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사회 > 미입력도서 ( 461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시대의 횃불
새문안교회 대학생회 역사편찬위원회 지음
출판사 - 지식공작소
초판일 - 2017-01-20
ISBN - 9791128804380
조회수 : 130

책 소개

한국 기독청년운동의 역사에 생생한 일차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새문안교회 대학생회의 역사와 그 참여자들의 활동상을 기록한 책. 1966년 시작한 새문안 대학생회는 1970년대와 80년대에 기독학생운동의 선봉장이 되어 시대의 이슈였던 민주화운동을 줄기차게 전개했던 모임이다.

새문안 대학생회는 독자적으로 농촌봉사활동, 빈민 가정을 위한 야학 운영 그리고 노동운동을 벌여 당시 학생운동, 기독청년학생운동(KSCF, EYC), 산업선교, 빈민선교 등과 전체 민주화운동과 사회개혁운동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 .

추천글
창립 50년을 맞는 새문안교회 대학생회의 역사와 증언을 읽으며 마치 그 시대를 직접 체험하는 것 같은 감동을 금할 수 없었다. 그 시대의 아픔과 예언자적 외침을 망각한 채 역사의식도 거의 마비된 듯한 오늘날 이 교회가 한때 활화산처럼 에너지를 뿜어댔다니 믿기지 않는다. 소수의 젊은이들이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며 한국 교회를 선도해 갔던 것이다. 이 책은 한 교회 대학생회의 역사를 정리한 것 치고는 너무나 엄청난 내용을 담고 있다. - 이만열 (함석헌학회 회장, 숙명여대 명예교수,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시대적 소임을 실천한 이들의 생생한 증언
새문안 대학생회 활동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발간한 책자 또는

맨위로맨위로


● 목 차

발간사 새문안교회 대학생회 역사편찬위원회
축사 이만열 교수
축사 윤경로 교수

1부 새문안 대학생회의 역사

01 새문안 역사와 청년(1885∼1989)
새문안 청년회의 조직과 언더우드 선교사(1885∼1919)
일제강점기 새문안 청년과 차재명 목사(1920∼1943)
해방 전후 새문안 청년과 김영주 목사(1944∼1954)
새문안 청년의 사회참여와 강신명 목사(1955∼1980)
새문안의 청년성과 김동익 목사(1981∼1989)

02 대학생회 창립과 활동(1966∼1970)
대학생회 창립총회
예배와 친교
연구 발표회와 세미나
신앙고백과 교육
사회봉사 활동

03 전태일사건과 대학생회의 사회참여(1970∼1973)
전태일사건과 금식기도회
도시빈민 선교와 공명선거를 위한 참여
야간학교의 설립
독서모임과 성서 연구
위수령 금식기도회

04 유신정권과 대학생회의 민주화운동(1973∼1980)
언더우드학술강좌와 민주화 횃불시위
민청학련사건과 대학생회
민주화와 구속자를 위한 기도회
야간학교의 운영
유신체제하 대학생회 활동과 고난

05 대학생회와 교회 청년운동(1980∼1989)
청년대학생선교대회와 언더우드학술강좌
청년대학생 예배와 성서 강좌
대학생회의 자치활동
경찰난입사건과 대학생회 기능 정지
대학생회의 해체
결론 청년 언더우드, 청년 새문안, 그리고 대학생회
에필로그 새문안 대학부 오늘

2부 회고와 증언

01 대학생회원의 회고와 증언
“바른 삶을 살도록 이끌어 준 새문안 대학생회” 이일영(63학번 초대회장)
“새문안 대학생회의 처음 이야기” 서원석(66학번)
“기독청년학생운동과 새문안 대학생회의 역할” 서경석(66학번)
“새문안 뜰에서 만난 그 얼굴들” 김신혜(67학번)
“진리의 길과 실천적 삶을 선물해 준 새문안 대학생회” 김의수(67학번)
“믿음과 마음의 고향 새문안 대학생회” 오인환(67학번)
“내 생애 가장 의미 있는 만남” 이인영(68학번)
“사회를 위한 헌신의 길로 이끌어 준 새문안 대학생회” 윤조덕(69학번)
“복음, 에큐메니칼, 민족, 민주 정신을 품은 새문안 대학생회” 김형기(70학번)
“하나님과 이웃 사랑의 신앙을 가르쳐 준 새문안 대학생회” 서창석(70학번)
“균형 잡힌 예수님의 삶을 가르쳐 준 새문안 대학생회” 윤호기(70학번)
“새문안 친교실에서 만난 젊은 우리들” 이호숙(70학번)
“고난을 이기는 힘을 배운 새문안 대학생회” 권진관(71학번)
“나를 키운 새문안 대학생회” 부길만(71학번)
“우울한 젊은 날의 보금자리 그리고 자긍심의 원천” 현영석(71학번)
“새문안 대학생회 그리고 우리들” 안태랑(72학번)
“낮은 곳에서의 순순한 삶을 꿈꾸게 해준 새문안 대학생회” 황혜헌(72학번)
“아름다운 삶의 여정으로 이끌어 준 새문안 대학생회” 류태선(73학번)
“새문안 대학생회와의 우연한 만남이 준 인생의 선물” 양해경(73학번)
“주님께서 예비하신 길을 걸으며” 염미봉(73학번)
“든든한 그루터기가 되어준 새문안 대학생회” 이근복(73학번)
“나의 부끄러움을 일깨워 주는 새문안 대학생회” 이인숙(73학번)
“내 삶의 한복판에 있었던 새문안 대학생회” 심상완(75학번)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장신규(77학번)
“예수와 역사의식을 선물해준 새문안 대학생회” 변창배(79학번)
“80년대 전환기의 새문안 대학생회” 윤종인(82학번)
“뜨거운 나이와 시대에, 뜨거운 열정으로 만난 대학생회” 최용길(86학번)

02 지도목회자의 회고와 증언
“새문안 대학생회와의 만남 50년” 홍성현 목사(1966∼67 지도목사)
“잊을 수 없는 새문안 대학생회의 도전과 외침” 김종렬 목사(1969∼72 지도목사)
“삶과 사역의 영원한 동반자 새문안 대학생회” 김용복 목사(1978∼81 지도목사)

3부 새문안 대학생회의 발자취

01 연혁 및 활동
대학생회 연혁
대학생회 활동

02 회원 및 조직
대학생회 회원 명단(1963∼89)
대학생회 임원 명단(1967∼88)
대학생회 지도위원 명단(1967∼88)

참고문헌
새문안교회 대학생회 역사편찬위원회 활동
편집 후기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