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 좌파들 |
|
로이드 빌링스리 지음 , 염홍철옮김 |
출판사 - 신원문화사 |
초판일 - 1986-04-05 |
ISBN - |
조회수 : 2303 |
|
|
|
● 책 소개
기독교인들은 오래 전부터 기독교는 역사와 관련된 종교라는 사실을 강조해 왔다. 그리스도의 강림과 죽음, 그리고 부활은 단순히 정신세계에서가 아니라 실제의 시간과 공간 속에 서 일어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미국에 있는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과거를 무시함으로써 그들 종교의 역사성을 망각하고 있다.
얼마 전 필자는 어느 젊은 여자가 그녀의 친구들과 종교개혁 기념일(Reformation Day)의 예배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기독교 계통의 학교에서 12년이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 기념일에 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날은 신교의 개혁운동(Protestant Reformation)을 기념하는 날이라고 설명하자. 그녀 가족들은 신교가 아니라 침례파라고 무심히 대답했다.
그러한 대답이 의미하는 종파의 문제는 별도로 하더라도, 그것은 역사에 대한 엄청난 무지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 신교도는 차라리 나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역사의 무지로 인 한 보다 더한 결과가 가능하며 때로는 불가피하기도 하다.
유태인들이 대학살(The Holocaust)에 관해 말할 때, 거의 습관적으로 ‘결코 다시는…’이라고 단언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기억이란 변하기 쉽고 낙관적임을 유태인들은 알고 있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갔고,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고통에 떨게 했던 역겹고 기괴한 사건들은 쉽게 잊혀지고 만다. 그렇게 고통스러웠던 시대는 쉽게 전설로 전락 하고 만다. 그러나 ‘결코 다시는’이라고 굳세게 외침으로써 대학살에 관한 역사성이 선언되는 것이며 동시에 유태인들의 미래의 삶을 서약하는 것이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목차
머리말 = 5
역자의 말 = 11
서론 = 15
제1부 스탈린세대 = 23
제1장 스탈린의 추종자들 = 25
1. 전체주의 = 25
2. 스탈린 = 45
3. 1930년대 = 53
4. 안나 루이즈 스트롱 = 58
5. 캔터베리 주교인 휴레트 존슨 신부님 = 70
6. 서구의 유산과 스탈린 = 82
제2장 스탈린의 반대자들 = 87
7. 말콤 머그리지 = 89
8. 아더 케슬러 = 110
9. 앙드레 지드 = 123
10. 밀로반 질라스 = 130
11. 조오지 오웰 = 147
12. 피에르 샤레뜨 = 162
13. 그 외의 인물들 = 174
제2부 스탈린 이후세대 = 183
제3장 반복되는 오류 = 185
14. 기독교 사회주의자들의 최초의 교회 = 185
15. 폭력의 변명 = 200
16. 니카라구아 = 212
제4장 급진적 기독교 사상의 기초 = 227
17. 빈곤 = 227
18. 동정심 = 236
19. 진보 = 244
20. 평화주의와 평화 = 247
21. 표현 양식 = 258
결론 = 271
후기 = 279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