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공업화의 제유형 2 |
|
오두환 외 지음 |
출판사 - 경문사 |
초판일 - 1996-10-30 |
ISBN - |
조회수 : 4327 |
|
|
|
● 책 소개
<공업화의 제유형> 1권이 세계적인 공업화의 역사적 경험을 각 국가별로 비교·분석했다면, 이 책 2권은 한국의 근·현대공업화의 경험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한국은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공업화를 추진하여 40년이 지난 지금 일약 선진국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으며, OECD의 말석을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의 성장경험은 놀라운 것이고 세계사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한국사회 발전의 역사와 전망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편차가 심한 상태이다. 특히 식민지유산의 평가와 한국경제 선진화의 전망에 관한 견해 차이는 적지 않다.
이 책의 내용은 총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론-논점과 전망'은 공업화과정의 주요 논점들을 자본주의 발달사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개항에서 일제하 식민지시대까지의 근대공업화에 관한 부분은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해방 후 지금에 이르는 현대공업화에 관한 부분은 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론으로 '중세 상업발달의 이론적 모형의 모색 - 조선시대 상업의 구조적 특질의 해명을 위하여'를 수록했다.
ⓕ
맨위로
|
● 목 차
총론 - 논점과 전망 / 오두환
1. 머리말 ------ 1
2. 근대의 공업화 ------ 3
3. 현대의 공업화 ------ 18
4. 맺음말 ------ 28
개항기 토착공업과 이식공업 / 오두환
1. 머리말 ------ 29
2. 토착공업 ------ 32
3. 이식공업의 형성 ------ 50
4. 맺음말 ------ 65
식민지기 한국의 농업성장과 공업화 / 박섭
1. 머리말 ------ 67
2. 농업에 있어서 생산량의 증가와 생산성의 상승 ------ 70
3. 노동자 공급 및 곡물소비의 증가 ------ 93
4. 영국령 인도와의 비교 ------ 100
5. 맺음말 ------ 108
식민지기 조선인 공업의 성장 / 주익종
1. 머리말 ------ 111
2. 조선인 공업의 성립 ------ 115
3. 주요 조선인 공업의 발전과정 ------ 138
4. 맺음말 ------ 174
식민지적 공업화의 특징 / 허수열
1. 머리말 ------ 181
2. 공업화의 계기 ------ 183
3. 일본의 대조선 투자와 일본인 자본 ------ 190
4. 공업구조 ------ 197
5. 기술 ------ 204
6. 맺음말 ------ 209
한국농지개혁의 재평가 - 헨리 조지 이론에 기초하여 / 전강수
1. 머리말 ------ 213
2. 헨리 조지의 토지개혁론 ------ 216
3. 한국 농지개혁에 대한 평가 ------ 223
4. 맺음말 ------ 233
1950년대 한국의 공업화과정 / 김양화
1. 머리말 ------ 235
2. 경제성장 전략 ------ 239
3. 공업화의 내용 및 유형 ------ 253
4. 맺음말 ------ 270
참고문헌 ------ 272
한국의 경제발전과 이농 / 박진도
1. 서론 ------ 277
2. 농촌인구의 이농추이와 도시노동시장에 대한 기여 ------ 278
3. 이농과 농촌경제의 변화 ------ 285
4. 요약 및 결론 ------ 293
참고문헌 ------ 294
경제발전과 국가의 역할 변화 - 석유화학공업을 중심으로 / 김승석
1. 머리말 ------ 297
2. 국가기업의 신설과 참여 ------ 299
3. 국가자본의 민영화 ------ 304
4. 시장진입의 문제 ------ 307
5. 금융지원 ------ 313
6. 요약 및 결론 ------ 316
<보론> 중세상업발달의 이론적 모형의 모색 - 조선시대 상업의 구조적 특질의 해명을 위하여 / 이헌창
1. 머리말 ------ 323
2. 중세상업발달의 지역차와 그 역사적 의의 ------ 325
3. 중세상업발달의 이론적 모형의 모색 ------ 338
4. 모형을 통한 한국중세상업 전개의 설명 ------ 358
찾아보기 / 363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