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사회 > 과학 ( 11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과학기술과 현대자본주의
강좌 현대 편집위원회 지음 , 박기영옮김
출판사 - 화다
초판일 - 1984-07-10
ISBN -
조회수 : 394

책 소개

인류는 자신의 손으로 장악한 거대한 잠재력을, 기술을 매개로 하여 현재화하고 발현시켰다. 이 과정은 사회적 과정이었고, 사회체제의 상위-자본주의라든가 사회주의-와 두 사회체제간의 관계-냉전이라든가 평화공존-에 두드러지게 의존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담당자인 과학자가 어떻게 과학의 사회적 관계를 자각하여 왔는지를 회고하면서 현재에 있어서 그들의 사회적 임무를 추궁하였다. …..그것이 냉전과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서 현저하게 왜곡되고 있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과학기술을 건전하게 육성하고, 그것이 인류의 행복에만 힘쓰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 냉전을 종결짓고 인류공멸의 위기를 불식시키는 일이 필요하지만, 종국적으로는 자연과 사회를 통일적으로 파악한 우주적인 세계관에 지반을 두고 있는 과학적인 사회구조가 전지구적 규모로 창조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본문중에서

맨위로맨위로


● 목 차

저자서문 = 3


1. 현대과학기술의 인류사적 의의
제1절 문제의 제기 = 13
제2절 변증법적 자연관 = 15
제3절 현대과학기술과 사회 = 22

2. 과학의 질적 변환
제1절 현대자연과학의 특질 = 33
제2절 개별연구 발전과 그 전망 = 40
제3절 과학의 질과 양의 발전 = 59

3. 과학자의 사회적 임무와 과제
- 그 자각화의 과정 -
제1절 아카데미아의 형성과 발전 = 68
제2절 과학자 회의의 형성과 전개 = 73
제3절 반전 • 반파시즘과 과학자운동 = 80
제4절 과학지식인의 국제평화운동 = 90
제5절 제2차 세계대전 후 과학자의 평화운동 = 97

4. 현대자본주의와 과학기술
제1절 원자력 개발과 우주개발의 모순 = 109
제2절 자본제 사회와 현대기술의 제문제 = 132

5. 사회체제와 과학기술
제1절 사회체제와 과학연구 = 195
제2절 자본주의하의 연구개발체제의 본질 = 213


보론 1 자연과학의 발전과 변증법 = 223
보론 2 전후 일본 대학의 연구체제 = 235
참고문헌 = 241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