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정치 > 국제정치 ( 56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나의 투쟁 (3 MB)
나의 투쟁
아돌프 히틀러 지음 , 김수인옮김
출판사 - 청년사
초판일 - 1988-04-15
ISBN -
조회수 : 4749

책 소개

이 책은 히틀러의 유일한 저서이자 독일 제3제국에 있어서 나치즘의 바이블 역할을 수행하였다. 두 권의 책으로 되어 각각 1925년과 1927년에 간행되었으며 1930년에는 축약하여 발간되었다. 1939년에 이르기까지 520만 부가 팔렸고 11개 국어로 번역되기까지 하였다.
제1권은 히틀러가 바이에른 감옥에서 수감중인 1924년에 씌어졌으며 히틀러의 청년기와 제1차 세계대전 및 1918년 독일제국의 붕괴에 따른 그의 심정이 나타나 있다. 또한 게르만족을 천재적인 인종으로 치켜세우는 한편 유태인들을 기생충적인 존재로 못박고 있는 인종차별적 이데올로기가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는 슬라브족과 러시아의 '가증스런' 마르크스주의자들을 제거하고 게르만족이 동쪽에서 삶의 영역을 차지해야 한다고 역설하는 한편 프랑스에 대한 복수를 주장하였다.
제2권은 히틀러가 1924년 12월 감옥에서 풀려난 후 그의 정치적 프로그램을 전체적으로 개관한 것이다. 거기에서 그는 국가사회주의는 테러와 같은 방법을 막론하고 권력을 장악해야 하며 새로운 독일 건설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이 책의 문장에서 느낄 수 있는 점은 매우 과장되고 반복적이며 비논리적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초판에는 문법적인 오류까지 발견되는 것으로 봐서 이 책의 저자가 세련되고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독일내의 여러 불만층들, 즉 극우민족주의자, 반유태주의자, 반민주주의자, 반공산주의자, 군국주의자들의 증오심을 유발시키고 교묘하게 선동하는 수법을 능란하게 구사하였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을 때 어떤 구절과 어떤 수법이 그러한 광란상태로 이끌어가는가를 곰곰이 생각하면서 읽어나가는 방법을 취하면 얻는 것이 많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 본문중에서


맨위로맨위로


● 목 차

제1부 민족주의적 세계관 = 9

제1장 생가(生家)에서 = 11
제2장 빈 시절의 수업과 고난 = 18
제3장 빈 시절의 일반적인 정치적 고찰 = 27
제4장 뮌헨 = 37
제5장 세계대전 = 43
제6장 전시선전(戰時宣傳) = 47
제7장 혁명 = 49
제8장 나의 정치활동의 시작 = 53
제9장 독일노동당 = 57
제10장 붕괴의 원인 = 60
제11장 민족과 인종 = 67
제12장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당의 최초의 발전시대 = 81

제2부 국가사회주의 운동 = 89

제1장 세계관과 당(黨) = 91
제2장 국가(國家) = 95
제3장 국적 소유자와 국가의 시민 = 105
제4장 인격과 민족주의 국가의 사상 = 107
제5장 세계관과 조직 = 110
제6장 초기의 투쟁 : 연설의 중요성 = 113
제7장 적색전선(赤色戰線)과의 투쟁 = 117
제8장 강자는 혼자일 때 가장 강하다 = 124
제9장 돌격대의 의미와 조직에 관한 근본적인 견해 = 128
제10장 연방주의(聯邦主義)의 가면 = 143
제11장 선전(宣傳)과 조직 = 151
제12장 노동조합에 관한 문제 = 157
제13장 전후(戰後) 독일의 동맹정책 = 162
제14장 동방노선(東方路線)과 동방정책 = 177
제15장 권리로서의 정당방위 = 188

맺음말 = 196
● 해설 : 나치즘의 바이블 = 197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나의 투쟁 (3 M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