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 마르크스주의와 민주주의 |
|
한상진 편저 지음 |
출판사 - 사회문화연구소 |
초판일 - 1991-12-24 |
ISBN - |
조회수 : 3605 |
|
|
|
● 책 소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가 마침내 부정할 수 없는 현시로 다가왔다. 사실 이 진단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마르크스주의 진영 내부에서조차 1930년대 이래 지속된 것이기도 하다.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썼던 알뛰세 역시 심각한 정신착란에 빠지기 전 1970년대 말에 비탄어린 절박함으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를 지적한 바 있다. 하버마스의 「사적 유물론의 재구성」은 이 위기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탈출구의 모색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소련과 동구의 기존 사회주의체제가 경제적 침체속에 국민대중의 불신과 저항에 부딪쳐 급격히 붕괴하리라고는 예측하지 못했다. 이 엄청난 역사적 변동 앞에서 서구의 많은 지식인들은 사회주의체제의 종언과 마르크스주의적 대안의 소진을 천명하고 있다 - 서문에서
ⓕ
맨위로
|
● 목 차
서문
제1부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의 재독해
제1장 세계적 변혁기의 민주주의 재조명/한상진
1.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15
2. 레닌주의의 부정적 유산/18
3. 마르크스의 재독해와 마르크스주의 비판/19
4. 이중 과정으로서의 민주화/26
5. 사회주의의 새로운 지평/30
제2장 러시아혁명 전후의 민주주의 논쟁/김동춘
1. 들어가는 말/36
2. 레닌, 카우츠키, 로자 룩셈부르크의 이론적, 사상적 입장 개관/40
3. 레닌과 카우츠키의 논쟁 민주주의와 독재의 문제를 중심으로/45
4. 레닌과 러시아 혁명에 대한 로자 룩셈부르크의 비판/58
5. 맺음말/68
제3장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사회민주주의/아담 쉐보르스키
1. 참여에의 결정/71
2. 민주적인 자본주의와 정치참여/77
3. 선거참여와 계급 조직화/80
4. 선거의 전망/84
5. 사회민주주의와 노동자 계급/90
6. 선거의 딜레마/95
7. 개혁과 혁명/103
8. 경제계획과 정치현실/106
9. 타협/111
10. 개량주의의 포기/116
11. 계급타협의 경제적 기반/120
12. 사회민주주의와 사회주의/122
제4장 포스트 마르크스주의와 민주주의/구도완
1. 서론/127
2. 담화/130
3. 헤게모니 그리고 계급환원론/134
4. 급진적, 다원주의적 민주주의/139
5.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비판할 것인가?/141
제2부 민주사회주의와 시민사회
제5장 민주사회주의적 정치의 틀/프랭크 커닝햄
1. 민주사회주의를 위한 조직화/148
2. 자본주의와 권위주의적 사회주의/150
3. 개혁과 혁명/163
제6장 사회주의 정치의 옹호/크리스토퍼 피어슨
1. 서론/176
2. 자본과 함께 이루어진 혁명인가, 자본에 대항하는 혁명인가?/181
3. 공공영역/188
4. 자유주의와 ‘탈정치화’/192
5. 마르크스주의와 ‘탈정치화’/195
6. 정치에 대한 옹호/197
제7장 새로운 정치와 시민사회의 재구성/진 코헨 & 앤드류 아라토
제8장 시민사회와 국가행위의 한계/존 키인
1. 국가 사회주의(state-administred socialism)/222
2. 신보수주의의 발흥/226
3. 다양한 평등과 자유/230
4. 국가경제의 재규경: 서유럽의 계획들/235
5. 정치적 민주주의/240
6. 민주주의와 사회주의/244
제3부 현대 민주주의론의 발전
제9장 민주주의의 현대적 의미와 내표/데이비드 헬드
1. 자율성의 원칙/250
2. 자율성 원칙의 실행/256
3. 고전적 및 현대적 민주주의 이론의 유산/259
4. 민주주의 : 양면적 과정/265
5. 민주적인 자율성 : 적합성과 비적합성/272
제10장 다수결 원리를 통한 정당화의 명암/클라우스 오페
1. 다수결의 원리를 지지하며/284
2. 다수의 힘의 제도화/287
3. 타당성의 조건들/292
4. 다수결 원리의 미래/315
제11장 일상생활의 민주화/알베르토 멜루치
1. 정치의 종언/323
2. ‘후기산업사회’에서의 민주주의의 딜레마/326
3. 보이지 않는 딜레마/330
4. 변형된 자유/332
제12장 민주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지구촌/데이비드 헬드
1. 민주주의 이론에 있어 공통된 가정들/336
2. 주권, 민족정치 그리고 지구적인 상호연결/339
3. 국가, 국경과 지구촌 정치/343
4. 국가체계에 대응한 지구촌적 상호연결/349
5. 권력과 분절(disjunctures)/352
6. 민주주의와 지구촌/362
7. 주권, 자결과 민주적 자율성/367
제4부 좌파 민주주의의 새로운 위상 : 보비오 연구
제13장 사회주의적 민주주의를 향하여/노베르토 보비오
1. 마르크스주의 정치학의 결핍/379
2. 왜 마르크스주의에는 정치학이 없는가/383
3. 당과 국가/389
4. 국가와 국가들/391
5. 동전의 뒷면/393
6. 민주주의는 어렵다/394
제14장 대의 민주주의와 직접 민주주의/노베르토 보비오
제15장 현대 좌파논쟁과 보비오의 위치/리타드 벨라미
1. ‘국가’와 ‘시민사회’/422
2. 그람시의 ‘시민사회’ 개념/434
3. 이탈리아 공산당(PCI)과 이탈리아 식의 ‘사회주의로 가는 제3의 길’/440
4. 민주주의의 역설/447
제16장 좌파의 쇠퇴와 새로운 민주주의의 모색/존 키인
1. 좌파의 쇠퇴/460
2. 거대한 이분법들(The Great Dichotomies)/465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