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1930년대 민족해방운동 |
|
나미키 마사토(飛田雄一) 외 지음 , 편집부 엮음옮김 |
출판사 - 거름 |
초판일 - 1984-07-10 |
ISBN - |
조회수 : 6045 |
|
|
|
● 책 소개
1930년대가 갖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 시기는 일제하 식민지 해방운동사상 가장 논의와 논란의 여지가 많은 시기이고 또 중요한 연대이다. 신간회의 성립과 해체, 그리고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노동자·농민을 중심으로 한 공산당 재건운동, 노동운동의 첨예화, 학생운동의 치열화, 세계대공황 및 만주사변에 따른 일제 파쇼화의 진전과 식민지 해방운동에 대한 가혹한 탄압, 일부 운동 및 운동가의 변절과 운동대오에서의 탈락 등 - 이 시기는 합법적인 운동이 존립할 여지가 점차 적어지고 따라서 지하로 잠적하거나 비합법화해가는 과정이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운동의 전환기를 구체적인 자료와 사례에 입각하여 펼쳐보이는 1930년대의 식민지 해방운동사이다.
ⓕ
맨위로
|
● 목 차
책을 내면서
□ 자료 : 1933년까지 운동의 개관
일제하 조선의 치안상황 (1933년) ------ 13
1. 개설 / 13
2. 사회주의운동 / 15
3. 민족운동 / 57
4. 정치운동 / 70
5. 학생의 사상경향 / 73
6. 형평운동 / 89
7. 노동쟁의 / 93
8. 소작쟁의 / 104
9. 결사 및 집회의 단속상황 / 110
10. 시국이 조선 치안에 미친 영향 / 116
□ 지방민중운동
지방민중운동의 전개 -함경남도 홍원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123
1. 머리말 / 123
2. 청년운동의 전개 / 125
3. 신간회운동의 전개 / 134
4. 적색농민조합운동의 전개 / 147
5. 맺음말 / 158
□ 농민운동Ⅰ
정평농민조합의 전개 -1930년대 적색농민조합사례Ⅰ ------ 163
1. 머리말 / 163
2. 적색농민조합의 개황 / 164
3. 정평농민조합 전사(前史) / 166
4. 제1차 정평농민조합 / 172
5. 제2차 정평농민조합 / 183
6. 맺음말 / 187
□ 농민운동Ⅱ
영흥농민조합의 전개 -1930년대 적색농민조합 사례Ⅱ ------ 191
1. 머리말 / 191
2. 영흥농민조합 전사(前史) / 192
3. 제1차 영흥농민조합 / 195
4. 영흥농민조합의 재건운동 / 207
5. 맺음말 / 212
□ 노동운동Ⅰ
일본제국주의하의 조선의 노동사정 -1930년대를 중심으로 ------ 215
1. 머리말 / 215
2. 1930년대 조선에 대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경제정책과 조선 경제구조의 특징 / 216
3. 1930년대 조선의 노동사정 / 222
4. 맺음말 / 239
□ 노동운동Ⅱ
1930년대 전반기의 조선노동운동 -평양고무공장 노동자의 제네스트를 중심으로 ------ 241
1. 머리말 / 241
2. 쟁의 발생 당시의 전반적 상황 - 공황과 노동운동의 고양 / 242
3. 평양 고무공업 분석 - 발전과정·공황·노동자 상태 / 250
4. 평양 고무직공조합 분석 / 257
5. 쟁의의 과정 및 결과 / 259
6. 쟁의에 대한 여러 견해와 평가, 그 후의 운동에 미친 영향 / 269
7. 맺음말 / 276
□ 공산주의운동
조선공산당재건운동 ------ 277
1. 머리말 / 277
2. 당 승인 취소와 12월테제 / 279
3.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의 해체 / 283
4.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회의 활동 / 287
5. ML계 재건운동 / 295
6. 화요파의 재건운동 / 301
7. 이재유 등의 재건운동 / 305
8. 박헌영과 경성 콩그룹 / 308
9. 맺음말 / 311
□ 해외무장투쟁운동Ⅱ
만주에서의 조선·중국공산당 합동과 간도 5·30봉기에 대하여 ------ 313
1. 머리말 / 313
2. 합동에 이르기까지의 코민테른과 중공의 동향 / 314
3. 재만조선인의 형성과 계급분해 / 316
4. 민족주의운동의 쇠퇴와 공산주의운동의 발달 / 320
5. 조선공산당재건운동과 내부대립의 격화 / 324
6. 조중(朝中)공산당의 합동 / 329
7. 5·30 봉기 / 334
8. 맺음말 / 339
□ 여성운동
1920년대 조선여성운동과 그 사상 -근우회를 중심으로 ------ 343
1. 머리말 / 343
2. 근우회조직의 전제조건 / 345
3. 근우회의 결성 / 353
4. 근우회의 활동과 사상 / 358
5. 맺음말 / 369
참고문헌 / 373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