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1862년 농민항쟁 |
|
망원한국사연구실 19세기 농민항쟁분과 지음 |
출판사 - 동녘 |
초판일 - 1988-06-20 |
ISBN - |
조회수 : 1764 |
|
|
|
● 책 소개
1980년 광주민주항쟁 이후 한국사회 변혁운동의 주체로서 민중의 역할이 크게 주목되기 시작하였다. 그에 따라 역사변화, 발전의 주체인 민중이 어떻게 죽은 역사의 장막을 헤치고 주인으로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가에 대한 역사적 규명이 요청되었다. 이 책은 그러한 요청에 답하기 위하여 19세기를 전공하는 젊은 연구자 몇몇이 내놓게 된 작은 성과물이다.
우리는 이 책이 ‘거꾸로 선 역사’에 길들여져 있는 사람들에게, 풍부한 사실(史實)을 통하여 ‘1962년 농민항쟁’을 바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나아가 우리나라 변혁운동의 합법적인 발전과 현재 민중운동의 정당성을 확립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맨위로
|
● 목 차
서문 = 7
제1부 1862년 농민항쟁의 구조와 성격
1. 봉건사회 해체기 농민항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5
[1] 농민항쟁의 다양한 형태와 성격 = 15
[2] 농민항쟁의 분석시각 = 23
[3] 농민항쟁 연구의 의의 = 26
2. 농민항쟁 발생의 객관적 기초 = 29
[1]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과 봉건제 위기 = 29
(1)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29
(2) 봉건제 위기의 제 양상 = 34
[2]봉건착취의 강화와 사회모순의 심화 = 39
(1) 봉건착취의 강화와 농민의 저항 = 39
(2) 계급관계의 재편성과 사회모순의 심화 = 45
3. 1862년 농민항쟁의 성격 = 55
[1] 농민항쟁의 발생원인 = 55
[2] 농민항쟁의 발생지역 = 58
[3] 전개과정 = 62
(1) 요구조건의 분석 = 62
(2) 주체집단의 조직과 사상 = 69
(3) 공격대상 = 75
(4) 전개과정상의 특징 = 77
[4] 봉건정부의 대책 = 80
[5] 임술농민항쟁의 결과 및 성격 = 87
제2부 지역별 농민항쟁
1. 경상도의 농민항쟁 = 93
[1] 개관 = 93
(1) 지역적 특성과 일반적 정세 = 93
(2) 농민항쟁의 배경 = 100
(3) 농민항쟁의 발발과 전개 = 102
(4) 봉건정부의 대책과 결과 = 109
[2] 군현별 농민항쟁 = 116
(1) 단성 = 116
(2) 진주 = 130
(3) 함양 = 167
(4) 거창 = 171
(5) 성주 = 177
(6) 울산 = 186
(7) 선산 = 189
(8) 개령 = 198
(9) 인동 = 208
(10) 군위 = 213
(11) 비안 = 214
(12) 상주 = 216
(13) 경주 = 232
(14) 창원 = 236
(15) 남해 = 239
(16) 기타 지역 = 242
2. 전라도의 농민 항쟁 = 246
[1] 개관 = 246
(1) 지역적 사정과 행정·군사편제 = 246
(2) 농민항쟁의 발생지역 = 249
(3) 농민항쟁의 발생배경과 직접적 계기 = 251
(4) 농민항쟁의 전개과정 = 258
(5) 봉건정부의 대책과 결과 = 262
[2] 군현별 농민항쟁 = 264
(1) 익산 = 264
(2) 함평 = 273
(3) 고산 = 287
(4) 부안 = 293
(5) 금구 = 296
(6) 장흥 = 302
(7) 순천 = 308
(8) 강진 = 312
(9) 남원·장수·운봉·지산 = 315
(10) 기타 지역 = 316
3. 충청도의 농민항쟁 = 322
[1] 개관 = 322
(1) 지역적 사정과 행정·군사편제 = 322
(2) 농민항쟁의 발생지역 = 325
(3) 농민항쟁의 발생배경 = 327
(4) 농민항쟁의 주체와 전개과정의 특성 = 334
(5) 봉건정부의 대책과 결과 = 338
[2] 군현별 농민항쟁 = 340
(1) 회덕 = 340
(2) 공주 = 349
(3) 은진 = 356
(4) 청주 = 361
(5) 회인 = 362
(6) 문의 = 366
(7) 임천 = 369
(8) 진잠 = 372
(9) 연산 = 373
(10) 진천 = 375
(11) 청안 = 376
(12) 기타 지역 = 379
4. 기타 지역의 농민항쟁 = 380
[1] 제주도 = 380
[2] 함흥 = 402
[3] 광주 = 414
농민항쟁 일지 = 417
인명색인 = 427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