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정치 > 한국정치 ( 158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새로운 북한읽기를 위하여 (4 MB)
새로운 북한읽기를 위하여
박재규 지음
출판사 - 법문사
초판일 - 2005-01-05
ISBN - 9788918031484
조회수 : 1436

● 목 차

Ⅰ. 올바른 북한 이해를 위하여


1.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박재규 = 3
1. 서론 = 3
2. 민족화해 시대의 북한 - 인식의 혼란 = 4
3. 적으로서의 북한 = 6
4. 동포로서의 북한 = 8
5. 민족화해와 평화통일 = 11
6. 결론 = 14

2. 북한 제대로 읽기 / 최완규 = 16
1. 북한사회를 보는 '눈' = 16
2. 북한 보기와 내재적 인식 논쟁 = 18
(1) 송두율의 내재적 접근법 = 19
(2) 내재적 접근법에 대한 비판적 견해 = 22
3. 북한 제대로 읽기 : 오리엔탈리즘의 극복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 28
4. 맺음말 = 33

3. 북한자료 읽기 / 김용복 = 37
1. 북한연구와 북한자료 = 37
2. 북한자료는 어떠한 특성이 있나? = 38
3. 우리가 접할 수 있는 북한자료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 42
(1) 김일성과 김정일 문헌 = 42
(2) 신문, 잡지, 연감 = 45
(3) 한국에서 출간된 북한자료 = 47
(4) 북한통계 = 48
4. 어떻게 북한자료를 읽을 것인가? = 49
5. 맺음말 = 52

4. 문학을 통해 본 북한사회 : '고난의 행군'을 다룬 두 편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김재용 = 55
1. 문학이란 창 = 55
2. 닫힌 세계와 그 이면 : 리신현의 『강계정신』 = 57
(1) 불멸의 향도 총서 = 57
(2) 이면의 실상 = 58
(3) 완결적 세계와 단일한 초점 = 59
3. 열린 세계와 시선의 혼재 : 김문창의 『열망』 = 60
(1) 일반 장편소설의 언어 = 60
(2) 기존 시각의 비판과 혼재 = 61
(3) 열려진 세계와 다언어성의 가능성 = 64
4. 풍부한 북한 연구를 위하여 = 65


Ⅱ. 북한이 걸어온 길


1. 북한 국가와 유일체제의 수립 / 기광서 = 69
1.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 = 69
2. 해방과 북한 국가 수립 = 72
(1) 해방 정국과 북한 정치체제의 태동 = 72
(2) 또 하나의 분단 정부 수립 = 74
3. 한국전쟁과 유일체제 형성 = 77
(1) 한국전쟁과 정치변동 = 77
(2) 전후 복구와 권력 갈등 = 80
(3) '종파사건'에서 유일체제로 = 81
4. 유일체제의 공고화 = 84
(1) '주체'를 통한 유일체제의 확립 = 84
(2) 후계자 김정일의 등장 = 86

2. 협력과 갈등의 대외정책 / 정규섭 = 90
1. 서론 = 90
2. 북한 외교의 기본틀 = 91
(1) 무엇을 위한 외교인가? = 91
(2) 북한 외교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 92
(3) 어떻게 외교정책이 결정되고 집행되는가? = 93
3. 냉전기 북한 외교정책 : 1948~1988 = 94
(1) 진영외교를 통한 국가승인, 전쟁, 전후복구 = 94
(2) 진영을 넘어서 제3세계로 = 94
(3) 자주노선과 강경외교 = 95
(4) 전 세계로 외교지평의 확대 = 96
(5) 자주, 친선, 평화와 대외개방 모색 = 98
4. 세계질서 변화와 대외정책의 조정 : 1989~1998.8 = 99
(1) 세계질서 변화의 내용은 무엇인가? = 99
(2) 세계질서 변화를 북한은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 100
(3) 북한은 어떻게 대응하였는가? = 101
5. 김정일 정권의 외교정책 : 1998.9~ = 108
(1) 김정일 정권의 국가목표와 수단 : 강성대국론과 선군정치 = 108
(2) 김정일 정권의 외교정책 : 전방위적·입체적 외교 = 109
(3) 김정일 정권의 대남정책 : 민족공조전략 = 114

3.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체제와 자립적 민족경제건설노선 / 박순성 = 117
1. '자립적 민족경제건설노선' 또는 북한 경제의 기본 패러다임 = 117
2. 북한 경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 = 120
(1) 민주개혁과 민족경제 토대 구축 : 1940년대 후반 = 120
(2) 전시 동원체제 : 1950~3년 한국전쟁기 = 121
(3) 경제의 사회주의적 개조와 중공업 우선성장정책 : 1953년 중반~1960년대 초 = 122
(4) 혁명적 군중노선과 경제건설·국방건설 병진정책 : 1960년대 초~1960년대 말 = 123
(5) 1차 경제개방정책과 새로운 사회동원정책 : 1970년대 초·중반 = 124
(6) 주체경제와 북한 경제의 침체 : 1970년대 후반 = 125
3.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기본 구조와 운영원리 = 127
(1)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두 축 : 사회적 소유와 계획경제 = 128
(2) 사회주의 경제관리의 기본 원리와 원칙 = 129
(3) 계획화의 원리 = 130
(4)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한계 = 133
4. 북한의 경제성장정책과 경쟁성과 = 133
(1) 1950년대 북한의 경제성장정책 = 133
(2) 경제성장정책의 변화 = 135
(3) 경제성과 = 136
5. 자립적 민족경제건설노선의 빛과 그림자 = 139

4. 동원의 사회체제 / 김병로 = 143
1. 서론 = 143
2. 반제 반봉건 개혁과 전후 계급교양 : 1945~1960년 = 144
(1) 반제 반봉건 개혁 = 144
(2) 사회주의 제도개혁 = 145
(3) 전후 계급교양 사업 = 147
(4) 성분정책과 계급구조의 변화 = 148
3. 3대혁명과 사회주의 문화건설 : 1960년대 = 150
(1) 3대혁명 전개 = 150
(2) 문화혁명의 목표와 내용 = 151
(3) 문예활동과 5호담당제 = 152
(4) 문화혁명의 그늘 = 153
4. 수령제 문화의 형성과 조직활동 및 실용주의 강조 : 1970년대 = 154
(1) 수령제 문화의 등장 = 154
(2) 3대혁명 소조활동과 학습조직체계의 역할 = 155
(3) 실용주의 생활문화의 강조 = 156
5. 민족문화의 부상 : 1980년대 = 159
(1) 민족문화의 부활 = 159
(2)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결합 = 160
(3) 1980년대 이후의 변화 = 162


Ⅲ. 오늘의 북한


1. '수령'과 당 주도의 국가관료체제 / 류길재 = 167
1. 머리말 = 167
2. 북한 당 - 국가체제의 형성과 변천 : 사회주의 제도의 북한화 = 170
3. 수령 : 인격적 통치기제 = 175
4. 당 : 민주 없는 집중제 = 177
(1) 당중앙위원회와 정치국 : 비상설 지도체계 = 177
(2) 비서국과 전문 부서 = 181
5. 군과 국가 : 당에 의해 통제되는 통치기구 = 182
6. 맺음말 = 185

2. 주체사상 : 북한의 체제이데올로기 / 김근식 = 188
1. 서론 : 주체사상과 북한 = 188
2. 발전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 = 189
(1) 사상에서 '주체'의 확립 = 190
(2) 자주노선의 천명 = 193
(3) 주체사상의 정식화 = 196
3. 지배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 = 197
(1) 주체사상의 체계화 = 198
(2) 주체사상의 지위 격상 = 199
4. 주체사상의 추상화와 변화가능성 = 201
(1) 위기상황에서의 정당화 담론 : '붉은기철학'과 '강성대국론' = 201
(2) 주체사상의 변화 가능성 = 203

3. 북한의 군사정책과 군사력 / 함택영 = 206
1. 머리말 = 206
2. 북한의 생존전략과 군사정책 = 207
(1) 북한의 위기와 선군정치 = 207
(2) 당군관계 = 209
3. 북한의 군사기구 및 군사력 = 210
(1) 군사기구 = 210
(2) 조선인민군의 창설 및 성장 = 211
4. 주체사상과 군사정책 = 213
(1) '국방의 자위' = 213
(2) 4대 군사노선의 정착 및 변화 = 214
(3) '강성대국' : 김정일시대 안보·군사정책 = 215
5. 남북한 군사력균형과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 = 217
(1) 정태적 군사력비교 : 개수비교 및 전력지수 = 217
(2) 동태적 군사력비교 = 220
(3) 군사투자비(Military Capital Stock) 비교 = 221
6. 맺음말 = 224

4. 강력한 중앙집권과 자력갱생의 지방 / 김태일 = 230
1. 서론 = 230
(1) 문제의 제기 = 230
(2) 북한체제에서 '지방'의 위상 = 231
2. 중앙집권체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 = 233
(1) 중앙집권체제의 형성 : 1945~1960 = 233
(2) 과도한 중앙집권체제 수정 : 1960~1972 = 234
(3) 중앙집권 강화 : 1972~1992 = 235
(4) 행정·경제적 지방분권 모색 : 1992~현재 = 235
3. 정치적 자기결정권과 지방인민회의 = 236
4. 행정의 자율성과 지방인민위원회 = 237
5. 재정적 자립과 지방예산제 = 238
6. 결론 = 240

5. 경제위기와 개혁·개방의 모색 / 양문수 = 244
1. 북한 경제 운영의 기본 틀 = 244
2. 북한 경제의 위기적 상황 = 246
(1) 공식경제의 위축 = 246
(2) 암시장의 창궐 = 250
3. 경제난에 대한 북한당국의 소극적 대응 : 1990년대 = 253
(1) 자원동원의 극대화와 효율성 제고 노력 = 253
(2) 제한적인 경제개혁의 시도 = 254
(3) 제한적인 개방정책의 확대 = 255
4. 7·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개혁·개방의 모색 : 2000년대 = 257
(1) 전사(前史) : 김정일 시대의 개막과 경제정책기조의 변화 = 257
(2) 7·1 경제관리개선조치의 골자 = 258
(3) 7·1 경제관리개선조치의 후속조치 = 260
5. 2000년대 정책에 대한 평가와 전망 = 261
(1) 성격과 의미 = 261
(2) 성과와 부작용 = 263
(3) 향후 전망 = 264

6.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가치관의 변화 : 집단주의의 균열 / 함인희 = 267
1. 서론 : 북한 주민의 삶과 생각을 어떻게 들여다 볼 것인가? = 267
2. 북한 주민은 주체사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 269
3. 배급제도 아래 북한주민들의 의식주 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272
(1) 식생활 = 273
(2) 의생활 = 277
(3) 주생활 = 278
4. 경제위기하에서 북한의 가족생활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 280
5. 사회통제가 강화됨은 집단주의의 균열을 암시하는가? = 283
6. 결론 : 외부정보 유입이 북한사회의 변화를 유인할 것인가? = 286

7. 북한의 대남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 / 유호열 = 290
1. 분단과 대립의 남북관계 = 290
(1) 독자 정부 수립과 분단 = 290
(2) 공화국 창건과 국토완정 = 291
(3) 6.25 전쟁과 제네바 정치회의 = 292
2. 평화공존과 체제경쟁의 남북관계 = 294
(1) 전후 복구사업 건설과 남북연방제안 = 294
(2) 남북간 상호 체제 인정과 7·4 공동성명 = 295
(3) 남북대화의 잠정적 중단과 고려연방제통일방안 = 297
3. 탈냉전과 남북관계의 다변화 = 298
(1) 남북관계의 해빙기 = 298
(2) 냉전의 해체와 남북 고위급회담 = 299
(3)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전민족대단결 10대강령 = 301
4. 북한체제 변화와 신남북관계 = 302
(1) 김정일체제의 등장과 민족대단결 5대방침 = 302
(2) 6.15 남북공동선언과 민족공조 = 304
(3) 신남북관계와 향후 과제 = 305


Ⅳ. 북한은 어디로?


1. 새로운 지배세력은 가능한가 / 김영수 = 311
1. 서론 = 311
2. 김일성 중심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312
3. 김정일 지배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315
(1) 김정일 후계체제의 형성과정 = 315
(2) 김정일의 권력기반 = 318
4. 김정일 지배체제에 대해 인민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 = 321
5. 지배세력의 변화 가능성은 있는가? = 324

2. 신경제 발전 전략의 과제와 경제개혁 모델 / 김연철 = 331
1. 서론 : 북한의 경제개혁을 어떻게 볼 것인가? = 331
2. 경제 개혁 모델 : 중국, 쿠바와 어떻게 다른가? = 333
(1) 중국 모델과의 차이 = 333
(2) 쿠바 모델의 시사점 = 335
3. 북한의 시장 형성 전망 = 338
(1) 생산재와 소비재의 시장 형성 = 338
(2) 노동시장과 비국영 부문의 확산 가능성 = 339
4. 새로운 성장산업을 위하여 = 341
(1) 농업 정책의 개혁 = 341
(2) 과학기술 정책 발전전략 = 342
(3) 수출 산업의 육성 = 345

3. 외부문화 유입·새세대 등장과 사회문화적 전환 / 이우영 = 350
1. 들어가는 말 = 350
2. 북한 사회체제가 변하는 모습 = 352
(1) 사회발전으로서 사회주의 산업화 = 352
(2) 국가사회주의 몰락과 북한의 체제전환 = 355
3. 외부문화의 유입과 새세대의 등장 = 359
(1) 외부문화의 유입 = 359
(2) 새세대의 등장 = 364
4. 북한 사회문화체제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367
(1) 변화하는 사회문화 상황에 대한 북한 당국의 대응 = 367
(2) 새로운 문화유입과 새세대 그리고 전환의 가능성 = 368

4. 연방제와 연합제 사이에서 / 양길현 = 372
1.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한간의 상호성 = 372
(1) 남북한관계의 현실과 변화 = 372
(2) 통일정책의 쌍방향 합의 : 평화공영을 중심으로 = 374
(3) 북한의 무력적화통일 가능성에 대한 재검토 = 375
(4) 남북한 평화공존과 연합 : 연방제 = 377
2. 북한 통일정책의 지속성과 변화 : 연방제 통일방안의 변천을 중심으로 = 380
(1) 연방제 통일방안의 변천 : 1960~80년대 = 380
(2) 연방제의 양면성 : 정치성과 현실성 = 384
3. 연합 - 낮은 단계의 연방제 = 385
(1) 낮은 단계의 연방과 연합의 수렴가능성 = 385
(2) 연합 - 낮은 단계의 연방 : 특성, 가능성, 유용성 = 388

5. 지구화 시대 북한의 선택 / 구갑우 = 393
1. 서론 = 393
2. 지구화와 북한 = 395
(1) 지구화란 무엇인가 = 395
(2) 지구화가 북한에 미친 효과 = 400
3. 북한은 어디로 갈 것인가? = 402
(1) 북한의 지구화 인식 = 402
(2) 북한의 국제정치적 선택 = 403
(3) 북한의 국제경제적 선택 = 411
4. 결론 = 414


부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 421
북조선로동당 강령 = 433
조선로동당 규약 = 434
7·4남북공동성명 = 446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 447
6·15 남북공동선언 = 449

맨위로맨위로

책 소개

북한 이해를 위한 길라잡이. 이 책은 변화된 시대상황을 반영하여 현재 북한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북한 개론서이다. 북한의 과거와 미래 현재를 종합적으로 조명할 수 있으며, 단순히 북한체제를 평면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시계열적이고 입체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문은 먼저 북한인식론, 북한연구방법론, 자료활용법 등 북한학의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그런 다음 북한이 과거에 걸어온 길을 체제 형성 과정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오늘날의 정치, 경제, 주체사상, 군, 중앙-지방 관계, 사회체제, 대남정책 등을 분야별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북한의 미래를 전망하고 마무리한다. (개정증보판)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새로운 북한읽기를 위하여 (4 M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