - 부르조아 사회계층이론 비판 / 145
2.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지배계급구성의 구조적 변화 / 154
3. 과학기술혁명, 사회적 분업 그리고 노동계급 / 164
4. 계급구조상의 중간층의 위치 / 184
제5장 현대 자본주의와 중간계급 / N. Poulantzas
제1절 현대 자본주의의 중간계급에 대한 기본 시각 ------ 189
1. 일반적 논평 / 189
2. 전통적 쁘띠부르조아지와 신쁘띠부르조아지 / 201
제2절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 205
제3절 신쁘띠부르조아지의 계급결정 ------ 220
1. 관리와 감독의 노동 / 221
2.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간의 분할 / 225
보론 : 독점자본과 노동 / H. Braverman ------ 245
제Ⅲ부 계급과 계급실천
제6장 계급과 계급역량 / G. Therborn
제1절 계급의 형성 ------ 261
제2절 헤게모니의 과정과 가능성 ------ 269
제3절 사례연구 ------ 275
제7장 레닌의 조직이론 / E. M뭉디
1. 부르조아 이데올로기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식 / 288
2. 프롤레타리아트 계급투쟁과 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의식 / 293
3. 혁명적 전위와 자발적인 대중행동 / 300
4. 조직, 관료제, 혁명적 행동 / 303
5. 조직이론, 혁명적 프로그램, 혁명적 실천 / 305
6. 조직이론, 민주집중제, 소비에트 민주주의 / 309
7. 경제주의, 관료주의자, 자발주의 사회학 / 312
8. 과학적 인텔리겐챠, 사회과학, 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의식 / 317
9. 역사적 교육과 계급의식의 커뮤니케이션 / 494
제8장 중국혁명과 모택동의 계급분석 / 박현우 해설·편집
해설 ------ 326
자료 : 중국혁명과 중국공산당
제1절 중국사회 ------ 338
1. 중화민족 / 338
2. 고대의 봉건사회 / 340
3. 현대의 식민지·반식민지·반봉건사회 / 342
제2절 중국혁명 ------ 347
1. 지난 백 년 동안의 혁명운동 / 347
2. 중국혁명의 대상 / 348
3. 중국혁명의 임무 / 351
4. 중국혁명의 원동력 / 352
5. 중국혁명의 성질 / 359
6. 중국혁명의 전도 / 362
7. 중국혁명의 이중 임무와 중국공산당 / 363
제Ⅳ부 지식인과 노동계급
제9장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 A. Gramsci
해제 ------ 367
제1절 지식인의 형성 ------ 369
제2절 도시유형과 농촌유형 지식인의 상이한 지위 ------ 376
제10장 지식인과 노동계급 / E. O. Wright
제1절 지식인의 계급위치 ------ 386
제2절 지식인과 계급투쟁 ------ 404
1. 이론과 실천 / 404
2. 지식인의 계급위치 및 실천의 관계 / 410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