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역사 > 한국사 ( 190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다시 피는 녹두꽃
역사문제연구소 동학농민전쟁 백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지음
출판사 - 역사비평사
초판일 - 1994-01-15
ISBN -
조회수 : 70

책 소개

1994년은 1894년 동학농민전쟁 백주년이 되는 해이다. 농민전쟁에 참가한 농민군의 후손들은 그들의 선조 못지 않게 고난의 역정을 걸었다. 동학농민군의 유족을 찾아 그들 선조인 농민군의 이야기 그리고 농민군 유족으로서 그 자신의 삶에 대해 증언을 듣는 것은 동학농민전쟁 그리고 지난 세월 이 땅 민중의 생활을 체험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들 동학농민군 유족들의 증언을 묶어 정리한 것이 이 책이다.

맨위로맨위로


● 목 차

「다시 피는 녹두꽃을 내면서」 = 3
일러두기 = 10

무장·고창 지역
무장기포의 구심점 고순택, 순자 재호/ 우윤 = 13
무장 거괴로 지목된 김규일, 증손 재훈/ 김양식 = 24
불꽃으로 죽어간 고창 농민군 김수병, 손자 재덕/ 김양식 = 31
농민군으로 활동한 선달 김양두, 손자 종식/ 김양식 = 35
무장기포의 주춧돌 문덕중, 손자 노식/ 우윤 = 41
초토영에 자수한 한의사 출신의 배환정, 증손 인수/ 우윤 =48
무장 태생의 전봉준 비서 정백현, 아들 병묵/ 이이화 = 53
무장의 농민군 최경칠, 손자 진옥/ 우윤 = 63

정읍·고부·김제·부안·전주 지역
부안 농민군 대장으로 활약한 김기병, 증손 영태·영호/ 김양식 = 67
백산 부근에 살다 참여한 부안 농민군 김병철, 종손 영신/ 박준성 = 73
공주 전투에 참전한 김현태, 증손 중태/ 이이화 = 79
사발통문에 서명한 농민군 손여옥, 손자 주갑·증손 진국/ 김양식 = 84
고부봉기의 주역 정일서, 증손 영환/ 우윤 = 93
정읍 농민 대접주 차치구, 손자 용남/ 이이화 = 102
끝까지 반외세운동 벌인 최관도, 증손 낙진/ 김양식 = 109
총상을 입어 진안으로 몸을 날린 함윤찬, 손자 기영/ 우윤 = 118

함평·장성·나주·광주 지역
형제가 모두 농민전쟁에 참여한 김복환·진환, 증손 국태/ 우윤 = 129
농민군 3대 장군 손화중, 손자 홍렬/ 이이화 = 135
현직관리로 농민군에 가담한 이태형, 증손 일행/ 배항섭 = 145
함평에서 농민군을 동원한 임종량, 증손 헌섭/ 배항섭 = 152
함평의 삼형제 농민군 장경삼·옥삼·공삼, 증손자 원석/ 배항섭 = 159
화순 출신 나주 농민군 접주 한달문, 손자 우회·병만/ 우윤 = 166

남원·여수·순천·무주·광양·고흥 지역
농민군 3대 장군 김개남, 손자 환옥/ 이이화 = 175
호대접주 김인배, 증손자 영중/ 이이화 = 181
호랑이를 쫓은 농민군 접주 박학준, 아들 철웅/ 우윤 = 191
섬진강에서 전사한 농민군 손상옥, 손자 용채/ 김양식 = 202
형제가 함께 싸운 남원의 농민군 이기면·사명, 손자 현도/ 박준성 = 208
토호들이 벌벌 떨던 무주 농민군 지도자 이형택, 증손 영철/ 박준성 = 216

장흥·강진·영암 지역
월출산 아래에서 처형당한 김재득, 손자 찬영/ 우윤 = 221
혀 잘린 농민군 접주 김학삼, 증손 병운/ 우윤 = 231
과거급제까지 한 변규상, 손자 한권·한행/ 우윤 = 238
장흥의 관산대장 이방언, 증손자 종찬/ 이이화 = 245
부자 농민군 대접주 이사경, 손자 일환/ 우윤 = 253

산청·남해 지역
남해의 농민군으로 살아남은 양익주, 손자 윤두/ 김양식 = 261
고승산 전투에서 희생당한 하수태, 증손 재호/ 김양식 = 267

예산·홍성·서산 지역
서산·태안 기포의 견인차 문장로·구석, 손자 원정/ 배항섭 = 275
송아지 팔아 자금댄 문장준, 증손 형식/ 배항섭 = 283
서산의 지역대장 문재석, 손자 왈향/ 배항섭 = 288
'동학운동'에 가산 탕진한 이성천, 손자 용우/ 배항섭 = 294
혁명가 집안을 세운 농민군 이신교, 손자 한구/ 배항섭 = 301
회고록 『역사』를 남긴 조석헌, 손자 병철/ 배항섭 = 307
홍주성 전투의 농민군 최강여, 손자 풍식/ 배항섭 = 315

충북내륙·경북 지역
청주 솔뫼의 충의포 동학접주 강영문, 손자 대윤·방손 순원/ 신영우 = 321
상주 모서면 동학접주 김헌영·현동·현양, 손자 종묵/ 신영우 = 333
예천 유천면 토치 접주 박현성, 방손 홍택·손자 종해/ 신영우 = 340
목천의 대접주 이희인, 손자 호익/ 이이화 = 349
예천 금당실 농민군 전규선, 손자 두형/ 신영우 = 360
예천 금당실 모량도감 전도야지 전기항, 손부 나주 정씨·근고손자 장홍·방손 상춘/ 신영우 = 366
상주 동학군 편의장 황우원, 손자 국환·손부 박말임/ 신영우 = 372

강원도·황해도·함경남북도 지역
황해도 장연 농민군 지도자 김현일, 손자 인철/ 박준성 = 379
함경도 농민군 박경순, 손자 승일/ 박준성 = 383
강원도 원주 농민군 이종태, 종손 정희·완형/ 박준성 = 389
부농으로 서석 전투에서 싸운 최도열, 증손 낙인/ 박준성 = 392

부록 증언 일자 및 증언자 연락처 = 397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