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정치 > 한국정치 ( 158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1 (1,016 KB)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1
김진균 외 지음
출판사 - 한울
초판일 - 1986-02-25
ISBN -
조회수 : 1864

● 목 차

책을 펴내면서 = 7

제1부 한국사회 계급연구 서설

제1장 한국사회계층의 실태와 개념상의 재구성 문제 / 홍두승 ; 서관모
1. 계급의 계층구조 = 12
2. 계급의 분류 = 13
3. 계급 모형 = 16
4. 계급구성의 현황과 추이 = 19
5. 맺음말 = 23

제2장 현대한국 계급연구의 현황과 쟁점 / 공제욱
1. 머리말 = 25
2. 기존의 계급모델에 대한 검토 = 26
3. 중간계급의 확대 혹은 계급의 양극화 = 33
4. 도시 비공식부문론의 문제점 = 37
5. 노동자계급의 내부구성의 문제 = 41
6. 맺음말 : 민중론과의 관련 = 44

제2부 한국사회의 계급별 연구

제3장 민중의 계급적 성격 규명 / 박현채
1. 사회구성과 민중 = 49
2. 한국사회에서 민중소외의 논리와 실상 = 56

제4장 한국 자본계급의 성격 / 홍덕률
1. 머리말 = 81
2. 자본가계급의 내부구성 = 82
3. 자본의 재생산기반과 사회적 성격 = 96
4. 자본가계급의 구조화과정과 생활세계 = 103
5. 독점자본분파의 전일적 지배메카니즘 = 105
6. 맺음말 = 109

제5장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 - 쁘띠부르조아지의 추세를 중심으로 / 서관모
1. 서론 = 111
2. 계급의 개념과 계급의 판별 = 112
3. 계급범주의 획정 = 114
4. 계급구성과 그 변화 = 117
5. 도시쁘띠부르조아지의 추세 = 122
6. 결론 = 126

제6장 화이트칼라의 성격규정을 위한 연구 / 정근식
1. 서론 = 127
2. 화이트칼라의 구조변화 = 128
3. 교육수준과 직업안정성 = 133
4. 경제적 특성 = 137
5. 화이트칼라와 사회조직 = 140
6. 맺음말 = 142

제7장 한국사회의 하층계급에 대한 연구 / 김진균 ; 조희연
1. 머리말 = 143
2. 분석의 전제적 논의 - 계급변동의 주변자본주의적 특수성 = 145
3. 하층계급의 내부구성과 범위규정 = 149
4. 하층계급의 개별분석 = 154
5. 맺음말 = 175

제8장 한국 농민층에 대한 계급론적 접근 / 김진규 ; 임영일
1. 계급으로서의 농민 = 177
2. 한국 농업의 역사적 조건과 농민계급 = 179
3. 한국 농업의 현황과 농민계급의 내부 구성 = 187
4. 결론 및 전망 = 192

제9장 농민층에 대한 계급론적 접근 시론 / 박명규
1. 문제의 제기 = 195
2. 기존연구의 검토 = 196
3. 이론적 검토 = 200
4. 농촌하류계급 = 206
5. 독립자영농계급 = 211
6. 결론 = 213

제10장 부산시의 계급구조 분석 시론 / 김석준
1. 머리말 = 217
2. 부산지역의 개관 = 219
3. 부산시의 계급구조 = 226
4. 각 계급의 존재형태에 대한 고찰 = 236
5. 맺음말 = 259


맨위로맨위로

책 소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사회에는 계급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해가고 있다. 이러한 관심 증대의 배경으로 우리는 몇 가지 점들을 지적할 수 있다. 그 첫째로 계급론이라는 영역의 학문적 성격이 갖는 특수성을 들 수 있다. 즉, 계급론이란 여타 학문영역과 달리 한 사회의 구조적 분석과 정치적 실천을 매개하는 지적 분야라는 점이다. 구조분석에는 생산관계의 총체로서의 토대에 대한 해명, 그 생산관계를 둘러싼 사회적 집단 간의 수탈・갈등관계, 그것을 규정하는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재생산구조의 해명이 포함된다. 계급론은 바로 이러한 구조적 규정성 속에서 배태되어 나오는 변혁적 잠재력이 어떻게 정치적 실천으로 매개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까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여타 연구영역과 달리 계급론은 그 자체가 단지 분석적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천적 연관성을 갖게 되고, 계급론은 바로 그 연관성을 자기연구의 주요 주제로 포섭하게 된다. 바로 이러한 계급론의 학문적 특수성이 계급론에 대한 관심 증대의 한 배경을 이루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 둘째로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꾸준히 성장해 온 한국의 사회운동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즉, 분단과 6・25 이후 단절을 경험해 온 사회운동이 60・70년대를 경과하면서 단지 사회의 부분적 제문제에 대한 비판을 넘어 사회구조의 총체적 변혁에 대한 전망을 갖게 되고, 그 자연스런 귀결로서 변혁주체의 설정과 중간 제세력의 획득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계급론에 대한 관심 제고의 정치적 배경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계에서 계급에 대한 연구는 다분히 지체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한 지체현상은 계급에 대한 이론적 연구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계급에 대한 경험적 연구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본서는 계급연구, 특히 한국사회의 계급연구에 조그마한 진전이라도 도모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편집된 것이다.---본문중에서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한국사회의 계급연구 1 (1,016 K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