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사회사상사개론 |
|
다카시마 요시야(高島善哉) 외 지음 , 김수길옮김 |
출판사 - 청사 |
초판일 - 1983-01-30 |
ISBN - |
조회수 : 2566 |
|
|
|
● 책 소개
우리와 역사적 사회적 상황을 달리하는 곳에서 생성•발전되어온 사상을, 우리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무비판적 분석도구로 사용하거나 도식적으로 적용하는 태도는 엄중히 배제되어야 한다. 또한 사상이 생성되어진 이후에 역사 발전과정에서 그 진리성이 이미 부정된 것을 아직도 진리로 맹신하고 있는 경직성과 그러한 맹신에 입각해서 미래에 그 사상이 실현될 것이라는 착각도 냉정하게 경계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우려로 말리암아 어떤 사상의 사실적 내용을 은폐한다거나 부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생기는 무지와 오해, 맹신과 독단을 더욱 더 두려워해야 한다.----- 본문중에서ⓕ
맨위로
|
● 목 차
역자 서문
서장 : 사회사상사의 성격에 관하여 = 11
문제의 소재와 범위
여러 접근방법
3개의 해방사상
제1부 인간해방의 사상
제1장 르네상스 = 21
낡은 질서의 해체
새로운 인간의 탐구
제2장 종교개혁 = 29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직업윤리와 정치사상
제3장 유토피아 = 36
3개의 유토피아
신세계의 발견
제4장 선구적 시민혁명 = 43
종교개혁으로부터 시민혁명으로
영국 절대주의에 대한 저항
종교적 대립의 격화
장로파ㆍ독립파ㆍ평등파
호민관 정권으로부터 왕정으로
제5장 계몽시대 = 53
이성의 시대
생존권과 국가권력
후진국의 근대화
제6장 고전적 시민혁명
백과전서파의 사상
소시민의 자본주의 비판
경제학의 성립 과정
미국혁명과 급진주의
프랑스혁명
제7장 인간해방의 성과와 과제 = 78
근대사회의 상인과 생산자
생산의 근대화
자본과 노동
부르조아의 해방
제2부 민족해방의 사상
제1장 근대사회와 민족 = 91
민족 개념의 복잡성
후진국의 근대화
제2장 민족적 자각의 형성 = 100
독일의 후진성과 정치적 무관심
역사주의의 맹아
괴테와 실러
제3장 양대 혁명의 물결 사이에서 = 107
프랑스혁명에 대한 감격과 공포
독일의 낭만주의
독일의 고전철학
역사주의의 법학과 경제학
제4장 러시아의 공동체 사상 = 121
전제주의와 부르조아
슬라브주의와 서유럽주의
나로드니키
제3부 계층해방의 사상
제1장 초기 사회주의 = 133
1. 산업혁명 이전의 제형태 = 133
비역사적인 자본주의 비판
빈농과 소생산자의 사상
2. 노동자계급의 등장 = 139
공상적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성립
리카아도파 사회주의
제2장 고전적 조화의 붕괴 = 147
1. 과도기의 고뇌 = 147
계급대립의 첨예화
포이에르바하와 시민사회
기독교의 본질
현실적 인간화
2. 시민의식의 위기 = 152
군중에의 매몰
무정부주의
재산은 도둑질한 것이다
상호주의와 연합주의
제3장 근대의 초극 = 161
1. 새로운 인간관의 성립 = 161
마르크스의 사상형성
근대인의 자기분열
인간의 소외
2. 근대시민의 소외 = 165
경제적 자기소외
정치적 자기소외
종교적 소외
제4장 보편적 인간해방 = 175
1. 자본주의적 인간소외의 이론 = 175
계급적 소외의 논리
소외와 계급투쟁
2. 후진국 독일의 교훈 = 181
독일의 상황
독일의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기대
영구혁명을 지향하여
제5장 체제변혁에서의 민족과 계급 = 185
1. 초기 마르크스 정치사상의 도달점 = 186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전망
2. 정신의 위기 = 192
중대한 전기
체제비판의 과학으로
3. 해방사상으로서의 경제학 = 196
역사의 기초과학으로서의 경제학
체계의 전개와 그 방법
4. 노동자의 시민적 권리와 폭력 = 204
노동력의 상품화
시민적 권리와 폭력
제6장 제국주의와 사회주의 = 211
1. 자유주의로부터 국가간섭으로 = 212
새로운 전환기
국가에 대한 기대
권력에 대한 반역
자유와 간섭의 조화
2. 인터내셔널의 여러 사상 = 224
경제투쟁과 정치투쟁
바쿠닌과 마르크스
권위와 자주의 갈등
3. 마르크스주의의 수정 = 232
배교(背敎)인가 호교(護敎)인가?
중간층은 소멸했는가?
프롤레타리아독재의 부정
변증법과 유물론의 배격
상황인식의 공과
제7장 전쟁과 혁명의 변증법 = 244
1. 농업문제와 혁명이론 = 245
시장의 문제
혁명당의 정치노선
혁명당의 조직원칙
농업강령을 둘러싼 자기비판
토지국유화의 문제
2. 제국주의론과 일국사회주의혁명 = 255
카우츠키의 입장
단계로서의 제국주의
전쟁과 일국사회주의
종장(終章) : 현대 사회사상사의 과제 = 267
회고와 전망
인간소외와 주체성 회복의 사상
체제와 단계와 상황이라는 인식
주체로서의 계급과 모체로서의 민족이라는 발상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