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실천문학 제01호 - 1984년호 |
|
고은,박태순,문익환,신경림 외 지음 |
출판사 - 실천문학사 |
초판일 - 1984-10-30 |
ISBN - |
조회수 : 1341 |
|
|
|
● 책 소개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모태가 되어 발간하게 된 『실천문학』 창간호이다. 이 창간호는 강제압류되어 증보판이란 이름으로 나왔는데, 특이한 것은 당시 안기부를 비롯한 파쇼기구들의 검열과정에서 ‘삭제’란 이름으로 곳곳에 빈 공간이 보이는 것이다. 특히 마지막의 글 ‘보천보 뗏목꾼들의 살림’이 그러하다. 이러한 간난신고를 거듭하면서도 실천적 문인들의 치열한 실천적 행위로서 나온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오늘을 살고 있는 이들에게 파시즘,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그리고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사이의 차별점과 그 구분선, 그리고 그 속에서 보이는 문인들의 작품내용의 계급적 면모--철저한 민족주의적 관점과 노동계급적 관점--를 대조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여튼 그 모든 내용을 뒤로하고, 이 무크지의 실천적 의미는 각별하다 할 것이다.ⓕ
맨위로
|
● 목 차
■ 특별좌담: 민중시대와 실천문학/고은, 이문구, 박태순 = 5
■ 시
벽시/고은 = 15
흰뫼의 신화 外/문익환 = 18
만석보/양성우 = 24
작은 선언 外/김규동 = 32
파도/신경림 = 35
소리들 분노한다 外/조태일 = 36
하나님/조남기 = 38
함평 고구마/문병란 = 40
詩 外/최하림 = 42
일어서라, 풀아 外/강은교 = 45
바람소리 外/박용수 = 48
농사꾼은 누구와 말하고 사는가 外/김준태 = 51
송파에서 外/이진행 = 54
招魂曲調 1·2/하종오 =56
■ 특집 1
팔레스티나 민족시집/박태순 역 = 59
■ 소설
우리동네 강씨/이문구 = 97
미로/박연희 = 126
사형장 부근/송기숙 = 136
옥상의 민들레꽃/박완서 = 148
내 딸 미선이/한승원 = 160
한 얼굴의 초상/백우암 = 174
단식/김상렬 = 189
山蘭/김성동 = 202
■ 특집 2 : 70년대의 문학과 80년대의 문학
민족문학론의 새로운 과제/백낙청 = 221
두 열림을 향하여/김병익 = 231
문학과 인간과 사회/송건호 = 241
사회과학자가 보는 한국문학/문학관 조사연구 = 250
■ 평론
제3세계 민족문학에의 전망/구중서 = 274
一初惟心 한용운의 용기에 대하여/김우창 = 283
누구의, 누구를 위한 길인가(미술)/원동석 = 295
진정한 연극을 위한 새로운 실험(연극)/오종우 = 301
춤의 사회적 과제와 전망(한국무용)/채희완 = 308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저항이데올로기(사회철학)/이인석 = 316
■ 특집 3 : 문학인들의 토론
문학의 실체, 문학의 실천/박태순, 정희성, 송기원, 이시영 = 323
책 끝에 = 371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