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 단군과 단군조선 |
|
이형구 엮음 지음 |
출판사 - 살림터 |
초판일 - 1995-05-30 |
ISBN - 9788985321218 |
조회수 : 131 |
|
|
● 목 차
화보 = 3
머리말 = 21
학술발표회 토론자의 약력 = 27
단군릉 발굴 개요 / 이형구 = 41
Ⅰ. 단군 및 고조선에 관한 제1차 학술발표 론문
단군릉 발굴정형에 대하여 / 박진욱 = 64
단군릉에서 나온 사람 뼈의 인류학적 특징에 대하여 / 장우진 = 69
단군릉에서 나온 뼈에 대한 년대측정 결과에 대하여 / 김교경 = 74
단군릉에 대한 력사자료에 대하여 / 리준영 = 78
단군의 출생과 활동에 대하여 / 강인숙 = 82
고조선의 성립과 수도 문제에 대하여 / 현명호 = 87
단군의 건국사실을 전한 『위서』에 대하여 / 김병룡 = 92
'단군신화'의 주요 특징에 대하여 / 신구현 = 97
평양은 고대문화의 중심지 / 석광준 = 102
일제가 감행한 단군 말살책동에 대하여 / 박시형 = 108
우리 민족은 고조선 시기부터 고유한 민족문자를 가지 슬기로운 민족 / 류렬 = 113
단군과 대종교에 대하여 / 최태진 = 120
단군 숭배와 관련한 의례와 풍습에 대하여 / 조대일 = 126
조선민족은 단군을 원시조로 하는 단일민족 / 손영종 = 131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단군 및 고조선과 관련하여 하신 교시는 력사연구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열어 놓은 강령적 지침 / 전영률 = 136
Ⅱ. 단군 및 고조선에 관한 제2차 학술발표 론문
주체의 방법론을 지침으로 하여 단군조선 력사를 체계화하는 데서 나서는 몇 가지 문제 / 김석형 = 142
단군 및 고조선 시기의 유적유물 발굴성과에 대하여 / 류병홍 = 148
평양 일대의 단군 및 고조선 관계 유적유물들에 대한 년대측정 결과에 대하여 / 김교경 = 153
평양 일대의 단군조선 유적에서 발굴된 사람 뼈에 대하여 / 장우진 = 157
평양 일대에서 새로 발굴된 황대성에 대하여 / 리순진 = 162
평야 주변의 고대 토성에 대하여 / 남일룡 = 166
새로 발굴된 성천군 룡산리 순장무덤에 대하여 / 김종혁 = 170
평양 일대에서 새로 발굴된 고인돌무덤과 돌관무덤에 대하여 / 석광준 = 174
고조선의 비파형 단검문화에 대하 재검토 / 박진욱 = 176
고조선의 건국년대와 단군조선의 존재기간 / 강인숙 = 182
단군조선의 중심지와 령역 / 김병룡 = 186
고조선 초기의 금제품에 대하여 / 한인호 = 190
단군조선의 경제제도에 대하여 / 김유철 = 194
단군조선 시기 청동 및 철 가공기술에 대하여 / 강승남 = 198
단군조선의 정치제도 / 장국종 = 202
신지글자는 고대 동방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우리 인민의 고유글자 / 김인호 = 206
고대글자와 훈민정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련의 공통성 / 김윤교 = 210
단군조선의 철학사상에 대하여 / 정성철 = 214
평양 일대에서 발굴되 고조선의 도기에 대하여 / 김영진 = 218
단군설화의 주요 특징에 대하여 / 정홍교 = 222
강동과 성천 일대에 분포되여 있는 단군 및 고조선 관계 지명에 대하여 / 김붕환 = 226
단군관계 미술유산에 대하여 / 리철 = 230
단군설화의 일본렬도 보급과 그 력사적 배경 / 조희승 = 235
후조선은 단군조선의 계승국 / 손영종 = 239
우리 나라의 첫 국호 조선의 기원에 대하여 / 송순탁 = 243
만 왕종의 멸망과 락랑국에 대하여 / 리승혁 = 247
단군릉의 개건과 그 의의 / 박영해 = 251
Ⅲ. 부록
단군릉 기적비 비문 / 이형구 = 256
단군신화와 력사 / 강인숙 = 267
단군설화의 력사성 / 리상호 = 310
단군 관련 문헌목록 / 이형구 = 390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